[include(틀:18로 제후)] 孔伷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후한]] 말의 [[군벌]]이며 [[자(이름)|자]]는 공서(公緖)로 연주 진류군 사람. == [[삼국지(정사)|정사]] == 같은 군 사람 부융(符融)의 추천으로 범염, 한탁과 함께 진류태수인 풍대에게 추천되어 상계리를 지냈다.[* 출처: 후한서 곽부허열전.] 권력을 장악한 [[동탁]]이 인심을 사기 위한 수단으로 삼아져 그는 예주자사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머지않아 공주는 동탁을 배반하고 반동탁 연합군에 참가해 각지에서 모인 군웅들과 함께했다. [[장홍(삼국지)|장홍]]전에 따르면 동탁이 소제를 살해했다는 얘기가 퍼지자 이에 반발해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했던 중원지역 관리들이 집결한 진류군 산조에 공주도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공주와 모반 계획을 협력한 [[허창(진국상)|허창]]의 사촌동생 [[허정(삼국지)|허정]]이 공주에게 의탁했다.[* 출처: 삼국지 촉서 허정전] 이후 190년 2월에 공주는 산조에서 예주 영천으로 주둔했지만 대다수의 제후들처럼 동탁의 군세를 두려워해 진군하지 않았다. 언어 능력이 뛰어났는지 [[정태]]가 동탁에게 말하길 "공공서는 청담고론에 능하여 마른 나무에 생기를 불어넣는다."고 평가했지만 전투 능력은 떨어진다고 덧붙였다.[* 출처: 후한서 정태열전.] 191년에 [[원술]]이 [[손견]]을 예주자사에 임명한 사실과 [[원소]]가 [[주앙(후한)|주앙]]을 예주자사를 임명한 역사적 사실을 감안하면, 공주는 190년 말이나 191년 초쯤에 죽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공주가 죽자 그의 밑에 있었던 허정은 양주자사 진위에게 의지하게 된다.[* 출처: 삼국지 촉서 허정전.] == [[삼국지연의|연의]] == 18로 제후의 한명으로 참전하면서 언급이 된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공주(삼국지 시리즈)]] 문서 참조. === [[삼국군영전 시리즈]] === 가장 최고 난이도의 군주로 손꼽히는데 휘하 무장이 단 1명도 없고 주위에는 [[조조]], [[원술]], [[도겸(삼국지)|도겸]]등에 세력이 있는 데다 공주 본인도 약하기에 가장 하드 난이도로 손꼽힌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전략공주.png]] 직접적인 등장은 없지만 동탁토벌군에 참가하는 원소에게서 그가 이끄는 군대가 멀리서나마 발견이 된다. === [[삼국전투기]] === 공주라서인지 핑크색 머리에 왕관을 쓴 인물로 등장한다. 나름 초반기에 제후라고 언급은 은근 꾸준히 되고 얼굴도 나오지만 정작 본인이 직접 등장하거나 대사를 말하는 장면은 단 한 컷도 없는 인물. 그리고 낙양 전투 (7)편에서 동소가 죽었다고 언급하는 걸 끝으로 더 언급되지도 않는다. [[분류:후한의 군벌]][[분류:한나라 주자사]] [include(틀:포크됨2, title=공주(삼국지), d=2022-12-25 05:1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