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운영하는 버스를 의미한다. == 위탁운영제와 직영제 == 각 도시마다 대형 회사도 있고, 중소형 회사도 있는데, 정작 [[버스 회사]]들은 수익성 좋은 도심이나 중심지에만 치중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인천광역시]], [[광주시]], [[남양주시]], [[이천시]], [[여주시]], [[청주시]] 처럼 지역 면적은 넓고 시내버스가 필요한 곳도 있지만 업체들이 노선 신설을 거부하는 사례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 지방자치단체는 위탁운영제를 실시한다. 위탁운영제는 비수익 노선을 보조하기 위한 운영비를 해당 지역 [[버스 회사]]에 지급하는 방식이다. 이럴 경우 차량에 법적 소유권을 구분하기 위해 '공영'이라는 표시를 하지만, [[버스 회사]]가 사실상 차량을 지배하기 때문에 배차와 정비에서 공영 차량인지는 딱히 구분하지 않는다. 위탁운영제의 경우에는 보조금 지원을 통해 회사에 일정 수준의 수입을 보장한다는 면에서 [[준공영제]]의 방식과 유사한 점이 있다. 매우 드문 사례지만 필요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나 산하 공기업, 또는 지역 [[농협]]조합에서 직접 버스를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버스 회사]]가 도산하였지만 인수할 업체가 마땅하지 않았던 [[제주특별자치도]]나 [[인천광역시]]처럼 노선은 필요한데 업체가 운행을 꺼리며, 그렇다고 보조금을 주기도 마땅치 않은 경우 직접 운영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옛날 [[과천시]]처럼 지나가는 회사는 많은데 자기 지자체 소재 회사는 없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 [[과천시]]에는 [[과천여객]]과 [[과천운수]]가 있다.] [[세종특별자치시]]와 같이 공영버스를 통한 운송서비스 향상을 결단한 경우도 직접 운영하는 예에 해당한다. 2021년 3월 현재 공영버스를 직접 운영하는 지자체는 [[옹진군(인천)|옹진군]], [[신안군]], [[봉화군]], [[성주군]], [[정선군]], [[제주시]], [[서귀포시]] 뿐이며, 이들 지자체에서도 일부 비수익, 특수 노선만을 공영버스로 운행하고 있다. 지자체 직영이 아닌 산하 공기업을 통해 운영하는 지자체로는 [[인천교통공사|인천광역시]][* 산하 공기업인 [[인천교통공사]]가 [[인천 버스 순환41|순환41번]], [[인천 버스 순환42|순환42번]], [[인천 버스 순환43|순환43번]], [[인천 버스 순환44|순환44번]]을 운영, [[계양구시설관리공단]]에서 [[계양구 공영버스]]를 운영한다. 중구 공영버스는 [[신흥교통]]이 위탁운영한다.], [[세종도시교통공사|세종특별자치시]][* [[세종도시교통공사]]가 설립되기 전에는 세종시가 직영으로 운행하였다.], [[화성도시공사|화성시]], [[고양도시관리공사|고양시]], [[광주도시관리공사|경기 광주시]], [[마중버스|아산시]], [[속초마을버스|속초시]] 등이 있다. 기존 기업에 위탁 운행시키는 지역까지 합치면 좀 더 많다. [[서울특별시]]에도 공영버스가 2000년대 후반까지 다녔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김상곤]] 예비후보는 [[신성여객(파주)|신성여객]] 운행중단 사태를 계기로 [[경기도 시내버스]]의 공영제와 버스요금 무료화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 논란은 호남까지 확산되었다.[[http://www.ajunews.com/view/20140319171729467|#]] 버스 요금 무료화는 [[포퓰리즘]]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결국 해당 공약은 무산되었고, 이후에도 잘 거론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버스기사들의 근무환경 열약으로 인한 사고가 지속적으로 일어남에 따라 준공영제 도입에 대한 움직임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물론 준공영제가 만능은 아니라서 청주시, 진주시와 같이 준공영제를 도입한 이후 상황이 더 안 좋아지는 곳도 존재한다.] 지자체에서 직영으로 운영하거나 지자체가 노선과 차량을 모두 소유하고 운행만 업체에 맡기는 형태의 공영버스는 자가용 번호판을 달고, 노선 및 차량 소유권이 업체에 있는 공영버스는 영업용 번호판을 단다. == 국내 노선 및 운영사 목록 == [include(틀:전국 지방자치단체 공영버스 브랜드)] * [[강릉시 마실버스]] * [[경기도]] [[맞춤형버스]] * [[고양누리버스]][* 고양시 산하 공기업인 [[고양도시관리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 [[광주광역시]] 공영버스 * [[광주 버스 대촌270]] * [[광주 버스 임곡290]] * [[광주 버스 송정296]] * [[광주시 공영버스|광주시(경기도) 공영버스]] * [[광주도시관리공사|광주시(경기도) 마을버스]] * [[김해시]] 공영버스 * [[김해 버스 대동공영]] * [[김해 버스 상동공영1]] * [[김해 버스 상동공영2]] * [[김해 버스 도시형1]] * [[김해 버스 도시형2]] * [[김해 버스 도시형3]] * [[남양주시의 공영버스|남양주시 공영버스]] * [[땡큐버스]] * [[마석순환버스]] * [[무안군]] 공영버스 * [[무안 버스 50, 55]][* [[무안힐링버스]]가 위탁운영.] * [[무안 버스 100]][* [[무안교통]]이 위탁운영.] * [[농협버스]] * [[가산농협버스]] * [[영중농협버스]] * 남청주농협버스([[청주 버스 1003|1003번]]) * [[소안농협버스]] * [[삼척시 오랍드리버스]] * [[성남시 공영버스]] * [[성주읍 순환버스]] * [[세종도시교통공사]] 운영 버스 * [[속초마을버스]] * [[신안군 공영버스]] * [[신안 버스 1004]] * [[신안 버스 2004]] * [[신안 버스 3004]] * [[신안 버스 남강-두리]] * [[아산시]] [[마중버스]] * [[양주시 공영버스]] * [[양평군]] [[단월행복버스]] * [[여주시 버스 목록|여주시 공영버스]] * [[영월군 행복버스]] * [[오산시]] [[까산이버스]] * [[완주군 버스#s-5|완주군 마을버스]] * [[용인시 버스 목록|용인시 공영버스]] * [[울릉군 농어촌버스]] * [[울산광역시]] 공영버스 * [[울산 버스 308]] * [[울산 버스 323]][* 이상 두 노선 모두 대우여객 운행 노선이었으나, 경영난으로 언양권 노선을 처분하면서 울산-남성 계열에 인수됨] * 마실버스: [[울산 버스 울주01]] [[울산 버스 울주02]], [[울산 버스 울주03]], [[울산 버스 울주04]], [[울산 버스 울주05]], [[울산 버스 울주06]], [[울산 버스 울주07]], [[울산 버스 울주08]], [[울산 버스 울주09]], [[울산 버스 울주10]] * [[원주시]] [[누리버스]] * [[이천시 버스 목록|이천시 공영버스]] * [[인천광역시 공영버스]] * [[계양구 공영버스]] * [[동구 공영버스]] * [[중구 공영버스]] * [[옹진군 공영버스]] * [[인천 버스 대곡5]] * [[인천교통공사]] 운영 버스[* 도시철도 뿐만 아니라 버스까지 운행하고 있다. ] * [[정선군 농어촌버스]][* 정선군청에서 농어촌버스 노선을 직접 운영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공영버스 * [[제주시 공영버스]] * [[서귀포시 공영버스]] * [[청주시 공영버스]] * [[코레일네트웍스]] 운영 버스 * [[인천 버스 6770]] * [[파주 버스 9]] * 함안군 공영버스 * [[화성시 공영버스]] * [[H버스]] * [[조암공영버스]][* [[제부여객]]이 위탁운영한다.] == 관련 문서 == * [[준공영제]] * [[버스 관련 정보]] [[분류:유형별 노선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