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춘추전국시대의 공족]][[분류:기원전 644년 사망]] 公孫隰朋 ? ~ 기원전 644년 [목차] == 개요 == [[제환공]](齊桓公) 대의 명신. [[관이오|관중]](管仲), [[포숙]]과 더불어 제나라의 내치를 담당했고, [[진(영성)|진(秦)나라]]의 군주인 [[진목공]]과 함께 [[진(희성)|진(晉)나라]]의 공자 이오(夷吾)를 세우니 그가 바로 [[진혜공]](晉惠公)이다. 관중이 죽으면서 그를 후임으로 추천했다. 하지만 관중의 말대로 습붕도 곧 죽었고 포숙이 후임이 되었다. [[제장공]]의 증손이라고 한다. 흔히 습붕으로 알려져 있다. == 생애 == 관중의 추천을 받아 제환공에게 등용된다. 능력을 십분 발휘하여 환공의 패업을 도왔다. 한비자 설림상에 의하면, 그는 제환공, 관중과 함게 [[고죽국]]을 칠 때 종군해 대군이 산중에서 마실 물이 바닥났다. 그리하여 곤란한 처지에 빠졌는데, 습붕은 개미굴에 물이 있으니 개미굴을 찾게 했고 과연 개미굴에 수원지를 발견해 갈증을 해소했다고 한다.[* 이것은 [[열국지]]에 잘 묘사되어있다.] 제환공 35년(기원전 651년), [[진헌공]](晉獻公)이 죽은 후 이극(里克)이 [[희해제|해제]]와 [[희탁자|탁자]]를 죽이자 제환공의 명으로 진목공과 함께 진혜공을 세웠다. 제환공 39년(기원전 645년), 관중이 그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제환공 40년(기원전 644년), 습붕은 관중의 뒤를 따르듯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