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공선옥.png|width=100%]]|| || 이름 ||공선옥(孔善玉) || || 본관 ||[[곡부 공씨]](曲阜 孔氏) || ||<|2> 출생 ||[[1964년]] || ||[[전라남도]] [[곡성군]] 삼기면 청계리[* [[공(성씨)|곡부 공씨]] 집성촌이다.[[https://topclass.chosun.com/board/view.asp?catecode=L&tnu=201910100014|#]]] || || 학력 ||[[전남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2 (졸업)}}}[br][[전남대학교]] {{{-2 ([[국어국문학]] / [[중퇴]])}}} || || 등단 ||1991년, <<창작과 비평>> 중편소설 씨앗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작가. == 작품의 특징 == 그녀의 작품은 주로 소시민들의 일상이라든가, 소외되는 사람들 같은 약자 계층에 대해서 많이 다루고 있으며 그녀의 대표적인 소설인 일가는 핵가족화 되면서 각박한 인심으로 메말라가는 우리 사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소설가 [[박완서]]씨는 공선옥을 표현할 때, '''그녀가 그리는 가난은 그녀의 거친 듯 하면서도 위선이 없는 문장과 잘 어울린다고 하면서 그녀의 작품을 굉장히 높게 평가하고 있다.''' 소설가 중에서도 원로급이던 박완서씨가 이런 말을 할 정도면 그녀의 필력은 정말 대단한 것이다.[[http://blog.changbi.com/221096898153|#]] 실제로 공선옥의 작품 중 일부는 교과서에도 실려 있다. [[비상교육|모 출판사]] 작품에는 그녀의 작품인 일가가 실려 있다. 일가라는 작품은 읽기도 쉬운 단편 소설인데다가 깊은 교훈을 주는 책이니 꼭 한 번 읽어보기를 권한다. == 작품 목록 == *『오지리에 두고 온 서른살』(1993)[* 그녀의 고향이 곡성군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이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군/행정|오곡면]] 오지리로 보인다.] *『피어라 수선화』(1994) *『시절들』(1996) *『내 생의 알리바이』(1998) *『멋진 한세상』(2002) * 『수수밭으로 오세요』(2002) *『붉은 포대기』(2003) *『유랑가족』(2005) *『명랑한 밤길』(2007) *『나는 죽지 않겠다』(2009)[* 그녀가 최초로 펴낸 청소년소설이다.] *『내가 가장 예뻤을 때』(2009) *『영란』(2010), *『꽃 같은 시절』(2011) == 관련 문서 == * [[작가/목록]] [[분류:대한민국의 소설가]][[분류:곡성군 출신 인물]][[분류:곡부 공씨]][[분류:1964년 출생]][[분류:전남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