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단어 == === [[工]][[房]], 작업실 === [[조선]]시대의 [[육방]] 중 하나이다. 토목, 건축, 공예 등의 일을 담당했다. [[이방]]처럼 공방 [[아전]]을 이렇게 부르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장인(~공)들의 작업실을 의미한다. 미술, 목공예, 가죽공예, 도기 공예,비누공예, 프라모델의 도색 공간 등의 의미로 널리 사용된다. 영어로는 [[아틀리에|atelier]]라 한다. === [[攻]][[防]], 공격과 방어 === 서로 [[공격]]하고 [[방어]]함. 이런 양상의 전투를 [[공방전]]이라 한다. 사회에서는 맹렬한 말다툼을 여기에 빗대어 표현하곤 한다. === [[孔]][[方]], [[엽전]] === [[엽전]]을 달리 이르는 말. 가운데가 텅 뚫려 있어서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가전체 소설 [[공방전(가전체)|공방전]]의 공방이 이 공방이다. == 줄임말 == === 공개 [[방(인터넷 용어)|방]] === [[배틀넷]] 등에서 유래한, [[온라인]] [[RTS]], [[FPS]], [[TPS]] [[게임]] 등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하지 않은 공개방, 즉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방(인터넷 용어)|방]]을 일컫는 말이다. 비밀번호가 걸려 있는 '비방'([[비공개]]방)이나 몇몇 사람들만 들어올 수 있는 '클방' 등의 반대 개념.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오버워치/빠른 대전|오버워치]] 등에서는 자동으로 방을 만들어 주는 빠른 대전(일명 빠대)[* 한글로는 같지만 영어로는 좀 다른데, 히오슨 퀵 매치이며, 오버워치는 퀵 플레이다.]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다. 해당 서버/채널의 누구나 같이 게임을 할 수 있으므로 대개 플레이 인원이 많다. 대략적인 플레이 전술, 아이템 사용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모르는 사람들과 함께 하므로 각종 매너나 룰 등의 기준이 된다. 공방은 말 그대로 누구에게나 공개되어있기 때문에 실력이 제각각이다. 따라서 거의 모든 멀티플레이 게임의 공방은 [[심해(리그 오브 레전드)|심]][[심해(오버워치)|해]]와 별반 차이가 없지만, 고수들이 한쪽에 몰려 [[양민학살]]이 일어나기도 쉽다. 2010년대부터 공방을 만들어 플레이하는 방식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다. 어쨌거나 [[방(인터넷 용어)|방]]이기 때문에 [[방장]]의 권한이 막강한데, 방장이 별별 이유로 강퇴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방만의 알 수 없는 룰도 늘어난 편이다. 2010년대 이후의 온라인 게임에서는 [[MMR]] 등의 실력 척도를 기준으로 자동 매칭을 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 공개 방송 === [[한국 아이돌]]에서 가요프로그램, 방송으로 중계되는 콘서트 및 행사의 사전녹화 등을 방청하러 하는 행위를 '공방 뛰러 간다'라고 표현한다. === 공식 방송 === [[인터넷 방송인]]들이 이벤트 대회나 각종 광고 방송 등에 참여할 때 공방에 참여한다고 한다. == 작품 내 용어 == 한자는 둘 다 工房을 쓴다. === [[네이버 웹툰]] [[신의 탑]]의 용어 [[공방(신의 탑)|공방]]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방(신의 탑))] === [[TYPE-MOON/세계관]]의 용어 === [[마술사(TYPE-MOON/세계관)|마술사]]가 자신의 마술 연구를 위해 가지는 본거지. === [[도시(Project Moon 세계관)|Project Moon 세계관]]의 용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시(Project Moon 세계관), 문단=7.7)] [[도시(Project Moon 세계관)|도시]]의 각종 장비와 무기를 생산하는 업체들의 명칭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축약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