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孔]][[陵]](서울科學技術大) / Gongneung(Seoul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3> {{{+2 '''공 릉'''}}}'''(서울과학기술대)'''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하계역|하 계]][br]← 1.3 km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16)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태릉입구역|태릉입구]][br]0.8 km → || ||<-3>[include(틀:지도, 장소=공릉역, 너비=100%, 높이=225px)]||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Gongneung (Seoul Nat'l Univ. of Science and Technology) || || [[한자]] ||<-2> 孔陵(서울科學技術大) || || [[중국어]] ||<-2> 孔陵(首尔科学技术大学) || || [[일본어]] ||<-2> コンヌン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074 ([[공릉동|공릉1동]] 385-4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1996년 10월 11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4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발빠짐주의)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16번. [[서울특별시]] [[노원구]] [[동일로]] 지하 1074 ([[공릉동|공릉1동]] 385-4번지) 소재. == 역 정보 == [[파일:공릉.png|width=500]] 역 안내도. 지명은 공릉동이지만, 인근에 공릉이라는 왕릉은 없다. 1963년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확장에 따라 '양주군 노해면 공덕리(孔德里)'를 서울특별시로 편입하려고 계획했지만, 마포구에 한자까지 똑같은 공덕동(孔德里)이 또 있기 때문에 인근에 위치한 [[조선]] 11대 왕 [[중종(조선)|중종]]의 비인 [[문정왕후]]의 무덤태릉(泰陵)에서 따와 태릉동(泰陵洞)으로 변경하면서 편입되었다. 하지만 기존 공덕리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고, 지역 주민들 간 협의가 이루어져 1970년 '공덕'과 '태릉'에서 한 글자씩 따서 '공릉동'이라고 바꾸면서 공릉동이 되었고, 이것이 역명의 유래가 되었다.[* [[http://www.nowon.kr/dong/sub/origin.jsp?dong_name=공릉|공릉동 유래, 공릉1동주민센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00940&cid=43722&categoryId=43722|공릉동, 서울지명사전(네이버지식백과)]]] 따져보면 지명의 유래에는 왕릉이 연관된 셈. [[조선]] 8대 왕인 [[예종(조선)|예종]]의 비인 장순왕후가 모셔져 있는 [[공릉]](恭陵)이 있긴 하지만, 애초에 한자도 다르고 여기에는 없고 [[파주시]] 조리읍에 있다. 승강장은 태릉입구역과의 환승 관계로 지하 4층에 있으며, 이 역을 끝으로 그 다음역인 하계역부터는 [[섬식 승강장]] 릴레이가 시작된다. 역 벽면 위쪽이 곡선으로 되어 있어 보기에도 좋다. [[병기역명]]은 서울과학기술대. 인근에 [[서울과학기술대학교]]가 있어서 붙여졌다. 도보 약 10분. 이에 관한 서울시 민원 답변에 따르면 2009년부터 역명 개정 방침에 따라 역명에 접두어/접미어 사용을 배제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입구가 붙지 않는다. 그런데 열차 내 7호선 노선도에는 서울과학기술대입구라고 적혀있다(…). == 일평균 이용객 == 공릉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10>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서울 지하철 7호선'''}}}]] || ||<^|1><-1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20,667명 || 25,475명 || 27,830명 || 28,555명 || 28,307명 || 28,053명 || 28,006명 || 27,533명 || 26,947명 || 26,302명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26,952명 || 27,291명 || 27,002명 || 27,287명 || 27,026명 || 26,597명 || 26,230명 || 25,900명 || 25,882명 || 26,262명 || || 2020년 || || '''19,454명'''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공릉역은 [[하계역]] 이북의 신도시 느낌이 나는 곳과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를 풍긴다. 전형적인 서울 시내의 모습이 그대로 펼쳐진 곳으로 역세권의 인구가 상계택지 지역보다 적고 유동인구도 적은 편이다.(동네 자체가 오래되어서) 그러나 그런 불리함을 안고도 하루 평균 2만 6천여 명이 이용하여 꽤 많은 사람들이 공릉역을 찾고, 이곳을 다니는 학생들이 공릉역을 통해 자신들의 집으로 가거나 지방으로 내려가는 경우가 많다. 특히 7호선이 다니는 [[동일로]] 하계역-먹골역 구간에는 [[서울 버스 105|105번]], [[서울 버스 146|146번]]을 제외하면 간선 버스가 아예 없기 때문에 지하철에 의존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다. 또한 하계역처럼 7호선을 이용하기 위해 이 역도 옆 동네인 월계동 수요가 조금 있는 편이다. 다만 월계3동 지역 한정인데, 이는 월계3동의 지리적 특성상 [[한천교]]를 통해 공릉동으로 접근하기 쉽기 때문이다. 한천교를 경유하는 [[서울 버스 1136]]번이 이 수요를 담당한다. == 역 주변 정보 == 인근 [[태릉입구역]]이나 [[하계역]]처럼 사거리에 역이 나 있지만, 큰 도로가 만나는 지점은 아니다 보니 앞의 역들에 비해서는 역 주변의 규모가 작다. 역을 가로지르는 것은 [[동일로]] 뿐이고, 한쪽에는 월계동에서부터 이어지는 [[한천교]]와 공릉1동 서쪽 지역의 도로, 다른 한쪽에는 과기대로 이어지는 도로, 공연초등학교가 있다. 또한 이 역에서 1km 거리에 원자력병원이 있기도 하다. [[석계역]]급의 상권은 아니지만, 공릉역 사거리부터 과기대 앞까지 약 500m가량의 도로에 음식점들이 주르륵 널려 있다. == 승강장 == ||[[파일:공릉역 승강장.jpg|width=200]] || [[파일:공릉역 역명판.jpg|width=270]] || || 승강장 || 역명판 || 공릉역 승강장. 승강장 도착 표시기 LCD 교체 전의 모습이다. 공릉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4> [[하계역|하계]]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태릉입구역|태릉입구]]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하계]]·[[노원역|노원]]·[[도봉산역|도봉산]]·[[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태릉입구역|태릉입구]]·[[상봉역|상봉]]·[[건대입구역|건대입구]]·[[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석남역|석남]] 방면|| 이 역에서 도봉산/장암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오른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5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수락산역]]이다. == 연계 버스 == === 동일로 정류장 === * 1번 출구 정류장 '''(서울과학기술대입구 방향)''' * 4번 출구 정류장 '''(공릉시장 방향)''' * '''간선버스''' *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46]] * '''지선버스''' * [[서울 버스 1221]] * '''직행버스''' * [[포천 버스 3100]], [[포천 버스 3500]], [[포천 버스 3600]] * '''공항버스''' * [[공항 버스 6100]] * '''심야버스''' * [[서울 버스 N13]], [[서울 버스 N61]] === 기타 정류장 === * 동일로192길 정류장(1번 출구 앞) '''(월계미륭아파트/건민약국앞 방향)''' * 동일로192길 정류장(2번 출구 앞) '''(공연초등학교 방향)''' * '''지선버스''' * [[서울 버스 1136]] * '''마을버스''' * [[서울 버스 노원03]], [[서울 버스 노원04]], [[서울 버스 노원13]] * 동일로191가길 정류장(4번 출구 인근 도보 100m) '''(공릉대동2차아파트 방향)''' * 동일로191가길 정류장(4번 출구 인근 도보 120m) '''(공릉행복발전소 방향)''' * '''지선버스''' * [[서울 버스 1135]] == 기타 == * 여담으로 과거에 초등학생들이 [[교과서 튜닝|역명판에다가]] 낙서를 해서 [[공룡]]역이 된 적도 있었다. 수정펜 내지는 수정테이프를 이용해 릉 자에 점 두개를 찍은 것. 그 외에도 당시 다른 역들에도 낙서가 심각했었다. --특히 [[고잔역]]은...-- * 2021년 10월부터 1번출구에 에스컬레이터가 공사 중이다. [[분류:199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