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과거 공단역이었던 안산선의 역, rd1=초지역, other2=과거 구로공단역의 약칭인 공단역, rd2=구로디지털단지역, other3=과거 성서공단역의 약칭인 공단역, rd3=성서산업단지역)] ||<-3> {{{+2 '''공단역'''}}} || ||<-3> [[파일:Daegu3.svg|width=30]] || || [[칠곡경대병원역|{{{#!html
칠곡경대병원 방면}}}]][[팔달역|팔 달]][br]← 0.9 km || [[대구 도시철도 3호선|{{{#!html
3호선
(322)
}}}]] || [[용지역|{{{#!html
용지 방면}}}]][[만평역|만 평]][br]0.7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대구 공단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ongdan || || [[한자]] ||<-2> 工團 || || [[간체자]] ||<-2> 工团 || || [[가나(문자)|가나]] ||<-2> [ruby(工団, ruby=コンダン)] || ||<-3> '''주소''' || ||<-3> [[대구광역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팔달로 28 ([[비산동(대구)|비산동]]) || ||<-3> '''관리역 및 고객센터'''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ffffff 3호선}}}]] ||<-2> 2관리역(매천시장) / 3고객센터 || ||<-3> '''운영 기관'''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ffffff 3호선}}}]] ||<-2> [[대구교통공사|[[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 [[대구 도시철도 3호선|{{{#ffffff 3호선}}}]] ||<-2> [[2015년]] [[4월 23일]] || ||<-3> '''역사 구조''' || ||<-3> 지상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1 工團驛 / Gongdan Station}}} [목차] [clearfix] == 소개 == || [[파일:공단역사.jpg|width=500]] || || 공단역 (2020년) || [[대구광역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비산7동에 소재하는 3호선의 역이자, 대구 본시가지에 놓여진[* [[금호강]] 북쪽 구간은 1981년까지 [[경상북도]] [[칠곡군]] 칠곡읍 소재였다. 전통적으로 칠곡군 소속이었던 땅으로, 대구와는 별개의 고장이었다.] 첫 번째 역이다. [[팔달교]]를 넘어온 후 [[북구청역]]까지 [[서구(대구광역시)|서구]]와 [[북구(대구광역시)|북구]]의 경계를 양다리 걸쳐서 다니는데 일단 이 역의 소재지는 [[서구(대구광역시)|서구]] 비산7동이다. 역 근처에는 [[대구염색산업단지]], [[대구제3산업단지]] 입구가 있기 때문에 공장에 출퇴근하는 근로자들이 역의 주 수요층이다. 역 근처에는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이 있다. [[외국인 노동자]]가 많다 보니 [[중국어]], [[일본어]] 방송이 나온다. == 역 정보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이 있는 상신삼거리에서 [[팔달교]] 쪽으로 치우친 곳에 역이 있다. 역이 비산염색공업단지(줄여서 염색공단) 옆에 있어서 염색공단을 역명으로 추천받았는데 역 북동쪽으로 3공단이 있어 두 산업단지를 아우를 수 있는 '''공단'''이 역명으로 정해졌다. 요즘은 역명에 공단이라는 명칭을 피하는 추세인데 이 역은 그냥 뭉뚱그려서 "공단역" 으로 역명이 정해졌다.[* 성서공단역은 2012년 [[성서산업단지역]]으로 개명되었다.] 더불어 이 역의 로마자 표기는 Gongdan인데, 아예 공단이란 단어를 고유명사화시켜 버렸다.[* [[초지역|과거 공단역이라는 이름을 달았던 안산의 어느 역]] 또한 로마자 표기가 Gongdan이었다.] 이 역 주변에 있는 상신삼거리에서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까지 자동차 정비센터 및 자동차 부품/윤활유/타이어 상점들이 많다.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 옆에 있는 상신삼거리 ~ [[북부정류장]] 구간은 본래 [[팔달교]] 방향(상행)으로만 다녔던 [[일방통행]] 도로였으나, 3호선을 공사하게 되면서 도로 교통량 분산을 위해 양방통행으로 전환했다. 그리고 [[북부정류장]] ~ 상신삼거리 구간으로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안 다니고 [[시외버스]]와 [[성주, 칠곡 버스 250|250번]]같은 왜관/성주로 다니는 [[농어촌버스]]만 다닌다. 이 구간으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가 다니면 만평네거리까지 가는 수고를 덜 수는 있겠지만, 이 도로가 원래 [[일방통행]]으로 개통한 도로여서 워낙 도로가 좁고 길 상태가 그렇지 좋지 않아 요원할 듯하다. 이 도로 주변에는 차량 정비소가 많은데, 가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차량들이 정비를 받으러 주차해 놓은 모습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아주 드물게는 [[구미시 시내버스]] 차량과 [[김천버스]] 차량까지 중정비를 받아야 할 상황이 되면, 이 곳까지 [[경부고속도로]]를 자력으로 달려서 오곤 한다. == 일평균 이용객 == 공단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대구 도시철도 3호선|[[파일:Daegu3.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5년 || 2,159명 || [* 2015년 자료는 개통일인 4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6년 || 2,358명 || || || 2017년 || 2,468명 || || || 2018년 || 2,550명 || || || 2019년 || {{{#ffb100 2,559명}}} || || || 2020년 || 1,941명 || || || 2021년 || 2,081명 || || || 2022년 || 2,242명 || || ||<-3> {{{#ffffff '''출처'''}}}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dtro.or.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List.do|대구교통공사[br]사전정보 공개게시판]]}}} ||}}} 공단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2,242명([[2022년]] 기준)으로, 3호선 전체에서 5번째로 승객이 적은 역이다. 이 역 근처에는 주거지가 없다. 주변의 모든 구역이 산업단지인지라, 수요가 적다. 대체로 공단에 소재한 역들은 지역을 불문하고 수요가 적다. 왜냐하면 공단에 출퇴근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자가용 또는 버스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역세권에 거주민은 사실상 거의 없는 수준이기 때문에 수요가 늘려면 외지인을 끌어와야 하는데, 공장 외에는 외지인을 끌어올 요소가 거의 없는 것 또한 성장에 제약을 가하는 요소이다. 역 남쪽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이 있기는 하지만,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은 창고형 마트라서 큰 묶음으로 판매하는 데다가 무거운 짐을 들어야 하는 특성상 할인마트 방문객들도 대부분 자가용을 이용하는 것은 공단 근로자와 동일해서, 역의 수요에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 역의 주된 수요는 환승 수요인데, 버스 ↔ [[도시철도]] 환승 승객은 3호선 역들 중 손에 꼽힐 정도로 많다. 3호선의 칠곡 구간이 [[칠곡중앙대로]]를 따라가지 않고 [[팔거천]]을 따라가기에, 버스를 타다가 이 역에서 도시철도로 갈아타는 승객 수요다. == 승강장 == || [[파일:공단역1.jpg|width=600]] [br] 역 안내도 || ||<-4> [[팔달역|팔달]]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만평역|만평]] || || {{{#ffffff 상}}} ||<|2>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칠곡운암역|칠곡운암]]·[[팔거역|팔거]]·[[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방면 || || {{{#ffffff 하}}} || [[서문시장역|서문시장]]·[[청라언덕역|청라언덕]]·[[명덕역|명덕]]·[[용지역|용지]] 방면 || == 역 주변 정보 == 출입구는 1개이며, 육교가 없으므로 횡단보도를 통해 역에 출입한다. 역 주변은 온통 공장 및 자동차 정비소, [[윤활유]] 판매점들뿐이다. 그나마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이 유일한 상업 시설이다. * '''[[대구제3산업단지]]''' * '''[[대구염색산업단지]]''' * 한국건강관리협회 경북지부 - 대구지부는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3동 청구삼거리와 솔렌스힐(옛 [[KBS대구방송총국]] 자리) 사이의 장등로에 있으며, [[대구 버스 805|805번]]이 단독으로 운행한다. *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 - 구 [[월마트/대한민국|월마트]] 비산점. [[신세계마트|월마트 대한민국 법인]]이 [[신세계(기업)|신세계]]에 넘어가면서 이마트 비산점으로 바뀌었다가 [[2011년]] 6월 잠시 영업을 중단한 후 2012년 창고형 매장인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트레이더스]]로 전환하여 재개점했다. * 상신삼거리 *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 [[대구북부정류장]] 방면 - 본래는 [[팔달교]] 방향의 [[일방통행]] 구간이었다가 3호선의 착공 후 양방통행으로 전환한 구간이다. 상신삼거리에서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 옆길로 계속 내려가서 [[북부정류장]]으로 갈 수 있으며, 옛 [[신한은행]] 비산동지점 건너편의 육교에서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비산점]]이 보인다. 다만, 상신삼거리 - [[북부정류장]] 사이로는 대구 버스가 운행하지 않고, 칠곡/성주 버스만 다닌다. * [[하중도(대구)|하중도]] - [[북구(대구광역시)|북구]] 노곡동[* [[대구 버스 칠곡2|칠곡2번]]과 [[대구 버스 북구3|북구3번]]이 다니는 동네다.] 소재로, 2021년 말 신설된 보도교까지 도보로 10여분(800여m)이면 닿는 관광지다. 예전엔 유일한 출입구가 금호강 건너편에 있어서 접근성이 최악이었는데, 해당 다리는 역과의 연계를 위해 신설된 다리다.[* 실제 관계자가 인터뷰로 밝힌 것. 전후 상황은 해당 문서를 참조.] 팔달교 남쪽 끄트머리에 하중도 연결 통로가 있다. == 연계 교통 == {{{+5 '''1번 출구 앞'''}}} || [[파일:버스정류장2.png|height=35&align=left]]{{{#000,#ffffff '''공단역1'''}}} {{{-3 (대구 01038)}}}[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527|{{{#fff 52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경산 버스 708|{{{#fff 70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19|{{{#fff 71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24|{{{#fff 72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26|{{{#fff 72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30|{{{#fff 73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50|{{{#fff 750}}}]]}}}[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북구1|{{{#fff 북구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북구4|{{{#fff 북구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칠곡2|{{{#fff 칠곡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칠곡6|{{{#fff 칠곡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칠곡 버스 200|{{{#fff 칠곡 2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성주, 칠곡 버스 250|{{{#fff 칠곡 250}}}]]}}}[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성주, 칠곡 버스 250|{{{#fff 칠곡 250-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칠곡 버스 300|{{{#fff 칠곡 300}}}]]}}} || || [[파일:버스정류장2.png|height=35&align=left]]{{{#000,#ffffff '''공단역2'''}}} {{{-3 (대구 02332)}}}[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527|{{{#fff 52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경산 버스 708|{{{#fff 70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19|{{{#fff 719}}}]]}}}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24|{{{#fff 72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26|{{{#fff 72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30|{{{#fff 73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em" [[대구 버스 750|{{{#fff 750}}}]]}}}[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북구1|{{{#fff 북구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북구4|{{{#fff 북구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칠곡2|{{{#fff 칠곡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9em" [[대구 버스 칠곡6|{{{#fff 칠곡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칠곡 버스 200|{{{#fff 칠곡 2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성주, 칠곡 버스 250|{{{#fff 칠곡 250}}}]]}}}[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성주, 칠곡 버스 250|{{{#fff 칠곡 250-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75C8; font-size: .9em" [[칠곡 버스 300|{{{#fff 칠곡 300}}}]]}}} ||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구 도시철도 3호선]][[분류:대구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