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99999>{{{#ffffff MPC 번호 순 소행성체(Minor Planet) 찾기}}}|| ||<:>225087 2007 LZ,,8,,[* 평균거리 3.1 천문단위의 소행성대 천체다.]||←||<:>'''225088 공공'''||→||<:>225089 2007 PG,,28,,[* 경사각이 10.5도 가량 기울어진 목성 트로이 소행성이다.]|| ||<:><-2>225088 Gonggong[br]2007 OR,,10,,|| ||<:> '''구분'''||해왕성 바깥 천체 [[산란 분포대]](3:10 궤도 공명)|| ||<:> '''지름'''||1230±50km[* 출처 : [[https://arxiv.org/abs/1903.05439|The mass and density of the dwarf planet (225088) 2007 OR10]]], 1535^^+75^^,,{{{#!html -225}}},,km[*출처1 : [[https://arxiv.org/abs/1603.03090|Large size and slow rotation of the trans-Neptunian object (225088) 2007 OR10 discovered from Herschel and K2 observations]]]|| ||<:> '''질량'''||(1.75±0.07)×10^^21^^ kg|| ||<:> '''태양 기준 거리'''||66.85 천문단위(AU)|| ||<:>'''원일점'''||100.66 천문단위(AU)|| ||<:>'''근일점'''||33.033 천문단위(AU)|| ||<:> '''궤도경사각'''||30.9376°|| ||<:> '''이심률'''||0.5058|| ||<:> '''공전주기'''||546.6년|| ||<:> '''자전주기'''||22.40±0.18 시간[br]또는 44.81±0.37 시간[*출처1]|| ||<:> '''온도'''||31K(-242도)|| ||<:> '''겉보기 등급'''||21.3|| [목차] == 개요 == [[파일:2007OR10.png]] 1991년 10월 [[호주]] 사이딩스프링천문대(SSO)의 사전 발견으로 찍힌 2007 OR,,10,,[* 최초의 사전 발견(precovery) 과정 이미지는 1985년 8월 19일, [[칠레]]에 있는 유럽남방천문대(ESO)가 촬영한 바 있다.[[http://andrew-lowe.ca/2007or10.htm|#]]] 2007년 7월 [[마이클 브라운|마이클 E. 브라운]], [[다비드 L. 라비노비츠]], [[메건 E. 슈와브]] 박사 팀이 발견, 2009년 1월 발견 사실이 공개되었으며 그 당시 공식적인 이름이 없었던 천체로 MPC 식별 번호는 225088.[* 그러므로 식별번호까지 더하면 225088 공공이 된다.] 임시 명칭 '''2007 OR,,10,,'''으로, 왜행성 후보 천체 중 하나이며 산란 분포대에 속한다. 지름은 1000~1500km 정도로 최소 지름이 왜행성 [[세레스(왜행성)|세레스]] 이상이며 최대 지름은 왜행성 [[마케마케]]를 넘는다. 크기 또한 산란 분포대에서 에리스 다음가는 크기이며,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관측에 따르면 1535^^+75^^,,{{{#!html -225}}},,km로 [[명왕성]]과 [[에리스(왜행성)|에리스]]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해왕성 바깥 천체로 추측했다. 다만 후속 관측에서 지름 추정치는 1,230±50km로 줄어들었으며, 2020년 기준으로 다섯 번째로 큰 해왕성 바깥 천체다. [[파일:2007OR10 2.png]] 궤도의 평균 거리나 이심률은 [[왜행성]] [[에리스(왜행성)|에리스]]와 비슷한 편이며 에리스에서 약간 틀어버린 것 같은 모습이다.[* 실제로는 궤도경사각이 13도 가량 차이가 난다] 또한 공공 역시 에리스와 마찬가지로 원일점에 가까운 85.4 AU 가량의 거리에서 발견되었고 별 엄폐 현상이 일어나지 않았기에 정확한 지름 측정은 힘든 편이다. 표면은 얼음으로 되어있으나 붉게 보이는 이유는 [[메탄]]이 우주에서 날아오는 방사선과 반응해 붉은색을 띈 유기화합물로 중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기 유무는 불명. 표면 [[반사율]]은 약 0.14±0.01로 [[달]]과 비슷한 수준이다. 마이클 브라운 박사는 [[흰색]]을 띌 것으로 추정하여 이 천체의 별명으로 [[백설공주|Snow White]]라고 불렀으나 실제로 스펙트럼 조사를 한 결과 [[붉은색]]이어서 취하되었다. 이후로도 공식적으로 이름을 정하겠다고 했다가 취소한 상태이며 2019년 11월까지 이름을 정하지 않으면 작명 권한이 소멸되고 아무나 이름 후보를 제기할 수 있었다. 2019년 5월 26일 기준, 온라인 공모를 거친 여러 후보 중 하나를 뽑는 명칭 투표에서 46%로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중국 신화의 물의 신에서 이름을 따온 '''[[공공]]'''(共工, Gonggong)이라는 이름을 소천체명명위원회에 제안되었고 결국 승인이 되어 2020년 2월 5일 소행성체 센터에서 이 명칭으로 확정되었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파일:Moon around dwarf planet 2007 OR10.jpg|width=300px]] 2010년 9월 18일, [[허블우주망원경]]이 공공의 위성으로 추정되는 첫 이미지를 포착한 이후, 약 100~300km 크기의 1개의 [[위성]] 또한 2016년 10월 17일 그 존재가 정식으로 확인되었다. 공공으로부터 약 24,000km의 거리에서 25.22일의 주기로 공전하고 있으며 '''S/2010 (225088) 1'''이라는 가부호를 받았으며 2020년 2월 5일 소행성체 센터에서 신화 속 공공의 하인 이름을 딴 '''샹류'''(相繇, Xiangliu)라는 이름을 받았다. [[분류:산란 분포대]][[분류:왜행성 후보 천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