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역대 MSL 일람|{{{#white 역대 MSL 일람 }}}]]''' || || [[곰TV MSL 시즌1]] || → || '''곰TV MSL 시즌2''' || → || [[곰TV MSL 시즌3]] || [[파일:attachment/gomtvmsls2.jpg|align=center]] [목차] == 개요 == * 대회 기간: 2007년 5월 3일 ~ 2007년 7월 14일 * 사용 맵: [[데스페라도(스타크래프트)|데스페라도]](Desperado), [[몬티홀(스타크래프트)|몬티홀]](Monty Hall), [[로키(스타크래프트)|로키]](Loki), [[파이썬(스타크래프트)|파이썬]](Python) * 스폰서: [[곰앤컴퍼니|그래텍]]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24시간 무한채널, [[곰앤컴퍼니|곰TV]] * 조 편성 ||A조||'''[[김택용]]''', [[김남기(프로게이머)|이영호]],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 [[장용석]][* 한때 [[워크래프트 3]]계를 주름잡았던 Freedom.WeRRa 장용석이다.]|| ||B조||~~'''[[마재윤]]'''~~, '''[[박태민]]''', [[허영무]], [[안상원]]|| ||C조||~~'''[[진영수]]'''~~, [[임동혁(프로게이머)|임동혁]], '''[[강구열]]''', ~~[[김창희(1989)|김창희]]~~|| ||D조||[[강민]], [[임요환]], [[고인규]], '''[[이성은]]'''|| ||E조||~~[[원종서]]~~, [[염보성]], [[박영민(1984)|박영민]], '''[[송병구]]'''|| ||F조||[[전상욱(프로게이머)|전상욱]],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윤용태]], [[박성훈(프로게이머)|박성훈]]|| ||G조||[[이윤열]], [[이승훈(프로게이머)|이승훈]], '''[[박성준(1986)|박성준]]''', [[최연성]]|| ||H조||[[변은종]], [[박정욱]], [[이병민]],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 * '''{{{#red 우승}}}''': 김택용, '''준우승''': 송병구, '''공동 3위''': 박태민, 이성은 * 결승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DOM 아트홀(초대가수: [[윤하]]) * 리그 슬로건: THE LIVE * 오프닝 BGM: Manchild - Hard Wax * 결승전 오프닝 BGM: The Used - Pretty Handsome Awkward * 우승 상금: 5,000만 원, 준우승 상금: 2,000만 원 == 특이 사항 == * 우승 상금이 '''3000만 원'''에서 '''5000만 원'''으로 증가. 준우승 상금도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증가. * 리그 방식이 32강 조별 원데이 듀얼-16강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바뀜. * 토너먼트 맵 추첨에 썸다운 제도 도입. * 하부리그인 서바이버 리그 폐지. * 차기리그 시드가 4장에서 8장으로 환원. * 주 2회 방송체제로 전환(목, 토요일). * 기존의 방패 로고 폐지. *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의 공군 입대로 8강 1자리(송병구)와 시드 1장(서지훈)을 와일드 카드전으로 채움. * [[MSL]] 최초의 [[프프전]] 결승. * [[김택용]]의 [[MSL]] 2연패. * 리그 슬로건를 THE LIVE로 변경. * [[일간스포츠]]가 주최사로 참여. * 경기 시간 실시간 카운팅이 시작된 최초의 리그. * 모든 맵이 교체된 유일무이한 리그. * [[임요환]]의 마지막 개인리그. * [[박태민]]의 마지막 개인리그 4강 진출. * 리그 오프닝이 2008 BDA Design World Gold Awards Sport-Open에서 동상 수상. [[http://www.youtube.com/watch?v=hQ1PW0Bt7Ec|곰TV 시즌2 티저 오프닝 링크]] [[http://www.youtube.com/watch?v=qgqtC4eqc-o|곰TV 시즌2 오프닝 링크]] == 리그 대개편 == 엠겜이 본선을 16강에서 32강으로 확대 하면서 이미 확정된 16명 (10차 서바이버리그를 통해 차기 스타리그 진출이 확정된 12명+전 시즌인 곰TV MSL 시즌1 1등-4등)에 이어 추가로 16명을 확보해야 했다. 남은 16자리는 추가 오프라인 예선을 통과한 24명과 10차 서바이버리그 2라운드 조별 결승전 패자 8명, 총 합해서 32명이 4인 1조 구성으로 통 8개조를 이뤄 각각 듀얼토너먼트 형식으로 조당 2명씩, 총 16명이 결정되었다. 본선 시스템도 바뀌었으며 4개조가 4주에 걸쳐서 치렀던 조별리그 듀얼 토너먼트는 32강 원데이 듀얼로 바뀌어 8개조가 4주안에 모두 조별리그를 마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고 2라운드도 8강 조별 듀얼 토너먼트(승자전/패자전/최종전 3전2선승제)-4강 크로스 토너먼트에서 다전제 싱글 엘리미네이션으로 바뀌었다. 이 대회부터는 MSL은 8강부터 5전 3선승제가 적용되었다. 또한, 차기리그 시드도 4장에서 8장으로 환원되어 8강 진출자들은 모두 시드를 받게 되었다. == 이모저모 == === 토스, 자신들을 입증하다. === 토스의 두 축 [[택뱅]]시대를 알린 대회. [[송병구]]는 [[변형태]]에게 불의의 일격을 당해 [[Daum 스타리그 2007]] 4강에 머물렀고 곰TV MSL 시즌 2에서도 16강에서 [[마재윤|저그 본좌]]에게 패했지만 [[이주영(프로게이머)|이주영]]배 와일드카드전에서 승리하며 8강에 진출했다. 그리고 [[강구열]]과 [[이성은]]을 연달아 꺾고 MSL 결승에 진출해 첫 결승을 치르게 되었다. 또한 [[김택용]]도 곰TV MSL 시즌 1에서의 우승이 분명한 자신의 실력에 의한 것이지 운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하려고 했다. 그리고 3:2의 치열한 승부 끝에 2연패를 달성했다. 이때 [[송병구]]가 프프전 희대의 혈전인 [[https://tl.net/tlpd/korean/games/7425_Bisu_vs_Stork/vod|5세트]]에서 ''''사업을 안 해서 패배했다''''[* 굳이 따지면 사업보다는 유닛 업그레이드 차이가 컸다.]는 인터뷰를 해 '송핑계'라고 까였다. === 마레기와 박태민 === [[마재윤|마레기]]는 조지명식에서부터 [[박태민]]에게 '''테란'''을 골라 관광을 보내 주겠다는 둥 과거 팀 선배였던 박태민에게 싸가지없는 도발을 시전, 성질 있기로 유명한 박태민은 분노를 숨기지 않았고 둘의 매치업은 조별 리그의 최대 화젯거리가 되었다.[[https://youtu.be/9esQXQs8RAg?t=24m54s|당시 조지명식 영상]][* 정말 이 당시 박태민의 표정은 농담이 아니라 '''정말 화난 표정이었다.''' 실제로 박태민의 말들을 들어보면 굉장히 독기가 차있는 느낌을 받을수 있다.] 이윽고 데스페라도에서 펼쳐진 [[마재윤|마레기]]와 박태민의 테저전에선 박태민이 '''마레기의 커맨드를 [[https://taeyeon1108.blog.me/30158319358?Redirect=Log&from=postView|처묵처묵하면서]]'''[* 사실 대부분 경기가 기운 상태에서 커맨드 감염이 나오지만, 이 경기에서 퀸의 등장은 다분히 전략적인 선택이었다. 이 맵은 본진 가스가 두 개이고 앞마당에 가스가 없기 때문에, 본진 커맨드를 없애 버리면 순간 가스 채취에 심대한 타격을 받게 된다.] 잊지 못할 관광을 선사했으나, 현실은 박태민의 표정 세리머니[* 이 경기 승리 후는 아니고 승자전에서 안상원을 꺾은 후 간지 표정을 지었다.]가 짤방으로 기억될 뿐... 이 경기에서 [[김철민(게임캐스터)|김철민]] 캐스터가 숨겨진 러커 에그를 두고 "계란 냄새가 나거든요~"라는 주옥같은 드립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 기세를 타고 박태민은 4강까지 오르며 올드 저그의 저력을 보여주었지만 4강 상대가 [[김택용|3.3 혁명가]]이었기에 결국 다음 시즌 시드 확보에 만족해야 했다. 어쨌든 최종전을 거쳐 16강에 진출한 [[마재윤|마레기]]는 [[송병구]]를 잡고 8강에 오르는 등 선전했으나 8강에서 [[이성은]]에게 2:3으로 패배해 고배를 마시고 서서히 몰락하기 시작했다. 이때 본진 이사까지 가면서 배틀까지 뽑은 [[https://www.youtube.com/watch?v=IWin9nRPTQo|1세트]]는 장장 59분간의 혈전으로 최고의 명경기로 회자되고 있다. [[우주방어]] 테란의 사기전설을 널리 알린 경기며 [[https://www.youtube.com/watch?v=ObyDIkzTjxY|5세트]]를 몰래배럭 [[불꽃 러시]]로 승리한 후 [[이성은]]이 시전한 [[https://www.youtube.com/watch?v=yy6huIzmUO0|저질댄스 세레머니]]가 [[마재윤|저그 본좌]]를 비하하는 것이라고 여긴 [[마빡이]]들이 분노해 싸이를 털었다. 그러나, 그 뒤 다들 알다시피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스캔들|어떠한 사건]]이 터졌고, 이로 인해 [[이성은]]은 이 세레머니로 '''흑열사'''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리고 이성은은 와일드카드전을 거쳐 부활한 팀동료 송병구와의 4강전에서 [[접스타]] 의혹을 받으면서 패배, [[토막#s-3|토막]]이라는 것을 보여줘서 더더욱 까였다. 한 스덕후는 스타에서 세트 스코어 5:0 경기를 볼 줄은 꿈에도 몰랐다고 회고했고, 이성은 본인도 후에 [[ABC마트 MSL]] 조지명식에서 이 5:0 관광을 언급하면서 송병구와 같은 조가 되기를 희망했다. === 버그가 아니고 스킬인데 === [[박성훈(프로게이머)|박성훈]] vs. [[김창희(1989)|김XX]]의 [[https://www.youtube.com/watch?v=xDiKCO2qgY0|서바이버 대결]]에서 [[김창희(1989)|김XX]]는 미네랄을 문 SCV로 리턴 카고 단축키(c)를 연타하여 박성훈의 막힌 입구를 비집는 버그성 플레이로 박성훈의 전략을 간파해 MSL에 진출했다. 이후 이 플레이는 공식전에서 금지되었고, 같은 버그를 차기 대회에서 사용한 [[박지수(프로게이머)|박지수]]는 몰수패를 당했다. 이 플레이로 [[김창희(1989)|김XX]]는 '버그테란', '김벌레' 등의 별명을 얻으며 스타판을 뜨겁게 달궜는데, 선수들 사이에서도 반응은 싸늘해서 조지명식에서 [[김창희(1989)|김XX]]와 맞붙게 된 [[강구열]]이 대놓고 "저는 버그를 쓰는 테란에게는 지지 않습니다."라고 말할 정도였다. 이에 그는 발끈해서 '''"버그가 아니고 스킬인데 자꾸 버그 버그 하시니까 좀 그렇고, 강구열 선수 별로 잘 한다고 생각 안 하고요"'''라 맞받아치며 큰 논란을 야기했다. 결국 32강에서 [[김창희(1989)|김XX]]가 강구열에게 2번 연속 KO패하면서 상황은 일단락되었고, 강구열은 벌레를 박멸하는 '[[세스코]] 테란'이라 칭송받게 되었다. 어쨌든 이 대회는 박성훈과 [[김창희(1989)|김XX]]의 경기 말고도 서바이버가 상당히 치열했던 대회다. 덧붙여 [[김택용]]도 이 대회 8강에서 [[진영수|진XX]]를 잡고 올라갔는데 이때 상대편의 빌드가 스캔 러시라 본진을 정찰하지 못하게 입구를 막았으나 김택용이 [[http://www.teamliquid.net/tlpd/korean/games/1174_Bisu_vs_Hwasin/vod|프로브 비비기로 들어와 정찰에 성공]]. 이전에 있었던 [[김창희(1989)|김XX]] vs 박성훈 서바이버에서의 일꾼 비비기 버그 문제와 겹쳐져서 비난을 받았다. 하지만 김택용은 이 경기에서 몰수패를 당하지 않았다. 김창희가 썼던 달리 배럭 건설 중인 일꾼을 어택했고, 이 과정에서 우연히 SCV와 프로브가 비벼지면서 [[진영수|진XX]]의 본진으로 진입한 것이다. [[김창희(1989)|김XX]]가 썼던 버그와는 달리 금지된 비비기가 아닌 것. 엄밀히 말하자면 [[김창희(1989)|김XX]]는 리턴카고 버튼을 이용한 버그성 비비기였고, [[김택용]]은 리턴카고 버튼을 사용하지 않았다. 덧붙여 [[김창희(1989)|김XX]]가 리턴카고 비비기를 사용한 당시에는 금지된 룰이 아니었다. 이 사건으로 논란이 되자 이 버그를 사용한 선수는 몰수패 처리 당하는 것으로 룰이 개정됐다. ~~그러니까 코파지마, 택신에겐 천운이 따랐을 뿐이다~~ === 날카로운 빌드의 귀재, BLADE TERRAN === 상술한 대로 김벌레를 제압한 강구열이 날카로운 빌드의 귀재, 약칭 날빌귀 강수장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한 것이 이 대회였다. 기본기가 부족한 팀플 전문 테란으로 평가받았으나, 극한의 전략성으로 16강에서 [[서지훈(프로게이머)|서지훈]]까지 압살하는 대이변을 연출하며 8강에 진출, 그러나 이후의 행보는... [[강라인]] 항목 참조. === [[임요환]]의 마지막 개인리그 === 임요환이 공군 입대 문제로 8강에서 기권한 프링글스 MSL 이후 간만에 MSL에 진출하여 강민에게 [[https://www.teamliquid.net/tlpd/korean/games/181_BoxeR_vs_Nal_rA/vod|핵관광]]을 선사하는 등 선전했으나, 최종전에서 다시 만난 강민에게 역관광을 당하고 탈락했다. 이후 그는 소속팀의 조치로 서바이버 토너먼트에 불참했고 그 후에는 예선전에서 번번히 떨어지면서 이 대회가 마지막으로 진출한 개인리그가 됐다. 임요환은 곰TV MSL 시즌2 본선 진출에 성공하면서 MSL 본선 10회를 기록, 이윤열, 조용호에 이어 세 번째로 스타크래프트 개인리그 10-10 클럽 달성자가 되었다. == 예선 파행 사태 == 본 대회 예선은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 기간과 정확하게 일치하는데 협상이 결렬되면서 [[PSL]]이 진행되던 도중 협회의 지시를 받은 비방송사팀들이 예선장에서 철수하는 개막장 사건이 터졌고 이 상황이 LIVE로 생중계되면서 협회는 여론의 일점사를 당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프로리그 중계권 사태]] 항목 참조. 그리고 이 사태로 인해 리그 준비 기간이 짧아지면서 오프닝도 김택용 혼자만 출연하는 안습한 상황이 벌어지기도. [[분류:M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