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와 [[철마면]] 웅천리를 연결하는 터널이다. [[정관산업로]]를 구성하는 터널로, 2005년 4월에 착공하여 2009년에 완공 후 같은 해 [[10월 21일]]에 [[개좌터널]]과 함께 개통되었다. [[백양터널]]과 마찬가지로 비가 내리면 어김없이 [[교통사고]] 나는 터널로 악명높다. 비뿐만 아니라 눈이 와도 꼼짝없이 사고가 발생한다. == 규모 == * 편도 2차선의 쌍굴 형식. * 총 연장 : '''1846m''' == 시설 == 2000년대 후반에 만들어진 터널답게 터널 내부 시설은 그럭저럭 괜찮은 편이다. 자동제어설비 시스템에 의하여 조도, 교통량, 풍향, 풍속,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가시 거리 측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터널 내부는 대형 송풍기에 의해 최적 환기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터널내의 오염도(일산화탄소 기준치 50 PPM)가 항상 기준치 이하로 관리된다. == 특징 == [[기장군]] [[철마면]] 웅천리와 [[정관읍]] 용수리를 잇는 터널이다. 같은 기장군 내 인데도 이 둘 지역은 곰내재(곰내고개) 라는 험준한 고개로 가로막혀 있어서 곰내터널 개통 전까진 왕래가 불편하였으며 이 곰내재를 넘어가는 [[부산 버스 73|73번]]에만 의존해야 했던 상황이었다. 사방팔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나 마찬가지인 [[기장군]] [[정관신도시]] 내에서 그나마 [[부산]] 도심 [[번화가]] 지역으로 이어주는 [[도시고속도로]] [[번영로(부산)|번영로]]가 있는 곳까지 가려면 무조건 이 터널을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평일 [[러시 아워]] 시간에는 [[교통 체증]]으로 인한 헬게이트가 열린다(...) 따라서 정관신도시 주민들한텐 없어서는 안될 아주 중요한 터널이다. 반면 기장군은 폭우나 폭설에 매우 취약한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2014 동남권 폭우 사태]]가 발생했을 때 곰내터널 대부분이 [[침수]]되는 참사가 일어나서 정관신도시는 이 날 완전히 고립되었던 적이 있었다. 반면 [[폭설]]이 와도 심각한 문제인데 정관신도시 바깥에 거주하는 학교 [[선생님]]들이 정관신도시 내에 있는 초중고등[[학교]]로 출근을 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그 날 [[수업]]이 오전 10시까지 지연되는 웃지 못할 사태가 간혹 발생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바깥에서 정관신도시 내부로 들어오려면 이 터널을 반드시 통과하여야 한다. 이 터널 외에도 월평 쪽에서 넘어오는 월평고개와 좌천리에서 넘어오는 도마고개가 있다. 그런데 신도시 조성 이후 시내 나가는 관문 역할을 곰내터널이 하고 있다. 즉 양 방향 다 막힌다는 소리. 즉 이 터널 막히면 정관신도시는 외부로부터 고립되기가 아주 쉬운 동네다. == 경유 노선 == 정관신도시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 부산시내로 나가는 노선은 반드시 이 터널을 통과한다. * [[부산 버스 105]] ([[사직동(부산)|사직동]] ↔ [[연산교차로]] ↔ [[정관신도시|정관박물관]]) * [[부산 버스 106]] ([[정관신도시|정관]] ↔ [[부산광역시청|시청]] ↔ [[서면]]) * [[부산 버스 107]] ([[정관신도시|정관]] ↔ [[철마면|철마면사무소]]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부산 버스 184]] ([[정관신도시|정관]] ↔ [[철마면|철마면사무소]] ↔ [[반여농산물시장역|반여농산물시장]]) * [[부산 버스 1008]] ([[동남권원자력의학원|좌천원자력의학원]] ↔ [[부산대학교|부산대]] ↔ [[동래역(도시철도)|동래역]]) == 주의사항 == 곰내터널을 빠져나오면 터널 입구로부터 약 150m 앞에 바로 '''평면'''[[교차로]]가 있고 그 앞에는 70km/h 구간단속 종점 카메라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반대로 곰내터널 진입 차량들은 차선이 4차로에서 2차선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이 점 유의하며 [[운전]]해야 한다. [[자동차전용도로]]가 아니지만 이륜차와 오토바이는 이용할 수 없다. 기존도로를 이용해야한다. 다행히 인근에 개좌고개보다는 길이 얌전한 편이다. 터널설계상의 문제인지 의도한것인지는 알수없으나 일부 구간에서 차량이 다소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운전시 주의해야한다. == 기타사항 == 2016년 9월 2일 곰내터널 안에서 '''유치원 [[통학버스]]'''[* 동래구 사직동 예인 유치원.]가 미끄러져 전복되는 대형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다들 [[안전벨트]]를 착용한 덕분에 사망자는 물론이거니와 큰 부상자는 한 명도 없었고, 사고 당시 버스 근처에서 차를 몰고 있던 10여명의 사람들이 잇달아 도와주면서 덕분에 버스에 타고있던 21명의 유치원 아동과 인솔교사는 빠르게 구출되었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구조활동 덕분에 사고소식이면서도 훈훈한 미담으로 남게 되었다. 이후 '''중국에서 일어났던 [[웨이하이 터널 한국 유치원 버스 화재 사고]]에 비교하면 [[시민의식]]의 큰 차이를 볼 수 있는 사례'''. 이 때문에 제한속도를 70km/h로 단축시키고, 2017년 5월 30일부터 [[구간단속]]을 시행하였다. [youtube(R-RR0IXQahk)] 여담으로 이 터널의 명칭을 딴 곰내터널입구 [[버스 정류장]]이 터널 앞쪽에 있었으나 이 정류장으로 인하여 버스가 정차하면서 [[교통사고]] 및 안전사고 우려가 발생하여[* 터널 입구 바로 앞쪽에 정류장이 있는 특성상 가감속으로 인하여 교통사고가 많이 우려되었다.] 이 정류장을 폐쇄하고 [[동원로얄듀크]] 2차 아파트가 준공됨에 따라 정류장을 아파트가 있는 쪽으로 이전하였으며, 기존 정류장은 매곡리 정류장으로 변경되어 곰내고개로 올라가는 [[부산 버스 73|73번]]이 단독으로 정차하게 되었다. 밤시간대에는 도로의 특성상 과속을 하는 차량들이 많은데 가끔식 고라니가 출물하니 조심하자. [[분류:부산광역시의 터널]][[분류:기장군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