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로마자로 표기된 것, rd1=GO, other2=영어 동사, rd2=go(영어))] [목차] == 한자 == [include(틀:주요 한국 한자음/11~106)] [[한국 한자음]]으로 음이 '고'인 한자는 한국어 IME 기준으로 203자나 된다. [[이체자]]나 벽자를 제외한 검은 글자를 기준으로 39개이다.[* 高考告古固故苦庫顧 雇孤稿鼓枯攷膏姑皐 拷錮痼藁叩敲睾股袴 呱錮賈誥蠱沽槁尻暠 羔苽菰(띄어쓰기는 IME 페이지).] 이 중에서 자주 쓰이는 건 1~2페이지 즈음인 [[高]]考告[[古]]固[[故]][[苦]]庫顧雇孤 정도인 듯. [[교육용 한자]]에는 여기에 雇를 빼고 姑, 枯, 稿, 鼓를 더해 14자가 실려있다.[* 古 (옛 고) · 告 (알릴 고) · 固 (굳을 고) · 故 (옛 고) · 考 (상고할 고) · 苦 (쓸 고) · 高 (높을 고) · 姑 (시어미 고) · 孤 (외로울 고) · 庫 (곳집 고) · 枯 (마를 고) · 稿 (볏집 고) · 顧 (돌아볼 고) · 鼓 (북 고).] 古를 음부로 두는 글자들이 꽤 있다. 固, 故, 苦, 枯, 姑, 錮, 痼 등. 高 역시 稿, 膏, 藁 등 高를 음부로 둔 글자가 꽤 있는 편. === [[高]] === 높을 고. 높이 쌓인 것이나 높은 곳을 나타낼 때 쓰이는 한자. '높다'라는 직관적인 의미상 읽기 [[준6급 한자]]로, '고'로 읽는 글자 가운데 제일 쉬운 글자이다. ==== 고등학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등학교)] === [[古]] === 옛 고. 읽기 [[6급 한자]]. 옛날, 구시대의 물건 등을 나타내는 한자. === [[苦]] === 괴로울 고. 읽기 [[6급 한자]]. 괴로운 감정이나 쓴 맛 등을 나타낼 때 쓰는 한자. === [[告]] === 알릴 고. 읽기 [[준5급 한자]]. '[[고백]]'(告白), '[[보고]]'(報告) 등의 [[한자어]]가 있다. 드문 발음으로 '곡'도 있다. [[일본어]]로는 이쪽이 더 흔해서 こく로 많이 읽는다. === [[考]] === 생각할 고. 읽기 [[5급 한자]]. '숙고'(熟考), '사고'(思考) 등의 [[한자어]]가 있다. 특급 한자 攷는 마찬가지로 '생각할 고, 상고할 고'로 考와 음/훈이 비슷하다. 攷는 주로 책 이름에 쓰인다(예: 물명고(物名攷)). 物名攷를 필사해서 物名考라고 표제에 적는 등 서로 통하는 글자로 써왔던 모양이다. === [[固]] === 굳을 고. 읽기 [[5급 한자]]. 굳은 물체나 굳건함 등을 나타낼 때 쓰이는 한자. 사용례로는 [[고체]](固體), 완고(頑固) 등이 있다. 사람 인 변이 붙은 個는 발음이 '개'로 크게 다르다. === [[故]] === 연고 고. 읽기 [[준4급 한자]]. 옛 고(古)와 비슷한 의미로도 쓰이고, '[[고향]]'(故鄕), '[[사고]]'(事故) 등 상당히 다양한 맥락에서 쓰인다. 한국어에서는 아래 1자 한자어 관형사 문단에서 보듯 죽은 이의 이름에 붙이는 관형사로도 쓰이는데, 아마 '[[고인]]'(故人)이라는 한자어에서 비롯한 것 같다. --고자(故子)-- === [[庫]] === [[창고]] 고. '곳집 고'라고도 한다. 읽기 [[4급 한자]]. [[차]]([[車]])를 [[집]](广)에 넣어둔다는 아주 심플한 제자 원리를 가진 글자이다. '창고 고', '곳집 고'와 같이 훈에서도 '고'를 쓰는 데에서도 알 수 있듯이 '창고'(倉庫)를 뜻하는 [[순우리말]]이 없는 관계로 온갖 창고에 자주 쓰인다. [[보급고]], 곳간(庫間), [[격납고]] 등. === [[孤]] === [[외로움|외로울]] 고. 읽기 [[4급 한자]]. '[[고독]]'(孤獨), '[[고립]]'(孤立), '[[고아]]'(孤兒) 등의 [[한자어]]가 있다. 1자로만 쓰면 [[왕]]이나 제후가 스스로를 일컫는 말로 쓰였다. [[춘추전국시대]] 때까지만 해도 군주가 스스로를 일컫는 명칭으로 쓰였으나, [[진시황]]이 왕위에 [[황제]]라는 호칭을 만들어 자신이 스스로 그 자리에 오름으로써 [[짐]](朕)이라고 칭한 뒤에는 짐의 가치가 올라가, ~~[[EPL]]~~ 孤는 상대적으로 왕이나 제후가 스스로를 칭하는 말로 낮아져버렸다. [[삼국지]]에서 '남면칭고(南面稱孤)'라는 말이 종종 나오는데, 이것은 당대 호족들의 최대 바람 중 하나였다. === 顧 === 돌아볼 고. 읽기 [[3급 한자]]. '회고'(回顧), '[[고문(동음이의어)#s-3|고문]]'(顧問)[* 제일 흔히 쓰이는 '고문(拷問)'의 글자는 拷로 [[1급 한자]]로 한국어에서 주된 용례는 이 '고문'뿐이다.] 등의 단어가 있고, '[[고객]]'(顧客)이라는 단어도 있는데 한자 각각의 풀이만으로는 왜 顧를 쓰는지 알기 어렵다. === [[鼓]] === [[북(악기)|북]] 고. 읽기 [[준3급 한자]]. === 雇 === 품팔 고. 읽기 [[2급 한자]]로 꽤 어려운 한자로 분류되지만, '고용하다'를 대체할 [[순우리말]]이 별로 없기 때문에[* '품(을) 팔다'와 짝을 지어 '품(을) 사다'와 같은 표현이 있기는 하다. '품 팔다'도 자주 안 쓰이는 편이지만 '품 사다'는 더더욱 용례가 없는 편.] '고용'(雇用)이라는 한자어가 [[회사]]나 [[기업]] 쪽에서 정말 많이 쓰인다. [[고용률]](雇用率), [[고용보험]](雇用保険), 고용계약(雇用契約) 등. '[[해고]]'(解雇) 역시 이 한자를 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육용 한자]]에는 속하지 않는다. 교육용 한자는 대개 [[3급 한자]]까지 수록하는 경향이 있다. == 한국 [[고(성씨)|고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성씨))] == 한국어 == === 죽은 사람 이름에 붙이는 관형사 [[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故)] === [[고(어미)|연결 어미 -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어미))] == 외국어 == === 일본어 === ==== '[[바둑]]'을 뜻하는 [[일본어]] 碁 ==== [[こ|ご]]. 碁의 [[일본 한자음|음독]]이다. [[알파고]]의 '고'가 이 '고'에서 유래한 것이다. ==== [[일본어]] 미화어 ==== [[오]](お)와 함께, 어휘 앞에 붙이면 좀 더 정중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온갖 단어 앞에 붙일 수 있다. 원래 일본 [[고유어]] 앞에는 오를 붙이고 [[일본 한자음]]으로 읽는 단어 앞에는 고를 붙인다. 하지만 한자음인 [[전화]], [[시간]]에 오를 붙여 お電話, お時間이라고 하는 것처럼, 반드시 지켜지지는 않는다. === '가다'를 뜻하는 영어 [[go(영어)|go]]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go(영어))] === [[소|암소]]를 뜻하는 외국어 === गो / گو / Go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우르두어]]로 [[소|암소]]를 뜻한다. === [[부탄]]의 남성용 의상 === 부탄의 남성용 의상을 '''Gho'''로 표기하며, 남성용 민족 의상이기도 하다. === 영화 === [include(틀:더그 라이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youtube(CgZe6M2-sxU)] [[더그 라이먼]] 연출의 1999년 영화로, [[윌리엄 피츠너]], [[케이티 홈즈]], 제이 모어, [[세라 폴리]], 스콧 울프 등이 출연했다. == 이름 == === 실존인물 === * [[모리타 고]]: [[V6]]의 멤버 * [[이와세 고]]: 축구 선수 * [[이치노세 고]]: [[일본]] 게임 [[작곡가]] [[게임 프리크]] 소속 === 가상인물 === * [[유희왕 VRAINS]] - [[오니즈카 고]] * [[모브사이코100]] - 아사히 고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국어의 문법 요소]][[분류:영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