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라남도의 시내버스 회사)] [include(틀:고흥군의 교통)] [include(틀:보성군의 교통)] || [[파일:external/librewiki.net/20150718_132431.jpg|width=100%]] || [[파일:고흥여객5041.jpg|width=100%]] || |||| 차량 전면 유리창에 써있는 특유의 '''{{{+4 {{{#RED 군 내 버 스}}} }}}'''가 인상적인 회사.[* 최근 차량들은 새 판본으로 교체되어 위 사진처럼 작게 바뀌었지만, 예전에는 큼직하게 네글자로 '''{{{+2 {{{#RED 군 내 버 스}}} }}}'''만 써있었다. 지금도 구형 차량 한정으로 볼 수 있다.] 차량은 [[현대자동차|현대차]]와 [[자일대우버스|대우차]]가 골고루 섞여 있다.[* 차호대는 전남73 아 5001~5055이며 42대로 운행한다.] || [목차] == 개요 == [[전라남도]] [[고흥군]]의 교통을 책임지는 [[농어촌버스]] 회사. 본사는 [[고흥공용정류장]]에 있다. 다른 농어촌버스들이 그러듯이 배차간격이 매우 긴데다 공휴일엔 감회 운행한다. --응?-- 당연히 운행 시간표를 확인 후 이용해야 한다. 2017년 1월 1일에 고흥군 군내버스에 대해 시계외요금 및 구간요금을 완전 폐지하고 현금기준 전구간 요금 1,000원(청소년 800원, 어린이 500원)으로 단일화하였다. [[http://www.goheung.go.kr/g_board/board_read.jsp?id=goheung_s01_02&num=171194|링크]] (처음 한 달 정도는 청소년과 어린이 요금이 800원, 500원이었으나, 그 뒤 얼마 안 있어 100원과 50원으로 바뀌었습니다.) 단말기는 아직 삼원FA 구형을 사용하였다가 2023년 1월에 [[삼원FA]] 신형으로 교체하였으며 사용할 수 있는 선불교통카드는 [[캐시비]], [[마이비카드]], [[한페이]], [[티머니]]가 지원되나 [[영광교통|영광]],[[구례여객|구례]]처럼 후불교통카드는 지원되지 않는다. == 요금 == || 권종 || 성인 || 중고생 || 어린이 || || 현금 || 1,000원 ||<-2> 100원 || || 카드 || 950원 ||<-2> 50원 || 교통카드 이용 시 50원 할인. 전구간요금 단일요금제 시행 중[* 2017년 1월 1일부터 [[고흥군]], 벌교 방면 전구간 버스요금 단일화.]이며, 무료 환승은 불가능하며 환승시에는 요금이 추가로 부과되니 주의. == 노선 == * 고흥군이 땅이 넓어서 그런지 노선이 '''엄청 많다.''' 허브 터미널로는 군청 소재지에 있는 [[고흥공용정류장]]을 비롯하여 녹동버스공용정류장, 과역버스터미널, 나로도공용버스터미널, 도화정류소, 그리고 [[보성군]] [[벌교버스공용터미널]], 이렇게 6개나 된다. * 고흥여객인데 동강, 대서 지역은 고흥행보다 벌교행이 비중이 더 높다. 생활권상 어쩔 수 없는 모양. * 시골 버스의 특성상 신호도 거의 없고 정류장의 사람도 10정거장 중 1정거장에 있을까 말까라 출발하면 종점까지 갈 때까지 한 번도 안 멈추는 경우도 있다. * 2019년 9월 경에 버스정보시스템 및 번호제가 도입될 예정이었으나 2020년 9월 현재도 무소식이다. 단말기에 BIS 관련 공지사항이 있긴 하다. === 벌교터미널 출발노선 === * 벌교터미널-동강-남양-과역-고흥[*A 25회(일요일:21회)운행. 배차간격 20분~1시간. 중 3회는 대서경유, 5회는 대곡리경유.] * 벌교터미널-동강-남양-과역-용정-고흥 * 벌교터미널-동강-마륜-대서-장사-송림 * 벌교터미널-동강-마륜-대서-신기(화천) * 벌교터미널-관덕-동강-마륜-대서-신기(화천)[* 1회만 있다고 전해진다.] * 벌교터미널-동강-마륜-대서-장선포 * 벌교터미널-동강-마륜-대서-장선포-[[조성역]][* 맨 위의 사진에 나온 행선지. 대서면에서 조성면 쪽으로 가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연장운행하는 것으로, 위에도 말했듯이 벌교에서 조성 갈 사람이 이 버스를 타면 그야말로 [[호갱]]이 된다. --그러니까 [[보성교통]]을 타자.--] * 벌교터미널-동강-마륜-대서-송림 * 벌교터미널-관덕-동강-계매-망주 * 벌교터미널-한천-죽암[* 죽암에서 돌아올 때는 죽암→동강→당곡→벌교 순으로 운행한다. --순환버스--] * 벌교터미널-당곡-동강-죽암[* 죽암에서 돌아올 때는 죽암→한천→벌교 순으로 운행한다. --순환버스 2--] * 벌교터미널-동강(심야노선)[* 밤 7시 30분, 8시에 있다. 이후 운전한 버스기사가 동강에서 숙박 후 아침 6~7시대에 동강에서 신기, 장선포, 장사로 출발하는 형식.][* 아침 한정으로 [[보성교통]]과 공동배차한다.] === 과역터미널 출발노선 === * 과역터미널-점암-금사-양사-남열[* 남열해돋이해수욕장 바로 앞까지는 안 가고, 남열마을에서 종착한다.] * 과역터미널-점암-천학-평촌-고흥종합(공용)버스터미널 * 과역터미널-운대-고흥종합(공용)버스터미널 * 과역터미널-신전-심포-인학-구곡 * 과역터미널-송학-외로-호곡-도야 * 과역터미널-여동-독대-백일 * 과역터미널-독대-슬항-백일 * 과역터미널-점암-금사-양사-남열-용암-간천-금사-점암면사무소-과역터미널[* 과역터미널-과역터미널 펀도 순환노선] * 과역터미널-점암-금사-양사-남열-만호동-금사-만호동-천학승강장-자연동-고흥종합(공용)버스터미널[* 과역터미널-점암면사무소-영남면사무소-남열리-영남면사무소-만호동-금사-만호동-천학승강장-자연동-고흥종합(공용)버스터미널 편도순환노선] === 고흥터미널 출발 노선 === * 고흥터미널-과역-남양-동강-벌교[*A] * 고흥터미널-죽시-학동-녹동 * 고흥터미널-두곡-풍류-한적-녹동 * 고흥터미널-길두-신호-구암-상동-도화 * 고흥터미널-덕흥-백양-신초 * 고흥터미널-덕흥-백양-나로도 * 고흥터미널-남성-덕흥-백양-나로도 * 고흥터미널-덕흥-백양-봉남-나로도-창포-우주센터 * 고흥터미널-자연동-금사-양사-남열 * 고흥터미널-죽시-학동-녹동-소록도-대흥-우두 === 녹동터미널 출발 노선 === * 녹동터미널-관리-학동-당두-죽시-고흥종합(공용)버스터미널 * 녹동터미널-대봉-봉암 * 녹동터미널-잠두-장예-장수 * 녹동터미널-관리-신흥 * 녹동터미널-안평-학동-금호-용동-풍유-두원-고흥 * 녹동터미널-관리-학동-분매-은전 * 녹동터미널-안평-중촌-은전-매곡-백석-풍남-강동-가화-도화-봉산-익금-남성 * 녹동터미널-용정-남암 * 녹동터미널-소록도-대흥-우두[*B [[대흥여객]]과 공동배차] * 녹동터미널-소록도-대흥-석교-신평-홍련-명천-오천[*B] * 녹동터미널-소록도-금진-대흥-옥룡-금장-오천[*B] == 시간표 == [[파일:고흥여객 시간표.gif]] 2015년 기준. 현재는 이보다 감회되어 시간표가 맞지 않다. [[분류:전라남도의 시내버스 회사]][[분류:농어촌버스]][[분류:고흥군의 교통]][[분류:나무위키 버스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