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파일:고훈식시인.jpg|width=100%]]|| || '''이름''' ||고훈식 || ||<|2> '''출생''' ||[[1947년]] [[9월 15일]] || ||[[제주특별자치도]] || || '''사망''' ||[[2023년]] [[1월 9일]] (향년 75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학력''' ||[[오현고등학교]] {{{-1 (졸업)}}}[br][[제주관광대학교]] {{{-1 (일어통역학과 / 학사)}}} || || '''데뷔''' ||1991년, 표현문학 등단 || || '''직업''' ||시인, 극작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시인, 극작가. == 생애 == 오현고등학교, 제주관광대학교 일어통역학과를 졸업했다. 1991년, 표현문학 등단으로 시인을 데뷔했고, 같은 해에 시집인 새벽안개 학문사를 출간한 후 작품인 '표현'으로 신인상을 받았다. 1998년, 문학의 해 조직위원회 공로상을 받았으며, 같은 해 제주문인협회에 공로로 공로상을 받았다. 2015년 2월부터 제주문인협회 회장을 지내기 시작했다. 2020년, 제주도의 뮤지컬을 위한 극 대본의 시 낭송인 홍윤애와 조정철의 눈물보석 궤삼봉을 써냈으며, 2021년에 고훈식문학전집 3, 4를 출간했다. 2022년 10월, 제주도에 열린 창작 뮤지컬 홍윤애에서도 대본을 맡았다. 주 공로로는 제주어의 우수성을 과시하고 토속어 보존 및 보급에 앞장섰으며, 10년간 제주도 내에서 문예 창작교실을 개최하여 후진을 양성해 25명을 문단에 시인으로 등단시킨 적도 있다. 2023년 1월 9일, 향년 75세로 사망했다. == 대표작 == * 푸른 까마귀의 노래 (1995) * 제주도 맑은 하늘 (2004) * 꿈꾸는 하얀 집 (2006) * 사랑했다 썅 (2010) * 수평선 너머의 지평선 (2017) * 시낭송은 언어의 탱고 (2019) [[분류:대한민국의 시인]][[분류:대한민국의 극작가]][[분류:1947년 출생]][[분류:1991년 데뷔]][[분류:2023년 사망]][[분류:오현고등학교 출신]][[분류:제주관광대학교 출신]][[분류:제주특별자치도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