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전북대학교 총장)]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2> {{{#fff '''제2대 전북대학교 총장'''}}}[br]{{{#fff '''{{{+1 고형곤}}}[br]高亨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형곤박사.jpg|width=100%]]}}} || || {{{#fff '''본관''' }}} ||[[제주 고씨]] || ||<|2> {{{#fff '''출생''' }}} ||[[1906년]] [[4월 16일]] || ||[[전라북도]] [[임피면|임피군]] 남일면 상갈리[br](現 전라북도 [[군산시]] [[임피면]] 월하리 상갈마을)[* [[제주 고씨]] 집성촌이다.] || ||<|2> {{{#fff '''사망'''}}} ||[[2004년]] [[6월 25일]] '''(향년 98세)''' || ||[[서울특별시]] [[서초구]] || || {{{#fff '''호'''}}} ||청송(廳松) || || {{{#fff '''학력'''}}} ||[[이리농림학교]] {{{-2 (졸업)}}}[br][[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2 ([[철학]] / [[학사]])}}}[br][[경성제국대학]] [[대학원]] {{{-2 ([[철학]] / [[석사]])}}}[br][[서울대학교 대학원]] {{{-2 ([[철학]] / [[박사]])}}} || || {{{#fff '''가족관계'''}}} ||아버지 고병소(高炳韶), 어머니 조씨[br]부인 장정자[br]아들 고석윤, 고경[* 1936년생으로 젊어서 요절.], '''[[고건]]'''[br]딸 고혜경, 고혜련 || || {{{#fff '''의원 선수'''}}} ||'''1''' || || {{{#fff '''의원 대수'''}}} ||'''[[제12대 국회의원|6]]''' || || {{{#fff '''약력'''}}} ||[[동아일보]] 기자[br][[연희전문학교]] 강사[br]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교수[br]학술원 회원(철학)[br]한국철학회 초대회장[br]美 [[예일대학교]] 교환교수[br][[전북대학교]] 총장[br][[제6대 국회의원 선거|제6대]] 군산시-옥구군 지역구 국회의원([[민정당]]-[[민중당(1965년)|민중당]]-[[신민당(1967년)|신민당]]) [br][[민정당]] 사무총장[br]대한민국학술원 원로회원, 종신회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bulgyo.com/84115_21343.jpg|width=100%]]}}}|| || {{{#fff '''1990년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ibulgyo.com/20395_936.jpg|width=100%]]}}}|| || {{{#fff '''200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철학자, 교육자. == 일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고형곤/family.jpg|width=100%]]}}}|| || {{{#fff '''2002년 가족사진. 다복이라는 말이 잘 어울린다.'''}}} || [[전라북도]] [[임피면|임피군]] 남일면 상갈리(현 [[군산시]] [[임피면]] 월하리 상갈마을)에서 태어났다. [[전북대학교/캠퍼스|이리농림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구제고등학교|경성제국대학 예과]]에 입학, 1930년 법문학부로 진학하여 1933년 경성제대 철학과를 졸업했다. 1938년에 [[연세대학교|연희전문학교]]에 부임, 1944년까지 연희전문학교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8.15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교수를 지냈다. 51년부터 학술원 회원으로 있으면서 도미경험 등을 통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철학계에 서양철학을 소개하였다. 1958년에 서울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59년에 [[전북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는 등 학술활동에 힘썼다. 1963년부터 1967년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옥구군 선거구에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민정당]]-[[민중당(1965년)|민중당]]-[[신민당(1967년)|신민당]])을 역임하였다. 98세까지 장수했다.[* 아들 고건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는 것까지 보고 사망했다!] 그의 아들이 [[고건]] 전 국무총리다. 고 총리도 젊은 시절에는 서울대를 다녔는데, 그렇다보니 한 수업에 부자가 같이 있는 진풍경도 벌어졌다. 하지만 공과 사를 구분했기 때문인지 수업 중 별다른 일이 일어나지는 않았다고 한다.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95|2002년 불교신문 인터뷰]]. [[http://shindonga.donga.com/docs/magazine/shin/2004/11/24/200411240500096/200411240500096_1.html|아들 고건의 부친 회고]]. 회고가 아주 상세하다. == 기타 == 고형곤 박사에 대한 일화들. [[http://m.wikitree.co.kr/mobile_view.php?ar_id=677&part=&search=|출처]]. [[http://www.wongaksa.or.kr/temple/junggak/junggak_05_view.html?page=2&table=ML_BBS&idx=4&id=125&limit=&keykind=&keyword=|금강삼매경론 번역 일화]]. * 모르는 영어 단어가 있으면, 학생들에게 솔직하게 물어봤다. "나는 이 단어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너희가 가르쳐 달라"고. * 당시 서울대 문리대는 동숭동 캠퍼스에 있었다. 어느 날 김진규 씨와 김지미 씨가 동숭동 대학로에서 영화촬영을 했는데, 고형곤 박사는 수업에 들어와서 "자! 모두들 영화촬영 보러가자. 아주 멋진 러브 스토리라는데 그게 수업보다 더 중요한 거야!" * 하루는 야외수업한다는 핑계로 철학과 학생들을 데리고 야외로 나갔다. 그런데 막 비가 그친 참이었는데, 물에 젖은 땅위로 지렁이들이 한 뭉탱이 기어나와 꿈틀거리고 있더란다. 고 박사 왈, "와! 저 지렁이들의 기쁨에 넘친 환희의 몸짓을 봐라!" 그 때 한 학생이 고 박사의 말에 초를 쳤단다. "저게 어떻게 환희의 몸부림입니까? 악착같이 살아 남기 위한 고통의 몸부림이지요." 그때, 고 박사가 호탕하게 웃으면서 "그게 바로 관점의 차이란다. 오늘 철학 수업 끝!" 하였다고. * [[김영삼]] 전 대통령의 은사라고 한다. * [[이순재]]의 은사였다. 이순재가 연극부 활동을 하면서 공연 준비 때문에 강의에 못 들어갈 것 같을 땐, 고형곤 교수를 찾아뵙고 양해를 구했는데 그는 "그래, 연극도 잘하면 철학이야."라면서 흔쾌히 사정을 봐주었다고 한다. * 14대 [[국방부장관]]을 역임한 [[박병권]] 중장의 은사였다. 박병권 중장이 [[육군훈련소]]장 재임 시 중졸 이하 장병들의 교육여건 제공을 위해 훈련소 인근에 전북대 황화분교를 유치한 것 역시 고형곤 박사가 당시 전북대 총장이었을 시절 [[https://www.ymveteran.com/bbs/board.php?bo_table=apark&wr_id=27&page=2&device=pc| 성사된 것]]으로 알려졌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 [[전라북도|전북]] 2[* 군산시, 옥구군] ||[include(틀:민정당)]|| '''21,024 (30.23%)''' || '''당선 (1위)''' || '''초선'''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당)] || 1954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54 - 1955 || [[사사오입 개헌]]에 대한 반발로 자유당 탈당 || ||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955 - 1960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0 - 1963 ||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정당)] || 1963 - 1965 || 입당 || || [include(틀:민중당(1965년))] || 1965 - 1967 || 합당[* [[민주당(1963년)]]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7 - 1969 || 합당[* [[신한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69 || 자진 정당 해산 || || [include(틀:신민당(1967년))] || 1969 - 1973 || 정당 재등록 || || [include(틀:무소속)] || 1973 || 탈당 || || [include(틀:유신정우회)] || 1973 - 1978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78 - 2004 || 탈당[br]정계 은퇴[br]작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6대 국회의원/전라북도)] [각주] [[분류:인문과학 교수]][[분류:제6대 국회의원]][[분류:민정당 국회의원]][[분류:민중당(1965년)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7년)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철학자]][[분류:군산시 출신 인물]][[분류:제주 고씨 문충공파]][[분류:1906년 출생]][[분류:2004년 사망]][[분류:경성제국대학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전신 학교/인문대학]][[분류:전북대학교 재직]][[분류:전북대학교 총장]][[분류:기자 출신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교육인 출신 정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