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古土驛 / Kotho Station }}} ||<-3> {{{+2 '''고토역'''}}}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 남도 고토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Kotho || || [[한자]] ||<-2><|2> 古土 || || [[간체자]] || || [[일본어]] ||<-2> コト || ||<-3> '''주소''' || ||<-3> [[함경남도]] [[장진군]] 황초로동자구 || ||<-3> '''관리역 등급''' || ||<-3> 불명[br](함흥철도총국) || ||<-3> '''운영 기관''' || || [[장진선]]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파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로고.svg|width=120px]]]] || ||<-3> '''개업일''' || || [[장진선]] ||<-2> 1934년 11월 1일 || ||<-3> '''열차거리표''' || || [[영광역(신흥선)|{{{#585858 {{{#!html
영광 방면
}}}}}}]][[황초령역|황초령]][br]← 5.4 ㎞ || '''[[장진선]]'''[br]고 토 || [[사수역|{{{#585858 {{{#!html
사수 방면
}}}}}}]][[부성역(장진선)|부 성]][br] 5.2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진선]]의 철도역. [[함경남도]] [[장진군]] 황초로동자구 소재. 황초로동자구의 중심부에 있는 역이라서 그런지 역 자체는 크다. == 역 정보 == 인근에 인입선으로 보이는 것들이 잔뜩 깔려 있기는 한데, 당최 '''선로와 도로를 잘 구별할 수 없다.''' 1937년의 개마고원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7092900209108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7-09-29&officeId=00020&pageNo=8&printNo=5779&publishType=00010|기행문]]에는 "고토리라는 이름은 꼭 옛 전장(戰場) 같은 느낌"이라고 했는데 불과 13년 뒤에 전쟁터가 될 줄은 몰랐을 것이다. 이 고토리라는 이름은 미 해병대 제1사단에게는 절대로 지울 수 없는 악몽 같은 이름이다. 바로 '''[[장진호 전투]] 때문'''. 제1사단이 여기와 하갈우리([[장진역]] 인근), 유담리(이쪽은 철도조차 없다), 진흥리([[삼거역]] 근처)에 나뉘어 포위되어서 전멸 직전까지 몰린 바가 있다. [[황초령]] 이북에 있는 미 해병대의 원진 중 가장 남쪽에 있기 때문에 미 해병대의 탈출로를 저지하려는 중공군과 치열한 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당시 벌어진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간이 활주로가 건설되기도 했다. 역 시설은 전부 한국전쟁 이후에 재건된 것이다. 미 해병대가 고토리에서 철수할 때 역을 포함한 철도 시설을 '''완전히 폭파'''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고도는 1,131m로 황초령에 비해서 조금 낮은 편. [[분류:193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장진선]][[분류:북한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