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사성어|| ||[[高]]||[[枕]]||[[安]]||[[眠]]|| ||높을 고||배게 침||편안할 안||쉴 면|| ||일본어||こうちんあんみん(고친안민)|| ||영어||He was to suffer theft because of his neglecting caution by off guard.|| == 곁 뜻 == 베개를 높이 하여 편히 잘 잔다는 뜻. == 속뜻 == 1. 근심 없이 편히 잘 잠. 2. 안심할 수 있는 상태 3. 마음이 한가하고 여유가 있어 아무런 근심이 없는 상태를 이르는 말 == 출전 == [[전국책]] 위나라 [[애왕]]편, [[사기(역사책)]] [[장의]]열전 == 유래 == ||[[장의]]는 진나라의 무력을 배경한 정책으로 이웃 나라를 압박했다. [[진혜문왕]](惠文王) 10년(B.C. 328)에는 장의 자신이 진나라 군사를 이끌고 위나라를 침략했다. 그 후 위나라의 재상이 된 장의는 진나라를 위해 위나라 애왕(哀王)에게 합종을 탈퇴하고 연횡에 가담할 것을 권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자 진나라는 본보기로 한나라를 공격하고 8만에 이르는 군사를 죽였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애왕은 잠을 이루지 못했다. 장의는 이 때를 놓치지 않고 애왕에게 말했다. “전하, 만약 진나라를 섬기게 되면 초나라나 한나라가 쳐들어오는 일은 없을 것이옵니다. 초나라와 한나라로부터의 화만 없다면 전하께서는 ‘베개를 높이 하여 편히 잘 주무실 수 있사옵고’ 나라도 아무런 걱정이 없을 것이옵니다.” 애왕은 결국 진나라와 화목하고 합종을 탈퇴했다. 장의는 이 일을 시작으로 나머지 다섯 나라를 차례로 방문, 설득하여 마침내 주(周)나라 난왕(赧王) 4년(B.C. 311)에 연횡을 성립시켰다.|| == 기타 == 고침이와(高枕而臥)와 동일어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