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닛]] [목차] == 개요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저그]] 유닛. 저그 [[애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애벌레]]가 성체로 변태하기 위하여 잠시 거쳐가는 상태로 현실 곤충의 알 - 유충(애벌레) - 번데기 - 성충에서 번데기 단계에 해당한다. 번데기이므로 이동하지 못하는데 공중 유닛에서 공중 유닛으로 변태할 때는 공중에 가만히 떠있다. 스타크래프트 1에서는 알(Egg)이지만 애벌레 - 성체 사이의 단계가 알인건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했는지 스타크래프트 2부터는 고치(영문판에도 Cocoon)가 되었다. 다음 유닛으로 변태하기 위한 가격은 변태 시작하며 고치가 되었을 때 이미 소모한 상태이므로 고치 상태에서 체력이 다하여 죽으면 소모 자원은 증발한다. 고치가 되면 체력의 최대값과 방어력이 대폭 올라간다. 저그는 생산이 건물 외부에서 이루어지므로 낮은 체력이라면 조이기 당할시 생산이고 뭐고 격파당하면서 게임이 밀리는 것에 대한 보상인 듯했지만... 게임이 고일 때 까지 고인 상황에서 저그는 아예 본진 밖에서 싸우는 것이 기본이므로 그냥 장점만 되어 버렸다. 스 1에서야 밑에서 설명할 장판파용으로 가아~끔 보이는 정도지만, 스 2에서 교전 중 체력이 낮은 바퀴, 저글링, 히드라가 고치로 변하면서 딜을 받아내는 것을 보면 타종족은 울화통이 터진다. 고치 중 체력은 변이 전의 유닛의 체력 백분율을 그대로 따라간다. 체력의 50%가 소모된 상태에서 변이를 시작하면 고치도 50%의 체력인 것. 변이를 취소하면 애벌레였던 경우 유닛이 죽고 자원은 돌려받고, 그 외 성체 유닛이 변이를 했던 경우는 변이 자원의 75%를 돌려받고, 체력 백분율도 고치의 백분율을 따라 설정된다. 변이가 완료되어 유닛이 나오면 100% 체력의 유닛이 된다. 1편에서는 체력이 깎이면 회복이 되지 않는다. 2편에서는 일반 저그 유닛, 건물과 같은 속도로 회복이 된다. == [[스타크래프트]]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1/저그)] === 알 === [[파일:SCR_egg.gif]] [[파일:SCR_024_egg_die.gif]]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Egg_SC1_HeadAnim1.gif|width=250]] || [[파일:Egg_SCR_HeadAnim.gif]] || [[파일:Egg_Cartooned_Portrait1.gif|width=240]] || || [[스타크래프트]] 초상화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초상화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츠/모드|카봇모드]] 초상화 || || || [[애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애벌레]]에서 변이 ||<-2> [[히드라리스크]]에서 변이 || || 변이 비용 || [[파일:SC_Mineral.png|height=21]] [[파일:SC_Vespene_Z.png|height=21]] [[파일:SC_Supply_Z.png|height=21]] [[파일:SC2_Coop_Artanis_protoss_time.png|height=21]] 다양 ||<-2>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mineral=50 (+75), zerg=, vespene=100 (+25), supply=1 (+1), time=40)] || || 변태 유닛 || [[애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애벌레]] ||<-2> 히드라리스크 || || 요구 사항 || 다양 ||<-2> [[히드라리스크 굴]], 가시지옥 변이 || || 체력 ||<#f5f5f5,#2d2f34> [[파일:SC_Icon_HP.png|height=16]] 200 ||<#f5f5f5,#2d2f34> 크기 || 중형 || || 방어력 ||<#f5f5f5,#2d2f34> '''10 (+1)''' ||<#f5f5f5,#2d2f34> 시야 || 4 || || [youtube(zRhrCfkSvuQ, width=200, height=200)] || || 성우: 티파니 헤이즈 || 저그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으로 체력을 회복하지 못한다. 클릭하면 저그 특유의 쩌저적거리는 소리[* 그중 하나는 [[디아블로 1]] 의 [[아이단 왕자]]가 [[디아블로(디아블로 시리즈)|디아블로]]의 [[영혼석]]을 빼내는 효과음을 재탕했다.]를 내지만, 반복 대사를 시키면 꽥꽥거리며 비명을 지른다.[* 참고로 이 소리는 알이 죽을 때 나는 소리와 비슷하다.] 에디터 상으로는 [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mineral=1, zerg=, vespene=1, time=1)]을 소모하지만, 게임 내부에서는 변이하는 종류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의미없는 값이다. 더불어 이 1/1/1 값은 더미 데이터를 포함해 정상적으로 나올수 없는 유닛 또는 건물들에게 적혀있는 일종의 더미 값이기도 하다. 후술할 수호군주 고치와 공통 사항으로 특수 에디터로도 배치가 가능하지만 특수 에디터로 배치된 고치는 시간이 아무리 지나도 아무것도 나오지 않으며 취소를 눌려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중형에 방어력 10인데, 스1 시스템상 공격력에서 일반 방어력만큼 피해를 깎고 공격형식을 정한다음 최종적으로 받는 피해가 계산되기 때문에, 일단 10이 넘어가는 공격력으로 치면 그 이하의 공격력을 가진 공격에 비해 대단히 쉽게 터진다. 예를들어서 공방 양쪽 모두 노업시 벌처에 한대 맞을 때 5씩 까인다. ---- {{{+1 ''' 애벌레에서 변이한 알'''}}} [[애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애벌레]]에서 다른 유닛으로 변이할때 잠시 거쳐가는 중간다리 격 유닛으로, 어느 유닛으로 되건 간에 체력 200이 된다. 소형의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 대형의 [[울트라리스크]] 등 원래 유닛의 판정과는 별도로 저그 알은 중형 유닛 판정을 받으며[* 전투순양함의 [[야마토 포]] 한 방에도 안 깨진다.], 거기에 애벌레 당시 높은 방어력 10(+3) 이 그대로 남아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애벌레보다 오래 살기는 한다. 방어력도 매우 높겠다, 체력도 높겠다, 이 때문에 광전사, 저글링, 해병 등의 공격은 너끈히 버티긴 하지만 공성 전차나 파괴자처럼 한 발 공격력이 높은 유닛의 공격에는 오래 버티지 못하는 건 사실. 알 역시 애벌레처럼 방사능 오염에 걸려도 아예 피해를 안받는다. 특이점으로 취소시키거나 변태하기 전에 죽여버리면 애벌레의 비명소리와 함께 '''터져 죽는다.''' ---- {{{+1 ''' 히드라리스크에서 변이한 알'''}}} [[히드라리스크]]가 [[가시지옥]]으로 변태할 때 임시적으로 변할 때도 알이 된다. 애벌레 알과 같은 점은 체력과 방어력, 다른 점은 여러 마리를 선택하거나 부대 지정으로 편입시킬 수 있다는 것, 점막이 없는 곳에서도 생성 가능한 것, 클릭하면 상태창이 다르다는것, 변태를 취소하면 히드라리스크로 되돌아가는 것이 있다. 이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히드라의 생존성을 늘리거나 가끔은 지상병력이 입구를 막기위해 히드라 몇마리를 잠시 알로 변태시키면서 길막을 하면서 시간을 늘릴 수도 있다. 이를 이용한 몸빵 전략으로서 유명한 [[장판파]] 전법이 있다. 물론 가시지옥에 쓰이는 자원과 인구수가 필요하다. 전장 한가운데서 막 변태하려 했다간 암흑 기사나 파괴자, 전차같이 공격력이 높은 유닛들에게 바로 알까기를 당해 꽥 소리를 내며 터져 죽을 수 있다. 리마스터에서는 상태창 이미지가 기본 알과는 다르게 나왔다. 카봇 스킨(스타크래프트:카툰)을 적용하면 가시지옥 알과 애벌레 알이 다른 그림을 사용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분된다. === [[수호군주]], [[포식귀]] 고치 === [[파일:SCR_cocoon.gif|width=3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Cocoon_SC1_HeadAnim1.gif|width=250]] || [[파일:SCR_Cocoon.gif]] || [[파일:Cocoon_Cartooned_Portrait1.gif|width=240]] || || [[스타크래프트]] 초상화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초상화 ||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츠/모드|카봇모드]] 초상화 || ||
수호군주 ||<-3>[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mineral=50(+100), zerg=, vespene=100(+100), supply=2,time=40)] || || 포식귀 ||<-3>[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mineral=150(+100), zerg=, vespene=50(+100), supply=2,time=40)] || || 변태 유닛 || [[뮤탈리스크]] || 요구 사항 || [[거대 둥지탑]] || || 체력 || 200 || 방어력 || 0 (+1) || || 크기 || 대형 || '''Cocoon'''. [[뮤탈리스크]]에서 [[수호군주]]나 [[포식귀]]로 진화할 때 거쳐가는 유닛으로 알은 분명 아니지만 알과 동일하게 체력이 200이다. 공중 유닛 판정을 받긴 하지만, 방어력이 10이 아니고 0이며 폭발형에게 아프게 얻어맞기 좋은 대형 유닛 판정을 받는다. 특이하게도, 방어력은 저그의 '''지상 유닛 방어력''' 업그레이드를 따라간다. 지상 유닛 방어력 업그레이드가 3업일 경우 0+3로 책정된다. 즉, 둥지탑의 공중 갑피 업그레이드 효과를 못 받는다. 게임상에서야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변이하지만 실제로는 지상에 내려와 고치를 틀테니 그런 설정을 게임상에 반영한 결과인 듯 하다.[clearfix]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SCR_917_devourer_birth.gif|width=300]][[파일:attachment/포식귀/devourer_cocoon.gif]]}}} ||
포식귀 ||<-3>[include(틀:스타크래프트/비용, mineral=150(+100)(추정), zerg=, vespene=50(+100)(추정), supply=2(추정),time=???)] || || 변태 유닛 || [[뮤탈리스크]] || 요구 사항 || ??? || || 체력 || 200(추정) || 방어력 || ??? || || 크기 || 대형(추정) || 더미 데이터 중에는 수호군주 변이시의 고치와는 전혀 다른 외형의 고치 도트 그래픽이 따로 존재한다. 적이 변태 중인 고치를 발견했을 때, 수호군주로 변태 중인지 포식귀로 변태 중인지 모르게 하려고 밸런스 차원에서 바꾼 듯하다. 실제로, 현재 게임의 실제 적용 상태의 고치 그래픽을 유심히 잘 관찰하다 보면 고치에서 막 포식귀로 변이하려 하는 찰나에'''만''' 고치의 외형이 잠깐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태 중일 때의 고치 도트 애니메이션은 수호군주의 것으로 쓰다가 고치에서 깨어나는 장면의 도트는 위의 애니메이션의 것을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가격, 체력, 크기는 원본과 동일할 것으로 추정된다. 비교:[[파일:SCR_cocoon.gif|width=127]] [[파일:SCR_917_devourer_birth.gif|align=right|width=127]]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포식귀, version=575)][clearfix] === 건물 고치 === [[파일:1618012371.gif]] 게임 내에서 명시하지는 않지만, [[일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론]]이 건물을 짓기 시작할 때 고치를 만들고 일정 시간 뒤에 건물로 변이한다는 점에서 큰 틀은 같다. 크게 3단계로 나뉘며, [[점막 군체|크립 콜로니]] 같은 작은 건물은 1단계만 진행한다. 대부분의 건물은 2단계지만, [[군락|하이브]]와 [[추출장|익스트랙터]]만은 3단계까지 진행한다. 특히 [[추출장|익스트랙터]]는 건설 시작하자마자 3단계이다. [[부화장|해처리]]를 [[번식지|레어]]로, 레어를 [[군락|하이브]]로, [[둥지탑|스파이어]]를 [[거대 둥지탑|그레이터 스파이어]]로 진화시킬 때에도 고치가 생기는데 드론이 [[광물(스타크래프트 시리즈)|광물]]이나 [[베스핀 가스|가스]]를 고치에다가 박아넣는 모습이 아스트랄하다(...). [[스타크래프츠/모드#s-7|카툰 스킨]]에서는 부대색이 입혀진 [[호빵]] 모양으로 등장한다. ==== [[추출장|익스트랙터]]/[[군락(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하이브]] 고치 ==== [[추출장|익스트랙터]]/[[군락(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하이브]]는 크기에 맞춰 고치의 형상이 다르게 나온다. 다른 건물에 비해 좀 더 징그러운 느낌이 강하다. ==== [[스타크래프트/특수 건물 일람#s-3.4|다자란 번데기]] ==== [[파일:SCR_078_mature_crysalis.gif]] [[사라 케리건]]이 저그로 재탄생하기 전에 들어있었던 번데기가 다 자란 형태이다. ==== [[미성숙한 초월체|초월체 고치]] ==== [[파일:SCR_923_overmind_cocoon.gif]] 캠페인에서만 등장하는 고치로, 고치 상태의 [[초월체]]이다.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저그)]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
속성 || 생체 || || 시야 || 5 ||}}} 모두 생체 단일 속성만 갖고 시야가 4에서 5로 살짝 늘어났다. 무리군주 고치만 거대 속성이 추가로 붙었다. 방어력 업그레이드의 경우 알은 방어력 업그레이드를 적용받지 않으며, 고치의 경우 '''자유의 날개부터 존재했던 고치'''는 방어력 업그레이드를 받고 '''군심 이후에 추가된 고치'''는 방업을 받지 않는다. 모양이 다양해졌는데 완성된 유닛의 모양을 조금씩 띄고 있어서 어떤 유닛으로 변하려는지 구분을 할 수가 있다. [clearfix] 무적이라 의미는 없지만 [[협동전 임무]]에서는 케리건과 자가라의 고치도 있다. 스폰되기 전이나 죽었을 때 부활할 때 들어가 있다가 부화한다. === 저그 고치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저그 고치.png|width=25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egg.png|width=76]]}}}||{{{+1 '''저그 고치'''}}} ,,Zerg Cocoon,, 변태 중인 저그 유닛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고치입니다. || ||
비용 || 다양 || 변태 유닛 || 애벌레 || || 체력 || 200 || 방어력 || '''10''' || [[애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애벌레]]에서 다른 유닛 사이의 중간 단계인 고치.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과를 '''안 받는다.''' 스 2에서는 많이 쌓인 애벌레를 죽여서 유닛 생산을 막는 전술도 쓰이는 경우가 있다. 테란은 화염차와 핵미사일, 토스는 분열기, 고위기사 사이오닉 폭풍, 예언자 공격, 저그는 맹독충으로 가능하다. 눈치를 봐서 빨리 고치로 만들어야한다. 전작과는 달리 야마토 포 한방에 터진다. === [[맹독충]] 고치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저그 맹독충 고치.png|width=250]]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anelingCocoon_SC2_Head1.jpg|width=90]] [br] 맹독충 고치, 초상화 이미지}}}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baneling.png|width=76]]}}}||{{{+1 '''맹독충 고치'''}}} ,,Baneling Cocoon,, 이 고치 안에서 저글링이 맹독충으로 변태 중입니다. ||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ineral=25, vespene=25, time=20 (매우 빠름 기준 14))] || || 변태 유닛 || 저글링 || 요구 사항 || 맹독충 둥지 || || 체력 || 50 || 방어력 || 2 (+1) ||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이 광물 25와 가스 25를 사용하여 맹독충으로 변태할 때 거치는 과정이다. 20초 동안 유지되며 체력 50에 방어력 2로, 저글링이랑 맹독충보다는 낫지만 많이 미약하다.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과를 '''받는다.''' 전작의 알, 가시지옥 알과 같이 모든 종족, 유닛을 상대로 장판파를 하기는 힘들지만 저저전에서 극초만 저글링 개싸움 시에는 저글링 DPS가 전작보다 내려간 점 때문에 저글링 생존을 위해, 또는 길막용으로 쓰이기도 한다. === [[궤멸충]] 고치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저그 궤멸충 고치.png|width=20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egg.png|width=76]]}}}||{{{+1 '''궤멸충 고치'''}}} ,,Ravager Cocoon,, 이 고치 안에서 바퀴가 궤멸충으로 변태 중입니다. ||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ineral=25, vespene=75, supply=1, time=12 (매우 빠름 기준 9))] || || 변태 유닛 || 바퀴 || 요구 사항 || 바퀴 소굴 || || 체력 || 100 || 방어력 || 5 || [[바퀴(스타크래프트 2)|바퀴]]가 궤멸충으로 변태할 때 거치는 과정. 공허의 유산에 추가된 고치라서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과를 '''안 받는다.''' 기본 방어력이 5가 되는 것, 변태 시간이 9초로 짧은 점, 중장갑 판정이 없어지는 점 때문에 소수교전에서는 반피 밑으로 떨어지는 바퀴를 궤멸충 변태를 시켜 고치의 방어력을 활용하는 컨트롤이 있다. === [[감시군주]] 고치 , [[대군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대군주]] 고치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저그 감시군주 고치.png|width=20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overseer.png|width=76]]}}}||{{{+1 '''감시군주 고치'''}}} ,,Overseer Cocoon,, 이 고치 안에서 대군주가 감시군주로 변태 중입니다.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overlordtransport.png|width=76]]}}}||{{{+1 '''대군주 고치'''}}} ,,Overlord Cocoon,, 이 고치 안에는 대군주가 있습니다. || ||
감시 군주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ineral=50, vespene=50, time=16.6665 (매우 빠름 기준 12))] || || 배주머니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ineral=25, vespene=25, time=16.6665 (매우 빠름 기준 12))] || || 변태 유닛 || [[대군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대군주]] || 요구 사항 || 번식지 || || 체력 || 200 || 방어력 || 2 (+1) || [[대군주(스타크래프트 시리즈)|대군주]]가 감시 군주로 변할 때나, 배주머니 변이를 할 때의 과정.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과를 '''받는다.''' 방어력이 아주 높지는 않지만 변태 시간이 짧기 때문에 바이킹, 뮤탈, 불사조가 치기 시작했을 때 변태를 시작하면 죽기 전에 감시 군주로 변태하고 빠져나올 수 있다. 다만 불사조, 뮤탈은 이동 속도가 빨라서 쫓아오는 것에 주의. 감시 군주와 배주머니 변이 요구 사항은 둘다 번식지다. 앨리전이 개시될 기미가 보이고 은폐나 잠복 유닛을 적이 쓸 기미가 보이면 본진 번식지, 군락이 밀리기 전에 변태를 어느 정도 해놓아야 한다. 자세히 보면 등에 해당되는 윗부분에 한쌍의 안구가 달려있다. === [[가시지옥]] 고치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가시지옥 고치.png|width=25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egg.png|width=76]]}}}||{{{+1 '''가시지옥 고치'''}}} ,,Lurker Cocoon,, 이 고치 안에서 히드라리스크가 가시지옥으로 변태 중입니다. ||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ineral=50, vespene=100, supply=1, time=25 (매우 빠름 기준 18))] || || 변태 유닛 || [[히드라리스크]] || 요구 사항 || 가시지옥 굴 || || 체력 || 100 || 방어력 || 1 || 전작의 위엄넘치는 체력 200 방어력 10의 위엄은 없어지고 체, 방이 많이 내려갔다. 마찬가지로 공허의 유산 때 추가된 고치라서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과를 '''안 받는다.''' === 감염된 군단 알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저그 감염된 군단 알.png|width=25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infestedmarineegg.png|width=76]]}}}||{{{+1 '''감염된 군단 알'''}}} ,,Infested Swarm Egg,, 짧은 시간 후 감염된 테란을 부화해냅니다. || ||
생산 비용 ||<-3> [[파일:SC2_Coop_Abathur_energy_zerg.png|width=24]] 25 [[파일:SC2_Time_Zerg.png|width=24]] 5 || || 생산 유닛 || [[감염충]] || 시야 || '''{{{#f33 0}}}''' || || 체력 || 75 || 방어력 || 2 (업그레이드 당 +0) || [[감염충]]이 에너지 25를 소모하여 [[감염된 테란]]을 만들어 낼 때 뱉어내는 알. 공허의 유산 4.11.0 패치로 감염충의 감염된 테란 스킬이 사라졌기 때문에 섬멸전에서 볼 수 없다. 감염충이 뱉어낼 수 있는 사거리는 8이고, 생성되고 5초 후에 감염된 테란으로 부화해서 30초동안 행동할 수 있다. 체력은 처음엔 100이었고 1.5.4 패치로 100에서 70으로 내려갔었다. 섬멸전에서 더 이상 볼 순 없지만 데이터상으론 남아있는데 체력은 75가 되었고 생체 특성이 있다. 특이하게 시야는 1도 아니고 완전 0이다. 일반 섬멸전에 쓰이는 저그 유닛중 유일하게 고치가 아닌 알이다. 공격 대상 우선 순위 값이 0이라서 공격 우선 순위가 매우 밀린다. 다른 적 유닛이 하나만 있더라도, 그게 일꾼이건 건물이건 그걸 먼저 치지 이 알을 치지는 않는다. 누가 해병 아니랄까봐 그 좋다는 인스턴트 공격을 갖고, 감테의 DPS는 울트라, 무리군주 바로 아래인데, 보급품 1로 친다면 인성비로는 울트라 무군까지 뛰어넘는 감테라 알 상태에서 격파할 필요가 있다. 그런 플레이를 유도한 건지 스 1, 스 2 통틀어서 변이, 부화 완료 후에 체력이 완전 회복되지 않는 유일한 저그 유닛이다. 알 상태에서 체력이 50% 닳았다면 부화한 후 감테도 50%의 체력이 닳아 있다. 블리자드에서 제작해서 넣어둔 컨트롤 교육 맵인 아케이드 맵 [[스타크래프트 고수]]에서 잠복한 감염충이 적 해병 옆에 알을 까서 적 공성 전차가 해병에게 피해를 주게 만드는 레벨이 있다. 실전에서는 감염충이 궤도 사령부의 스캐너 탐색이 있는 테란의 적병력에 그렇게 가까이 다가가는 건 매우 위험한 일이라 그런식으로는 아무도 쓰지 않았다. 일꾼 테러에는 가끔 쓰였었지만. === [[무리군주]] 고치 === {{{#!wiki style="float:left; margin-right:20px" [[파일:스타크래프트 2 저그 무리군주 고치.png|width=250]]}}} ||
<^|1>{{{#!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btn-unit-zerg-broodlord.png|width=76]]}}}||{{{+1 '''무리군주 고치'''}}} ,,Brood Lord Cocoon,, 이 고치 안에서 타락귀가 무리 군주로 변태 중입니다. || ||
비용 ||<-3>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2/비용, zerg=, mineral=150, vespene=150, supply=2, time=33.8332 (매우 빠름 기준 24))] || || 변태 유닛 || 타락귀 || 요구 사항 || 거대 둥지탑 || || 체력 || 200 || 방어력 || 2 (+1) || || 속성 || 생체 - 거대 || || || [[타락귀]]가 광물 150과 가스 150을 사용하여 무리 군주로 변태할 때 거치는 과정이다. 방어력 업그레이드 효과를 '''받는다.''' 34초간(공유 기준 24초) 유지된다. 스펙은 감시 군주 고치에서 거대 속성만 추가된 것. 전작의 수호군주 고치를 계승했다고 보면 된다. [clearfix] 거대 속성 때문에 상대 타락귀, [[폭풍함]], [[토르(스타크래프트 2)|토르]]한테 걸리면 쉽게 터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 여왕 고치 === 미구현 데이터로 남아있으며 여왕이 거대 여왕 으로 진화할때 잠깐 변하는 것으로 추정 === 건물 고치 === 스타크래프트 2에서도 건물 고치가 있지만, 형상이 다른데 막이 반투명해져 부대 색상을 띠게 되었고, 2단계부터 헤엄치는 일벌레의 실루엣이 보인다. ==== [[추출장]] 고치 ==== 전작과는 달리 간헐천을 촉수가 휘감는 식으로 고치가 만들어지며, 독자적으로 2단계 형상이 적용된다. ==== [[번식지]]/[[군락]]/[[거대 둥지탑]] 고치 ==== 전작과는 달리 건물 자체에 고치가 덧씌워지는 방식으로 진화한다. [[가시지옥 굴]]이 별개의 건물로 분리되기 전까지는 [[히드라리스크 굴]]도 고치 모습이 있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에그, version=105, paragraph=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