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1/13/Altocumulus.jpg/1200px-Altocumulus.jpg]]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퍼블릭 도메인]]. [[https://www.google.co.kr/search?q=altocumulus&newwindow=1&source=lnms&tbm=isch&sa=X&ei=urfXUvSeIqSbigf9koDYDw&ved=0CAcQ_AUoAQ&biw=1366&bih=642|사진자료 더 보기]] [[파일:고적운.jpg]] |||| '''구름 정보''' || |||| '''고적운''' || || '''약어''' || '''Ac''' || || '''기호''' || [[파일:고적운 기호.png]] [BR][* 고적운을 의미하는 다양한 기호 중 가장 일반적인 것.] || || '''고도''' || 중층운 /[BR]2,000m ~ 6,100m[BR](6,500ft ~ 20,000ft) || || '''강수여부''' || 없음 || [목차] == 개요 == {{{+1 [[高]][[積]][[雲]] / Altocumulus}}} 기상학에서 구름을 분류하는 "10종 운형" 중 하나. 중간 정도의 높은 하늘에서 웅장하게 나타나는, 다수의 구름 덩어리들이 모여 이루어진 구름. 순우리말 이름으로는 "높쌘구름" 이라고 하는데, 한자어 "고적운" 이나 영어 "Altocumulus" 셋 다 모두 "높은 곳에서 수직으로 쌓여 있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외에도 그 모양을 따서 "양떼구름" 이라고도 하고, 영어에서는 [[고등어]]의 비늘 같다는 표현을 즐겨 쓴다. == 생성과 특징 == [[고층운]]과는 달리, 중간 고도에서 대기가 불안정하여 대류 현상이 일어날 때 그 결과로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구름이다. 대류권 하층에서부터 상층부까지 대기가 난장판(…)이라 지표에서부터 한없이 피어오르는 [[적운]]이나 [[적란운]]과의 차이점이 이것. 다만 각각의 구름덩어리의 규모는 적운, [[층적운]]보다는 작고 [[권적운]]보다는 크다. 한편 『구름 쉽게 찾기』[* 이대암, 진선출판사, 2005.]에서는 대략 "하늘을 향해 손을 뻗고, 구름덩어리 하나의 지름이 새끼손가락보다 클 경우를 고적운으로 한다" 고 구분하고 있다. 수직으로 쌓여 올라가는 구름이기는 하나 강수의 가능성은 거의 제로에 수렴한다. 물론 이 구름이 나타난 후에 대류가 다시 불안정하게 바뀔 확률이 낮지는 않으므로 [[권적운]]처럼 이 구름이 '''강수의 징조가 될 수는 있다'''. 스스로 강수를 일으킬 수 없을 뿐. 극히 낮은 확률로 고적운의 하부에서 안개비가 내리기도 하지만, 지표에 닿기도 전에 도로 증발하는지라 강수량에는 기별도 안 간다.[* 레이더 에코에서는 강수가 있지만 실제로는 [[강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단, 고적운이 있는데 그 밑에서 [[적운]]이 피어오르기 시작한다면 이것은 상당히 가능성 높은 강수의 신호가 된다. 사진상에서는 대체로 대규모로 발생하여 하늘의 절반 이상을 덮는 장관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실제에서 이 정도 상황은 보기 드물고, 가장 흔한 사례는 [[고층운]]의 가장자리 변두리에서 슬그머니 나타났다가 조용히 사라지는 등의 출현일 듯. 정말 간혹 가다가 열 개 이하, 심지어 한 개의 구름덩어리가 외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쯤 되면 어지간히 훈련받지 않은 관찰자는 저게 고적운인지도 모르겠지만.(…) == 베리에이션 == 고적운은, 앞서 언급했듯 고등어의 비늘 같은 하늘(mackerel sky)처럼 하늘 전체를 가득 덮는 모습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은 그 정도까지는 아니며, [[고층운]]과 함께 나타나기도 하고, 상층부에 [[권운]]이나 하층부에 적운을 끼고 함께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실제로 이 경우들이 전부 각각의 기호들로 분류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http://en.wikipedia.org/wiki/Cloud#International_synoptic_code|위키피디아의 해당 항목]] 참고. 앞서 말했듯 고적운의 하부에서 미세한 양의 비가 내리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는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한 비가 미류운(virga)의 형태로 털 내지는 꼬리처럼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를 "Altocumulus virga"라고 부르는데, 일반에는 그 모양새 때문에 흔히 "[[해파리]]구름"(jellyfish cloud)이라고도 불린다. 한편 고적운이 꽤 높은 곳까지 탑처럼 뭉게뭉게 성장한 것은 "Altostratus castellanus"라고 한다. 흔히 '''[[렌즈구름]]'''(Lenticular cloud)이라 불리는 "Altocumulus lenticularis"은 고적운의 유명한 변종이다. 렌즈구름은 그 자체로도 매우 이채롭고 흥미로운 생김새를 하고 있어, 종종 [[UFO]]로 오인받기도 한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구름)] [[분류:구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