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제주특별자치도지사|[[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height=40]]]] [[제주특별자치도|{{{#555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555 '''정무부지사'''}}}]]}}} || ||<-3> [[원희룡|{{{#ffffff ''' 원희룡 도정 ''' }}}]] ||<-2> [[오영훈|{{{#ffffff ''' 오영훈 도정 ''' }}}]] || || 4대[br][[김성언]] || → || '''5대[br]고영권''' || → || 6대[br][[김희현]] || ||<-2>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fff '''제5대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br]{{{+1 고영권}}}[br] 高榮權 | Ko Yeong-kw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9B5F44-1C3B-43A1-8CCD-CE345DBB31F7.jpg|width=100%]]}}} || || '''본관''' ||[[제주 고씨]] || ||<|2> '''출생''' ||[[1972년]] (51세)||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 || || '''학력''' ||[[대기고등학교]] {{{-2 ([[졸업]])}}}[br][[서울대학교 법과대학]] {{{-2 (법학 / [[학사]])}}} || ||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현직''' || || || '''경력''' ||제47회 [[사법시험]] 합격[br]제37기 [[사법연수원]] 수료[br]법률사무소 청어람 대표변호사[br]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 자문위원[br][[제주자치경찰단]] [[치안행정위원회]] 위원[br][[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고문변호사[br]제주시 자문변호사[br]제5대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 {{{-2 ([[원희룡|원희룡 도정]])}}}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법조인]], 전직 [[별정직공무원]]이다. == 생애 == 1972년 제주도 북제주군 한경면 고산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에서 태어나 [[대기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서울대학교]] 졸업 이후 제47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37기. 이후 [[변호사]]로 활동하며 주로 [[제주시]]에서 각종 기관의 자문, 고문변호사 역할을 해왔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면에서는 [[무소속]] 현직 지사 [[원희룡]] 제주지사 캠프에서 법률자문으로 활동했다. 2020년 7월에는 [[김성언]] 정무부지사의 사의로 공석이 된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에 내정되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의 청문회에서 큰 흠결이 발견되지 않는 이상 정무부지사로 임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제주도의회 청문회 결과 어느정도 흠결은 발견되었으나 도의회가 적격-부적격을 명시하지않고 [[원희룡]] 지사의 신중한 임명을 바란다는 의견을 내면서 9월 1일 부지사로 임명되었다. 2021년 [[원희룡]] 지사가 차기 지방선거 불출마 의사를 밝힌만큼 원 지사의 측근 라인인 고 정무부지사나 [[안동우]] 제주시장이 대체 후보로 투입될 수도 있다. 2021년 8월 11일, [[원희룡]] 지사가 대통령 선거 출마를 이유로 제주지사직에서 사임하자 자동면직되며 정무부지사직에서 퇴임하였다. 2021년 8월 18일, 도지사 권한대행인 [[구만섭]] 행정부지사가 정무부지사로 지명하면서 도의회 청문회를 거쳐 정무부지사로 재임용 되었다. 재임용 과정에서 차기 제주도지사 출마설을 일축하였고 민선7기 종료시까지 정무부지사직을 유지하겠다고 선언하였다. 2022년 6월 30일, 부지사직에서 물러났다. [[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1972년 출생]][[분류: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분류:대기고등학교 출신]][[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제주 고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