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고양시의 정치)]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고양시 을}}}}}}'''[br]{{{-1 {{{#fff 삼송지구, 창릉신도시, 행신동, 일산 백석동 등[br]高陽市 乙[br]Goyang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고양시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65,136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경기도]] [[고양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덕양구|{{{#373a3c,#ddd 덕양구}}}]] 일부''' 효자동, 삼송1동, 삼송2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행신4동, 화전동, 대덕동 ---- '''[[일산동구|{{{#373a3c,#ddd 일산동구}}}]] 일부''' 백석1동, 백석2동 }}} || ||<-2> '''신설년도''' ||<-2>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16년]] || ||<-2> '''이전 선거구''' ||<-2> 고양시 덕양구 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한준호(1974)|한준호]]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양시 을로 선거구가 개편되기 전에는 고양시 덕양구 을 선거구였다. [[20대 총선]]에서 개표중에도 당선까지 표차가 1% 내외의 초박빙 접전을 보여준 지역구 중 하나이다. [[고양시]] 내에서 논란이 많은 [[창릉신도시]]의 상당 부분 영역이 이 선거구 관할이다. 사실상의 도농복합지역으로 진보정당이 초강세를 이루는 고양시 갑 지역구와, 창릉신도시 계획으로 인해 계획 발표 당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가 급격히 악화된 고양시 병, 고양시 정 지역과는 반대로 이곳은 21대 총선에서 인구비 상한선 문제 때문에 고양시 병에서 넘어온 백석동 지역을 제외하면 창릉신도시 개발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는 지역이 대부분이고, 경기도에서 소득/생활 수준이 상당히 높은 일산신도시 지역인 백석동은 다른 일산신도시 지역에 비해 여당 지지도가 비교적 높은 편이기 때문에(일산 요진 와이시티 제외)[* 일산신도시 지역이라 창릉신도시 건설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는 창릉신도시와 별개로 [[대곡역(고양)|대곡역세권개발사업]]이 걸려 있어서 오히려 신도시 개발과 연담화를 기대하는 주민들이 많다. 또한 백석동 자체도 민주당 집권 이후 힘이 계속 빠지는 추세인 [[일산서구]] 신도시 지역과, 마찬가지로 하락세인 일산동구 신도시 지역에 비하면 [[고양종합터미널]] 준공으로 인한 상권 정비, [[일산 요진 와이시티]] 분양 등 어느 정도 지역 경쟁력이 선방하고 있는것도 한몫한다. 또한 애초에 위치 자체가 일산신도시에서 서울과 가장 가까운 위치라 서울과의 광역 교통 문제 등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편이다.] 21대 총선 직전 고양시 전체에서 여당 지지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었다. 행신동의 경우 고양시 을 선거구 내에서 단독 생활권으로는 최대의 인구 분포를 자랑하는 곳으로, 현재 창릉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지어지는 [[고양선]] 경전철 내 행신중앙로역의 설치가 가장 큰 지역의 화두라고 볼 수 있다. 현 국회의원은 이 동네 주민이자 아나운서 출신인 [[더불어민주당]] [[한준호(1974)|한준호]] 의원이다. === 선거구 경계 조정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양시 병]]이 관할하던 [[일산동구]] [[백석동(고양)|백석동]]을 이곳에 편입시켰다. ㄴ자 모양을 넘어서서 지렁이를 연상시키는 기괴한 모양새가 되었다. ||<-2> '''{{{#fff {{{+2 고양시 을}}}(개편 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fff {{{+2 고양시 을}}}(개편 후, 현재)}}}'''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고양시 을(2016).svg|width=100%]]}}}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고양시 을.svg|width=100%]]}}} ||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2> [[이택석]]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고양군 || || 제14대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고양시 || || 제15대 || [[이국헌]]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고양시 덕양구 || || 제16대 || [[이근진]]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4> 고양시 덕양구 을 || || 제17대 || [[최성(정치인)|최성]]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2> [[김태원(정치인)|김태원]] || [include(틀:한나라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정재호(1965)|정재호]]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 고양시 을 || || 제21대 || [[한준호(1974)|한준호]] || 2020년 5월 30일 ~ || === 고양군ㆍ고양시 (13~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고양군) ==== ||<-4> {{{#ffffff {{{+1 '''고양군'''}}}}}}[br]{{{#ffffff 고양군 일대}}}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국헌|{{{#373a3c,#dddddd 이국헌}}}]](李國憲) || 19,272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20.41% || 낙선 || ||<|2> {{{#ffffff {{{+5 '''2'''}}}}}} || [[이근진|{{{#373a3c,#dddddd 이근진}}}]](李根鎭) || 16,957 || 3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7.96% || 낙선 || ||<|2> {{{#373a3c {{{+5 '''3'''}}}}}} || 김진택(金鎭澤) || 8,814 || 4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9.33% || 낙선 || ||<|2> {{{#ffffff {{{+5 '''4'''}}}}}} || '''[[이택석|{{{#373a3c,#dddddd 이택석}}}]](李澤錫)''' || '''47,928''' || '''1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50.77%''' || '''{{{#000000 당선}}}''' || ||<|2> {{{#fff {{{+5 '''5'''}}}}}} || [[황인형|{{{#373a3c,#dddddd 황인형}}}]](黃仁亨) || 1,426 || 5위 || || [include(틀:신한민주당)] || 1.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1,723 ||<|3> '''투표율'''[br]72.30% || || '''투표 수''' || 95,274 || || '''무효표 수''' || 877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고양시) ==== ||<-4> [[고양시|{{{#ffffff {{{+1 '''고양시 '''}}}}}}]][br]{{{#ffffff 고양시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택석|{{{#373a3c,#dddddd 이택석}}}]](李澤錫)''' || '''35,635'''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2.34%'''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이교성|{{{#373a3c,#dddddd 이교성}}}]](李敎成) || 30,941 || 2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8.08% || 낙선 || ||<|2> {{{#ffffff {{{+5 '''3'''}}}}}} || [[최성권|{{{#373a3c,#dddddd 최성권}}}]](崔聖權) || 5,581 || 5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5.06% || 낙선 || ||<|2> {{{#ffffff {{{+5 '''4'''}}}}}} || [[이국헌|{{{#373a3c,#dddddd 이국헌}}}]](李國憲) || 23,23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08% || 낙선 || ||<|2> {{{#ffffff {{{+5 '''5'''}}}}}} || [[최영덕|{{{#373a3c,#dddddd 최영덕}}}]](崔永德) || 14,78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3.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058 ||<|3> '''투표율'''[br]66% || || '''투표 수''' || 111,542 || || '''무효표 수''' || 1,367 || === 고양시 덕양구 (15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양시 덕양구 '''}}}}}}[br]{{{#ffffff 주교동, 원신동, 흥도동, 성사1동, 성사2동, 효자동 [br] 신도동, 창릉동, 고양동, 관산동, 능곡동, 화정동,행주동, 행신1동, 행신2동, 화전동, 대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국헌|{{{#373a3c,#dddddd 이국헌}}}]](李國憲)''' || '''33,564'''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2.9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이영복(李永馥) || 32,659 || 2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32.01% || 낙선 || ||<|2> {{{#ffffff {{{+5 '''3'''}}}}}} || [[이근진|{{{#373a3c,#dddddd 이근진}}}]](李根鎭) || 25,251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24.75% || 낙선 || ||<|2> {{{#ffffff {{{+5 '''4'''}}}}}} || [[황인형|{{{#373a3c,#dddddd 황인형}}}]](黃仁亨) || 8,896 || 4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8.72% || 낙선 || ||<|2> {{{#ffffff {{{+5 '''5'''}}}}}} || 양길수(梁吉守) || 1,640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9,517 ||<|3> '''투표율'''[br]57.70% || || '''투표 수''' || 103,594 || || '''무효표 수''' || 1,584 || === 고양시 덕양구 을 (16~19대)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양시 덕양구 을'''}}}}}}[br]{{{#ffffff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br]행신1동, 행신2동, 화전동, 대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용수(1960)|{{{#373a3c,#dddddd 김용수}}}]](金龍洙) || 22,313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3.73% || 낙선 || ||<|2> {{{#ffffff {{{+5 '''2'''}}}}}} || '''[[이근진|{{{#373a3c,#dddddd 이근진}}}]](李根鎭)''' || '''29,374'''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4.40%'''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문기수(文奇秀) || 5,428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8.20% || 낙선 || ||<|2> {{{#ffffff {{{+5 '''4'''}}}}}} || 유기수(劉基洙) || 4,165 || 5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6.29% || 낙선 || ||<|2> {{{#ffffff {{{+5 '''5'''}}}}}} || [[이남형(1951)|이남형]](李南炯) || 4,870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3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4,107 ||<|3> '''투표율'''[br]53.73% || || '''투표 수''' || 66,685 || || '''무효표 수''' || 535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고양시 덕양구 을'''}}}}}}[br]{{{#000000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br]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화전동, 대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용수(1960)|{{{#373a3c,#dddddd 김용수}}}]](金龍洙) || 34,036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2.13% || 낙선 || ||<|2> {{{#ffffff {{{+5 '''2'''}}}}}} || 이기훈(李起勳) || 5,870 || 3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7.26% || 낙선 || ||<|2> {{{#000000 {{{+5 '''3'''}}}}}} || '''[[최성(정치인)|{{{#373a3c,#dddddd 최성}}}]](崔星)''' || '''40,876'''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50.60%''' || '''{{{#000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34,288 ||<|3> '''투표율'''[br]60.78% || || '''투표 수''' || 81,616 || || '''무효표 수''' || 834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고양시 덕양구 을'''}}}}}}[br]{{{#ffffff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br]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화전동, 대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성(정치인)|{{{#373a3c,#dddddd 최성}}}]](崔星) || 26,622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43.51% || 낙선 || ||<|2> {{{#ffffff {{{+5 '''2'''}}}}}} || '''[[김태원(정치인)|{{{#373a3c,#dddddd 김태원}}}]](金兌原)''' || '''28,921'''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47.27%'''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이은영(李殷暎) || 3,375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5.51% || 낙선 || ||<|2> {{{#ffffff {{{+5 '''6'''}}}}}} || 정미(鄭美) || 1,182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7,057 ||<|3> '''투표율'''[br]45.02% || || '''투표 수''' || 61,704 || || '''무효표 수''' || 522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양시 을|{{{#ffffff {{{+1 '''고양시 덕양구 을'''}}}}}}]][br]{{{#ffffff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br]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화전동, 대덕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원(정치인)|{{{#373a3c,#dddddd 김태원}}}]](金兌原)''' || '''38,097''' || '''1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48.38%''' || '''당선''' || ||<|2> {{{#3AB34A {{{+5 '''2'''}}}}}} || [[송두영|{{{#373a3c,#dddddd 송두영}}}]](宋斗榮) || 37,871 || 2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48.09% || 낙선 || ||<|2> {{{#ffffff {{{+5 '''6'''}}}}}} || 차인철(車仁哲) || 798 || 4위 || || [include(틀: 국민생각)] || 1.01% || 낙선 || ||<|2> {{{#ffffff {{{+5 '''7'''}}}}}} || 김선아(金仙娥) || 1,979 || 3위 || || [include(틀: 진보신당)] || 2.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4,268 ||<|3> '''투표율'''[br]54.87% || || '''투표 수''' || 79,161 || || '''무효표 수''' || 416 || === 고양시 을 (20대~)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양시 을|{{{#ffffff {{{+1 '''고양시 을'''}}}}}}]][br]{{{#ffffff 덕양구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화전동, 대덕동, 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원(정치인)|{{{#373a3c,#dddddd 김태원}}}]](金兌原) || 39,493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1.31% || 낙선 || ||<|2> {{{#ffffff {{{+5 '''2'''}}}}}} || '''[[정재호(1965)|{{{#373a3c,#dddddd 정재호}}}]]'''(鄭在浩) || 40,393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2.25%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이균철(李均喆) || 12,820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3.41% || 낙선 || ||<|2> {{{#ffffff {{{+5 '''5'''}}}}}} || [[송영주(1972)|{{{#373a3c,#dddddd 송영주}}}]](宋英株) || 2,883 || 4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3.0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9,645 ||<|3> '''투표율'''[br]60.5% || || '''투표 수''' || 96,561 || || '''무효표 수''' || 972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양시 을|{{{#ffffff {{{+1 '''고양시 을'''}}}}}}]][br]{{{#ffffff 덕양구 효자동, 삼송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화전동, 대덕동, 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 일산동구 백석1동, 백석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한준호(1974)|{{{#373a3c,#dddddd 한준호}}}]](韓俊鎬)''' || '''80,73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2.47%'''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함경우|{{{#373a3c,#dddddd 함경우}}}]](咸炅佑) || 55,032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35.76% || 낙선 || ||<|2> {{{#000000 {{{+5 '''6'''}}}}}} || [[박원석|{{{#373a3c,#dddddd 박원석}}}]](朴元錫) || 11,649 || 3위 || || [include(틀:정의당)] || 7.57% || 낙선 || ||<|2> {{{#ffffff {{{+5 '''7'''}}}}}} || [[송영주(1972)|{{{#373a3c,#dddddd 송영주}}}]](宋英株) || 2,669 || 5위 || || [include(틀:민중당)] || 1.73% || 낙선 || ||<|2> {{{#ffffff {{{+5 '''8'''}}}}}} || 백남원(白南原) || 594 || 6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38% || 낙선 || ||<|2> {{{#ffffff {{{+5 '''9'''}}}}}} || [[박종원(1978)|{{{#373a3c,#dddddd 박종원}}}]](朴鍾元) || 3,18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0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27,546 ||<|3> '''투표율'''[br]68.3% || || '''투표 수''' || 155,449 || || '''무효표 수''' || 1,583 || ||<-6> {{{#ffffff '''제 21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고양시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정의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한준호(1974)|{{{#ffffff '''한준호'''}}}]] || [[함경우|{{{#ffffff 함경우}}}]] || [[박원석|{{{#000000 박원석}}}]]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80,739[br](52.47%)'''}}} || '''55,032[br](35.77%)''' || '''11,649[br](7.57%)''' || '''+ 13,755[br](△16.71)''' || '''227,546 [br] (68.3%)''' || || '''효자동''' || {{{#004ea2 42.84%}}} || 35.64% || 17.61% || △7.20 || '''70.47''' || || '''창릉동''' || {{{#004ea2 53.86%}}} || 34.18% || || △19.68 || 68.33 || || '''능곡동''' || {{{#004ea2 46.21%}}} || 42.38% || || △3.83 || 65.20 || || '''행주동''' || {{{#004ea2 46.30%}}} || 40.63% || || △5.67 || 56.81 || || '''행신1동''' || {{{#004ea2 53.21%}}} || 35.66% || || △17.55 || 69.75 || || '''행신2동''' || {{{#004ea2 52.18%}}} || 34.66% || || △17.51 || 69.31 || || '''행신3동''' || {{{#004ea2 53.77%}}} || 35.02% || || △18.75 || 66.80 || || '''화전동'''[* [[고양향동보금자리주택개발사업|향동지구]]가 있는 동네이다.] || {{{#004ea2 '''54.95%'''}}} || 32.22% || || '''△22.73''' || 67.61 || || '''대덕동'''[* [[한국항공대학교]]가 있는 동네이다.] || 43.93% || {{{#ef426f '''46.25%'''}}} || || '''▼2.31''' || 62.20 || || '''삼송동''' || {{{#004ea2 50.02%}}} || 37.01% || || △13.01 || 66.89 || || '''백석1동''' || {{{#004ea2 51.44%}}} || 40.22% || || △11.21 || 65.65 || || '''백석2동''' || {{{#004ea2 53.67%}}} || 37.41% || || △16.26 || 60.03 || || '''후보''' || [[한준호(1974)|{{{#004ea2 '''한준호'''}}}]] || [[함경우|{{{#ef426f 함경우}}}]] || [[박원석|{{{#ffcc00 박원석}}}]]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6.52%}}} || 35.93% || ||<-2> △10.58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0.37%}}} || 27.90% || ||<-2> △32.47 || || '''재외투표''' || {{{#004ea2 '''73.11%'''}}} || 20.66% || ||<-2> △'''52.46''' || ||<-4> {{{#ffffff '''고양시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한준호(1974)|{{{#ffffff 한준호}}}]] || [[함경우|{{{#ffffff 함경우}}}]] || || '''햇빛마을 주공 23단지''' || {{{#004ea2 '''53.41%'''}}} || 35.68% || '''△17.73''' || || '''햇빛마을 주공 20단지''' || {{{#004ea2 52.84%}}} || 35.55% || △17.29 || || '''삼송마을 LH 18단지''' || {{{#004ea2 51.17%}}} || 37.64% || △13.53 || || '''지축역 센트럴 푸르지오''' || {{{#004ea2 45.37%}}} || 35.14% || △10.23 || || '''삼송마을 동원로얄듀크''' || {{{#004ea2 45.12%}}} || '''43.84%''' || △1.28 || || '''지축역 한림풀에버''' || {{{#004ea2 38.61%}}} || 31.35% || △7.26 || 뜬금없이 일산동구 백석동을 가져오며 선거구가 ㄴ자로 길쭉한 괴상한 형태로 획정되었다. 아울러 신도동이 삼송동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더불어민주당]] 현역 정재호 의원은 병으로 의정활동에 지장이 있었던 점이 불리하게 작용했는지 컷오프되었고, 한준호 전 아나운서가 전략공천되었다. [[미래통합당]]도 김태원 전 의원이 나이 때문인지 컷오프되고[* 근데 만약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면 최소한 40%는 얻었을 확률이 높았을 것이다.] 함경우 경기도당 사무처장이 공천되었다. [[정의당]] 에서는 박원석 전 의원을 공천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한준호(1974)|한준호]] 후보가 미래통합당 함경우 후보를 상대로 약 17%P 차로 압승하면서 한준호 후보가 국회의원 첫 뱃지를 달게 되었다. 세부 개표결과를 살펴 보면 한준호 후보가 대덕동[* 불과 32표차였다. 한준호 609 : 함경우 641]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모두 승리하였는데, 특히 덕양구 지역의 거의 모든 아파트 단지에서 한준호 후보에게 몰표가 쏟아졌다. 그러나 지역구 전체적으로 진보 성향인 후보들과 유일한 보수 성향인 함경우 후보의 득표 비율이 62% : 36%인 것과 비교했을 때, 덕양구가 아닌 일산동구 백석동의 일산 요진와이시티아파트에서는 47% : 51%로 함경우 후보가 우세한 것으로 보아 일산 요진와이시티아파트는 나름 보수세가 강하다고 볼 수 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고양시 을|{{{#ffffff {{{+1 '''고양시 을'''}}}}}}]][br]{{{#ffffff 덕양구 효자동, 삼송동, 창릉동, 능곡동, 행주동, 화전동, 대덕동, 행신1동, 행신2동, 행신3동 + 일산동구 백석1동, 백석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일단 현직인 한준호 의원의 재선 도전이 유력하지만, 당내서 강력한 도전자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 바로 최성 전 고양시장이다. 당초 고양시 을이 최성 전 시장의 지역구이기도 했던만큼 자연스러운 양상으로 보인다. 한준호 의원은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재명]] 후보의 수행실장을 한바있는 친명계로 분류될수 있는 인물이고, 최성 전 시장은 제20대 대통령 선거 경선 당시부터 [[이낙연]] 전 대표의 측근으로 함께 했고 현재는 이낙연 전 대표에 대한 음해와 허위사실 유포 등에 대한 대응을 맡고 있는 등 친낙으로 분류할수 있어서 최성 전 시장이 출마를 선언한다면 친명과 친낙의 치열한 정면 승부가 예상된다.[* 다만 친낙계가 당원들의 비토를 받고 있는 실정이라 경선에서 맞붙을 경우 최성이 열세에 놓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외에 20대 의원이었던 정재호 전 의원이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송두영 전 지역위원장의 재도전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힘]]에서는 직전 선거에 출마했던 함경우 후보가 경기도 광주시 갑 당협위원장으로 가고 현재 당협위원장이 공석인 상태로 구 국민의당 출신이자 [[안철수]]의 복심으로 통하는 이태규 의원의 도전 가능성이 높다. 지역구내인 행신동 무원마을에 거주하는 것도 플러스 요소.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고양시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