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서울 버스 9712)] [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파일:kd9600-a.jpg|width=100%]] || [[파일:경기광주9600번AJS.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96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96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위시티3.4단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15 || || 막차 || 22:45 || 막차 || 00:00 || ||<-2> 운행횟수 ||<-4> 50~90분 (1일 14회) || ||<-2> 운수사명 ||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7대[* 실제로는 3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위시티3.4단지 - 위시티주상복합단지 - 동국대병원사거리 - 고양시청 - [[원릉역]] - 원당래미안/e-편한세상 - 성사2동주민센터 - 화정1동주민센터 - [[화정역(고양)|화정역]] - 고양경찰서 - 능곡중학교 - 행주동주민센터 - [[올림픽대로]]/[[강변북로]][* 도로상황에 따라 다르다. 기본적으로는 서울방향은 [[강변북로]]를, 화정방향은 [[올림픽대로]]를 이용한다. 버스 기사들간에 전화로 정보를 주고 받다 보면 ㄹ자 형태(행주동주민센터 - 가양대교(또는 행주대교) - 올림픽대로 - 마포대교 - 강변북로 - 한남대교를 지나 강남 진입)로 운행하는 해괴한 경우도 있다. 그런데 그렇게 해도 민원으로 인해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않는 이상 이렇게 우회하지는 않는다.] - [[신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신논현역]] → 이후 역순 || == 개요 ==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고양시 식사/능곡/화정지구와 서울 강남을 오간다. [[http://map.naver.com/?busId=10602|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1년 2월 8일에 [[경기광주 버스 9700|9700]]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기존 9700번이 능곡, 화정지구를 경유하다보니 [[고양시]] 내에서 시간이 오래 걸려서 불편이 많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노선을 분리하게 되었다. [[대원고속]]과 [[명성운수]]에서 9700번 운행비율에 맟춰서 차량을 투입했다. * 2014년 6월 16일에 [[대원고속]] 단독운행으로 변경되었다. [[명성운수]] 차고지와 9600번 기점이 차고지와 먼 데다가 적자문제로 아예 버스까지 넘긴 것. 이후 [[유니버스]]는 1550, 8201, 5500-2, 5007번 등에서 운행했다가 전멸하였다. * 2015년 1월 16일에 '신사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교육개발원' 구간이 '신논현역 → 언주역 → 역삼역 → 강남역(12번 출구) → 신논현역'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9월 1일부터 적자 누적으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나 9월 3일부터 운행을 재개한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81241|관련 게시물]] == 특징 == * 노선 선형이 [[영 좋지 않다]]. 무려 언론에도 소개되었을 정도.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045962&plink=OLDURL|기사1]], [[http://naver.me/GJs20iaP|기사2]] 우선 식사동에서 이 노선을 탄다면 엄청난 시간낭비이다. [[서울 버스 771|771번]][* 재밌는 건 이 노선도 9713번 광역버스 시절에 이 굴곡 때문에 언론을 탄 적이 있다는 점이다. 결국 직선화에 성공했지만 [[서울 버스 7728|7728번]] 노선변경으로 해당 구간을 재경유하게 된 것.]이 경유하는 바로 그 성사동 굴곡을 따라 원당, 화정동을 정차하는데다가 심지어 능곡까지 경유하다보니 식사동에서 화정까지 가는데만 30분이 걸린다. 이러한 이유로 출퇴근 시간에는 자리를 다 깔고 가지만, 평시에는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번]]을 타고 백석역이나 마두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니 수요가 바닥을 기는 게 현실. * 강변북로의 교통상황이 원활하면 능곡에서 신사역 버스정류장까지 20분대로 주파 가능하다. 출근시간대에 탑승하더라도 능곡병원에서 신사역까지 54분, 신논현역까지 1시간 정도 소요되었는데, 능곡역에서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한남역에서 421번으로 환승하는 것과 큰 차이가 없다.[* 능곡역에서 한남역까지 다이어 상 소요시간은 38분이며, 환승대기시간을 감안하면 신논현역까지 50분 정도 걸린다.] 9600번이 경유하는 능곡 지역의 대부분이 능곡역과 거리가 있으므로, 강변북로의 교통 상황이 양호하고 10분 이내로 이 버스가 도착한다면 원당, 화정, 능곡에서 강남대로 방면으로 가는 경우에는 3호선,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환승하는 것보다 이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여담으로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번]] 차량이 고장으로 운행하지 못할때 가끔 이 노선의 차량이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번]]으로 지원 나가기도 한다. 반대로 9600번 차량이 고장났을때도 [[경기광주, 고양 버스 9700|9700번]] 차량도 지원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전 차량 디젤이었던 시절에는 [[경기광주 버스 3200|공항버스 3200번]]으로도 지원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현재는 이러한 일은 전혀 없다. * 2017년 10월 기준으로 KD 운송그룹 광주시 면허 직좌 노선 순위에서 '''뒤에서 3위'''를 기록했다. 참고로 이 밑으로는 [[경기광주 버스 8201(폐선)|8201번]], [[경기광주 버스 1113|1113번]] 순이다. === 시간표 === 2021년 9월 3일 기준. 교통 상황 등 기타 사유로 인해 출발이 지연되거나 결행될 수도 있으니 유의할 것. ||<-6> '''{{{#ffffff 경기광주 버스 9600번 운행시간표}}}'''[br]{{{#ffffff 2021년 9월 3일 기준}}} || || '''횟수''' || '''식사동 출발''' || '''[[강남역]] 회차''' || '''횟수''' || '''식사동 출발''' || '''[[강남역]] 회차''' || || 1 || 05:00 || 06:15 || 8 || 13:50 ||<|6> 도착 후 회차 || || 2|| 06:00 ||<|6> 도착 후 회차 || 9 || 15:20 || || 3 || 06:50 || 10 || 16:50 || || 4 || 08:00 || 11 || 18:20 || || 5 || 09:30 || 12 || 19:50 || || 6 || 11:00 || 13 || 21:20 || || 7 || 12:20 || 14 || 22:45 || 00:00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 [[역삼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화정역(고양)|화정역]], [[신사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논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논현역]], [[언주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20]] [[신분당선]]: [[강남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고양-강남역간 버스)]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11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경기도의 직행좌석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