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양089_897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양089_8051.png|width=100%]]}}} || ||<-2> 089번 마을버스 시절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15]] {{{#fff 고양시 일반버스 89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089지도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대화동(이마트킨텍스점) ||<-2> 종점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하이마트사거리) || ||<|2> 종점행 || 첫차 || 05:20 ||<|2>기점행 || 첫차 || 05:20 || || 막차 || 23:00 || 막차 || 23:40 || ||<-2> 평일배차 || 15~30분 ||<-2> 주말배차 || 20~40분 || ||<-2> 운수사명 || [[대덕운수]] ||<-2> 인가대수 || 10대[* 실제로는 4대로 운행한다.] || ||<-2> 노선 ||<-4> [[이마트 킨텍스점]] - 킨텍스원시티 - [[KINTEX|킨텍스]] 제2전시장 - [[대화중학교(경기)|대화중학교]].[[고양종합운동장]] - [[대화역]] -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백병원]] - 문촌마을 - [[주엽역]] - 강선마을 - 일산동부경찰서 - [[정발산역|일산동구청]] - [[마두역]] - 호수마을.흰돌마을 - [[백석역]] - [[대곡역(고양)|대곡역]] - 하이마트사거리 || == 개요 == [[대덕운수]]에서 운행 중인 시내버스 노선. [[http://www.gbis.go.kr/gbis2014/schBus.action?cmd=mainSearchText&gubun=busInfo&searchText=089&routeId=241327005|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8년 7월 18일에 101번(현재 082번)에서 분리신설되었다. 당시 번호는 101-1번이었으며, 당시 노선은 '백석동문굿모닝힐1차 - 백석역 - 마두역 - 정발산역 - 호수공원 - 강선마을 - 주엽역 - 백병원'이었다. * 2009년 3월 고양시 마을버스 개편 때 번호가 089번으로 변경되었다. 본래는 083번으로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고양 버스 830|83번]](현재 830번)과 혼동될 소지가 있어 다른 번호가 부여되었다. * 2012년에 백병원 회차에서 원마운트 회차로 바뀌고, 강선마을에서 호수공원 방향으로 우회전하던 것이 중앙로 직통으로 변경되었다. * 2016년 5월 10일에 '주엽역 → 문촌마을 → 현대백화점(킨텍스점) → 고양 원마운트 → 주엽역사거리 → 주엽역'에서 '주엽역 - 문촌마을 - 일산서구청 - 대화역 - 킨텍스(한류월드로) - 이마트타운(킨텍스점)'으로 연장되었다. [[고양 버스 082|082번]] 경로와 달리 대화중학교 이후 킨텍스 제1, 2전시장을 관통하는 한류월드로를 통해, 개통 초기에 갔던 킨텍스를 다시 경유하게 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205473|관련 게시물]] 대신 원마운트 및 현대백화점(킨텍스점)으로는 가지 않게 되었지만 [[고양 버스 039|039]], [[고양 버스 080|080]], [[고양 버스 082|082번]]을 타면 갈 수 있다. 실제 노선 변경은 2016년 5월 15일에 [[고양 버스 091|091번]] 및 [[고양 버스 092|092번]] 통합과 같이 시행되었다. * 2019년 6월 24일에 '킨텍스 → 이마트타운 → 현대모터스튜디오' 구간이 '킨텍스 - 킨텍스꿈에그린 - 킨텍스원시티 - 이마트타운'으로 변경된다. 앰플호텔 앞으로는 들어가지 않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151100|관련 게시물]] * 2023년 11월 6일부터 능곡지하차도 위 교차로((구)하이마트 사거리)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대곡역(고양)|대곡역]]을 경유하게 됐다. 따라서 기존 단독구간이자 개통 때부터 유지되었던 백석동 동문오피스텔 회차구간은 더 이상 경유하지 않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653881|관련 게시물]] * 2024년 5월 1일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그와 동시에 능곡역까지 연장될 예정이었으나 잠시 유보되었다.[* 하이마트사거리-[[행신역]]-[[능곡역]]-[[대곡역(고양)|대곡역]] 순으로 단방향 운행을 하게 된다.] 노선번호 또한 89번으로 변경되었다. [[https://m.ekn.kr/view.php?key=20240424023482776|관련 게시물]] == 특징 == * [[대화역]]부터 능곡지하차도까지 [[중앙로(고양)|중앙로]] 버스중앙차로를 경유하며, 이 구간에서는 대화역에서 대곡역까지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과 경쟁한다. 또한, 고양시에서 [[중앙로(고양)|중앙로]] 구간이 가장 긴 마을버스 노선이다. * 082번과 '백석역~대화중학교' 구간이 겹친다. 사실 089번이 개편전 구 101번(현 082번)에서 갈라져 나온 노선(구 101-1번)이라서 그런 것이다. * [[웨스턴돔]], [[라페스타]](입구),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킨텍스점]] 등 다양한 쇼핑센터를 경유한다. * 노선 변경 이후 이마트 킨텍스점에서 회차하는 노선이 되었다. 이전에는 [[고양 버스 062|062번]]만이 유일하게 이 곳에서 회차했다. 062번보다 배차간격이 훨씬 짧은데다가 킨텍스 정류장은 제1전시장과 제2전시장 사이에 있는 한류월드로에 있는 정류장을 사용한다. 원래 이 곳은 공항버스인 [[공항버스 7300|7300번]], [[공항버스 7400|7400번]]만 서는 곳이었는데, 089번과 함께 [[광역급행버스 M7731|합정행 M7731]]까지 서는지라 이들 환승수요까지 합해서 차츰 지역주민들에게 인기 있는 노선이 되어가고 있다. 한마디로 '''본격 제2킨텍스/이마트타운 셔틀버스'''다. * 하이마트사거리로 연장이후 고양시 [[일산동구]],[[일산서구]],[[덕양구]]를 거치는 유일한 고양시 마을버스가 되었으나.. 잠깐이었고 시내로 전환되면 고양시 3개구를 거치는 마을버스는 다시 없게 된다. * 대덕운수 운행 노선들 중, 유일하게 [[백마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 [[고양 BRT]]가 개통된 이래 [[고양시 마을버스]] 최초로 백석동.요진와이시티 정류장과 대곡역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이다. 대곡역으로 연장한 이유는 [[대덕운수]]의 시내버스 업체 전환을 미리 대비해서 연장했다는 주장이 있다. * 만약 위 서술대로 [[능곡역]]까지 연장된다면 [[서울 버스 760|760번]]의 일부 수요를 뺏을거 같다. 능곡주민들은 대부분 능곡에서 일산신도시를 갈때 760번[* 9707번도 있으나, 광역버스라 요금이 비싸 많이 이용하지 않으며, 760번이랑 기껏해야 5~10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을 이용하는데, 동해운수 특성상 저속 운행을 하는데다 89번(구 089번)은 바로 꽂아주는데 760번은 화훼단지나 어린이교통공원 등 일산에서 외곽 지역을 이용하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마두역]]이나 [[주엽역]] 등 일산 중요 정차지를 가는 사람이라면 이 노선을 이용할것으로 예상된다. === 노선 === ||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15]] {{{#fff 고양시 일반버스 89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하이마트사거리[br]19394''' || || 대곡역(중)[br]19010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파일:GJLine_icon.svg|width=15]][[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5]] || || {{{#fff ↓}}} || {{{#fff ↑}}} || || 대곡역(중)[br]19007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파일:GJLine_icon.svg|width=15]][[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5]]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br]20352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중)[br]20353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 || {{{#fff ↓}}} || {{{#fff ↑}}} || || 백석역(중)[br]20311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안산공원(중)[br]20323 || || || || || 알미공원(중)[br]20494 || || 흰돌마을(중)[br]20491 || || {{{#fff ↓}}} || {{{#fff ↑}}} || || 호수마을(중)[br]20493 || || 마두역(중)[br]20249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 || || 마두역(중)[br]20247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일산동구청(중)[br]20224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fff ↓}}} || {{{#fff ↑}}} || || 일산동구청(중)[br]20227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일산동부경찰서(중)[br]20203 || || || || || 일산동부경찰서(중)[br]20206 || || 강선마을(중)[br]20166 || || {{{#fff ↓}}} || {{{#fff ↑}}} || || 강선마을(중)[br]20161 || || 주엽역(중)[br]20135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 || || 주엽역(중)[br]20136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문촌마을(중)[br]20114 || || {{{#fff ↓}}} || {{{#fff ↑}}} || || 문촌마을(중)[br]20111 || || 백병원(중)[br]20097 || || || || || 백병원(중)[br]20098 || || 대화역[br]20086[[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fff ↓}}} || || || {{{#fff ↑}}} || 대화역[br]20085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br]20076 || || || || || 대화중학교.종합운동장[br]20077 || || 킨텍스[br]20649 || {{{#fff ↓}}} || || || {{{#fff ↑}}} || 킨텍스[br]20650 || || 힐스테이트일산[br]20049 || || || || || 현대모터스튜디오고양[br]20716 || || 킨텍스꿈에그린.원시티1단지[br]20764 || {{{#fff ↓}}} || || || {{{#fff ↑}}} || 킨텍스꿈에그린.원시티1단지[br]20765 || || 소노캄호텔[br]20689 || || || || || 소노캄호텔[br]20688 || || 킨텍스원시티3단지[br]20034 || {{{#fff ↓}}} || || || {{{#fff ↑}}} || 킨텍스원시티3단지[br]20040 || || 킨텍스원시티2단지[br]20026 || || || || || 킨텍스원시티2단지[br]20032 || ||<-3> '''더샵그라비스타.이마트킨텍스점[br]58114''' ||<-3> '''더샵그라비스타.이마트킨텍스점[br]58123''' || }}}}}} || || || === 임시 운행 노선 === [include(틀:폐선)] ||<-6><:>[[파일:고양시 CI_White.svg|width=20]] {{{#fff 고양시 마을버스 089F번}}}|| ||<-2><:>기점||<:>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킨텍스)||<-2><:>종점||<:>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호수공원관리사무소)|| ||<|2><:>종점행||<:>첫차||<:>09:30||<|2><:>기점행||<:>첫차||<:>09:50|| ||<:>막차||<:>18:05||<:>막차||<:>18:20|| ||<-2><:>배차간격||<:><-4>10분|| ||<-2><:>운수사명||<:>[[고양도시관리공사]], [[대덕운수]]||<-2><:>인가대수||<:>6대[* 고양도시관리공사 2대, 대덕운수 4대 운행]|| ||<-2><:>노선||<-4><:>킨텍스 - 킨텍스원시티1단지 - 한화꿈의그린아파트 - 가로수길 - 일산노인종합복지관 - 일산호수공원 - 호수공원관리사무소|| * 2022년 고양 꽃박람회 개최 기간인 4월 22일부터 26일까지 총 5일 동안 운행했던 노선이다. * 고양도시관리공사는 [[고양 버스 N003|N003번]] 차량 1대[* N003번에서 차출되어 운행하므로 동 기간동안 N003번의 운행도 일시중단되었다.], [[고양 버스 N005|N005번]] 차량 1대씩 총 2대, 대덕운수는 [[고양 버스 080|080]], [[고양 버스 081|081]], [[고양 버스 082|082A]], 089번에서 각각 1대씩, 총 4대를 차출해서 운행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곡역(고양)|대곡역]], [[백석역]], [[마두역]], [[정발산역]], [[주엽역]], [[대화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고양)|대곡역]], [[능곡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고양)|대곡역]], 능곡역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0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