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include(틀:고양시의 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height=15]] {{{#ffffff 고양시 직행좌석버스 380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버스 380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고양공영차고지) ||<-2> 종점 || 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경기도청북부청사) || ||<|2> 종점행 || 첫차 || 05:00 ||<|2> 기점행 || 첫차 || 06:40 || || 막차 || 23:00 || 막차 || 00:40 || ||<-2> 배차간격 ||<-4> 25~45분 (1일 32회) || ||<-2> 운수사명 || [[명성(버스회사)|명성]] ||<-2> 인가대수 || 8대[* 평일 8대, 토요일 7대, 일요일 6대] || ||<-5> {{{#ffffff 경유 정류장}}} || || '''고양''' ||<|18> ↔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18> ↔ || '''의정부''' || || 고양공영차고지 ||<|17> [[양주TG| 양주영업소]] ||<|2> [[장암역]].석림사입구 || || [[대화역]] || || [[주엽역]] ||<|5> 장암주공5단지.한국.풍림아파트(상)[br]장암주공5단지앞(하) || || 일산동부경찰서 || || 일산동구청 || || 마두역 || || 백석동.요진와이시티 || || [[대곡역(고양)|대곡역]] ||<|2> 추동아파트(상)[br]신동초.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앞(하) || || [[화정역(고양)|화정역]].[[롯데마트 화정점|롯데마트]](상)[br]별빛마을8단지.[[롯데마트 화정점|롯데마트]](하) || || 덕양구청(상)[br][[화정역(고양)|화정역]].덕양구청(하) ||<|3> 은하수아파트(상)[br]은하수아파트.신곡2동주민센터(하) ||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 || 신원당마을 입구 || || [[원당역]] ||<|2> 의정부우체국 || || [[원흥역]]2번출구(상)[br][[원흥역]]3번출구(하) || || [[삼송역]]4번출구(상)[br][[삼송역]]5번출구(하) ||<|3> 경기도청북부청사 || || 신원마을2.4단지 || == 개요 == 2024년 6월부터 운행 예정인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9.6km다. == 역사 == * 2023년 6월 4일 경기도의 [[https://gnews.gg.go.kr/briefing/brief_gongbo_view.do;jsessionid=7008986ABD756DCF776119A7C9D459A8.ajp13?BS_CODE=s017&number=57628&period_1=&period_2=&search=0&keyword=&subject_Code=BO01&page=1|2023년 경기도 공공버스 신규 노선 18개 노선]]에 신설 노선으로 포함되었다. * [[고양시]]의 [[명성(버스회사)|명성]], [[고양교통]], [[서울여객]] 총 3개 업체가 신청하였으나 우선협상대상자로 [[명성(버스회사)|명성]]이 선정되었다. * 현대자동차의 '''출고지연으로 인해서 개통이 연기'''되었으나 2024년 5월 2일 차량을 인수하였고 차량 준비와 노선 견습 등 5월 한달간 운행준비기간을 거쳐서 2024년 6월 1일 개통 예정이다. == 특징 == * 고양시가 준공영제 전환에 찬성한 후 첫 신설되는 [[경기도 공공버스]] 노선[* 2023년 사업 1차 신설노선]이자 [[고양시]]와 [[의정부시]]를 연결하는 첫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 [[명성(버스회사)|명성]] 설립 이래 최초의 [[의정부시|의정부]] 진출 노선이다. * 이 노선의 존재로 인해 [[공항버스 7300|7300번]]의 수요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경유지 및 운행구간에서는 차이가 있는데, [[공항버스 7300|7300번]]은 [[송추IC]] - [[일산IC]] 구간이 고속도로 경유에 해당되지만 이 노선은 [[의정부IC]] - [[통일로IC]] 구간만 고속도로를 경유한다. * 그밖에 [[고양 BRT]] [[중앙로(고양)|중앙로]] 구간 - [[성남 버스 8109|8109번]] - [[양주TG]] - [[양주 버스 8906|8906번]] - [[의정부시]] 경로도 있지만 시간이 맞지 않는다면 지하철 3호선을 이용하여 [[종로3가역]](3호선-1호선 환승) 또는 경의중앙선을 이용하여 [[용산역]], [[회기역]](경의중앙선-1호선 환승)등 지하철 환승을 고려해야 한다. 다만 소요 시간 측면에서 효용성이나 합리성이 부족하지만 이 노선이 개통된다면 이러한 경로 선택은 다소 나아질 전망이다. * 그동안 고양시 주민들이 대중교통으로 의정부에 방문할 때에는 환승할인이 안되고 요금이 비싼 시외버스를 타거나 지하철을 타고 환승을 하여야 했으나, 이 노선이 개통되고 나면 고양~의정부 간 이동시간이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양시에 거주하는 20대 남성들이 [[병역판정검사]]를 위한 [[병무청|경기북부병무지청]] 방문이 더 편리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장암역 이후 [[동일로]]를 따라 바로 북부청사로 향하기 때문에 장암주공에서 118번, 203-1번, 203-2번 등으로의 환승이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었다.] * 이 노선의 설계당시 [[시외버스 7300|7300번]]과의 노선간 경합 문제를 신경 쓴 나머지 고양시 구간은 원흥역과 삼송역으로 돌아가고, 의정부 구간도 마찬가지로 의정부역, 터미널, 시청, 법조타운 등 번화가를 모두 피해가고 애매하게 아파트단지만 스쳐가는 노선선정 덕분에 의정부역으로 가려면 환승을 해야 한다. * 소요시간에서 다소 손해가 있지만 경쟁노선인 [[시외버스 7300|7300번]]이 대폭 감회되었고 '''일산과 의정부를 연결하는 유일한 직행좌석버스'''라는 점이 상징적으로 작용하여 큰 무리없이 안착할 것으로 보인다. * 모든 관리는 [[고양공영차고지|공영영업소]]에서 일괄적으로 할 예정이다. * 이 노선과 [[교외선]]이 개통하면 고양~의정부를 연결하는 대중교통은 3가지가 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백석역]], [[대곡역(고양)|대곡역]], [[화정역(고양)|화정역]], [[원당역]], [[원흥역]], [[삼송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암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경기도청북부청사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대곡역 * [[파일:Seohae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서해선]]: 대곡역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 미경유 직행좌석버스)] [include(틀:금오지구 경유 버스노선)]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24년 개업 예정인 버스 노선]][[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