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고양333-1956.jpg|width=100%]] || [[파일:_DSC0564.png|width=100%]] || || 신성교통 운행 시절. || 운행 중단 직전 운행 모습.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고양시 일반형버스 33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고양 333 지도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파주시 금촌동(서울여객금촌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구파발역.롯데몰) || ||<|2> 종점행 || 첫차 || 04:50 ||<|2> 기점행 || 첫차 || 06:20 || || 막차 || 21:30 || 막차 || 22:50 || ||<-2> 평일배차 || 1일 4회 ||<-2> 주말배차 || '''미운행''' || ||<-2> 운수사명 || [[서울여객]] ||<-2> 인가대수 || 5대[* 실제로는 1대만 운행했다.] || ||<-2> 노선 ||<-4> 서울여객금촌차고지 - KT파주지사 - 보건소 - 파주병원 - [[금촌역]] - 파주여자고등학교 - 낙머리 - 뇌조삼거리 - 오성주유소 - 인쇄단지 - (→ 전진마을 →) - 광탄삼거리 - 신산초교 - 창만사거리 - 복월동 - 마장삼거리 - 영장삼거리 - ('''기산리''')[* 구파발 방향 첫차 미경유] - 보광사 - 고양동삼거리 - 고양동사거리 - 고양동시장 - 서울시립승화원 - 삼송주택앞 - 서원 - 지축동 - [[구파발역]].롯데몰 은평 || == 개요 == [[서울여객]]에서 운행했던 일반형버스 노선. == 역사 == [[파일:구파주33.jpg]] * 오래 전부터 [[대성여객]]이 운행하던 광탄-보광사-불광동 간 33 노선이 시초이다. 대성여객 운행 노선이 그렇듯 이 노선도 최초에는 시외완행버스였다. * 2002년, 기점이 광탄에서 맥금동으로 연장되었다. * 2003년, 기점이 맥금동에서 아동동으로 단축되었다. * 2004년, 대성여객이 신성교통에 흡수됨에 따라 운행사가 [[신성여객(파주)|신성교통]]으로 바뀌었다. * 2008년 2월 19일, 기존 [[명성운수]]의 [[파주 버스 33|33번]]의 인수 직전에 333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 2008년 11월 29일, 회차지가 [[서울서부버스터미널]]에서 [[구파발역]]으로 변경되며 구파발역-서부터미널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7년 6월 1일, 서현운수로 이관되었다. * 2017년 9월, 적자를 이유로 11월부터 파주시 구간 전체와 고양시 구간 일부를 단축(금촌-고양동 구간 미운행)한다고 발표했다. 이게 큰 문제인 게, '''해당 구간 중 고양동종점(벽제묘지) ~ 영장리(보광사) - 마장교(마장2리부대) ~ 신산초교 구간에 다니는 버스가 333번 하나뿐이라는 것.'''[* 게다가 광탄면에서는 서울로 나가는 노선이 적은 편이다. 용미리의 서울시립공동묘지와 혜음령(시경계)을 통해 내려가는 [[서울 버스 774|774번]]과 달리, 이 노선은 반대쪽인 보광로를 통해 영장리로 간다. 두 노선의 분기점은 고양동삼거리 정류장이다.] 준공영제인 서울버스와 달리 경기버스는 민영제이기에 노선의 면허관청인 고양시에서도 운수업체 재량이라 강제할 수 없다고 한 발 뒤로 물러나 있고, 파주시조차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 주민들은 항의 집회를 열고 있으며 [[SBS 8 뉴스]]에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570307|보도되었다.]] 9월 21일에는 [[JTBC 뉴스룸]]에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163736|보도되었다.]] 업체는 11월부터 노선 조정을 예고하였으나, 2017년 12월 현재 노선 조정이 시행되지 않는 걸 보아 파주시와 서현운수가 현행 유지로 협상을 타결한 것으로 추정된다. 파주시는 대책으로 2018년 3월부터 [[파주 버스 313|해당 구간을 운행하는 맞춤형버스]] 신설을 예고하였다. * 전진마을 앞 도로가 [[일방통행]]으로 변경되면서, 2017년 12월 4일부터 금촌 방향은 전진마을을 들르지 않고 파주로를 경유해 오산리 구 길로 들어간다. [[http://gall.dcinside.com/infra/120028|관련 게시물]] * 2018년 3월 부로 7대에서 5대로 감차됐다. 감차분 자체는 현재 미운행 중인 잉여분이므로 실 운행 횟수에는 변동이 없을 예정. 남는 2대로는 목암초교-불광동 간 350번을 만든다고 하지만 아직까지 개통 소식은 없다. * 기산리 구간에는 노선 인가만 되어있을 뿐 정류장 등록이 안 되어 있다가, 일자 미상(2018년 5~6월 사이 추정)으로 기산리 구간이 BIS에 등록되었다. * 일정 미상으로 기산리를 모두 들어갔다 나왔으나, 2019년 4월 1일부터 기존과 같이 하루 8번만 들어가게 되었다. * 2020년 9월 1일부터 서울운수의 신성교통 금촌차고지 임차기간이 종료되어 자체 차고지를 이전하게 됨에 따라 금촌차고지를 경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KT파주지사에서 승차 해야한다. * 2020년 10월 27일 부로 기존 '삼송주택앞 - 삼송테크노밸리 - 은평뉴타운10단지 - 구파발역'구간을 '삼송주택앞 - 서원 - 지축동 - 구파발역'으로 변경 운행한다. * 2021년 9월 9일부터 799번과 함께 서울여객금촌차고지 정류장에 추가 정차한다. * 2021년 9월 11일부터 운행사원 부족으로 인하여 주말, 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385358|관련 게시물]] * 2021년 10월 15일에 폐선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transit/400823|관련 게시물]] * 그런데 '''이 노선과 [[고양 버스 55|55번]]을 서울여객 측에서 시청 허가없이 일방적으로 폐선 조치'''를 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공개되었다. [[https://gall.dcinside.com/transit/427937|관련 게시물]] 현재 고양시에서는 이 행위를 무단 결행으로 간주하여 서울여객에 대해 행정처분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운행 업체의 정무적 판단으로 지자체 몰래 휴업처리되어 운행하지 않는다. [[고양시]]에서 해당 운수사의 대한 행정 조치를 준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소식이 들려오지 않은 상태이다. 여담으로 서울여객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노선 중 하나이다. 더군다나 이 노선을 폐선시키려면 파주시/서울시와도 합의를 해야 하는데, 왜냐하면 해당 지차체 출입 노선이기 때문이다. [[서울여객(고양)]] 문서 참고.] * 이후에도 GBIS에서는 한동안 노선 정보가 계속 떴으나, 2023년 5월 기준으로 사라진 것을 보아 사실상 폐선이 공식화됐다. == 특징 == * 금촌 구간을 8자 모양으로 크게 일주 후 파주여고, 낙머리, 광탄, 보광사, 고양동을 거쳐 구파발역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단독구간인 창만리, 마장리, 영장리 주민들의 발 역할을 했다. * 우리상회 - 마장삼거리, 영장삼거리 - 보광사 - 벽제묘지 구간은 단독 구간인데 [[버스 동호인]] 사이에서는 보광사 고갯길(됫박고개) 구간이 인기가 많았다. * 굴곡 노선이므로(금촌-구파발역은 통일로를 계속 타는 것이 훨씬 빠르다. 요금이 저렴한 것은 덤.) 장거리 수요보다 구간수요가 많은 노선이었다. 금촌 - 광탄 - 보광사(영장리) - 고양동 - 삼송역/구파발역 등 이용 패턴이 다양하였다. 산업단지 근로자(영장리에 인쇄단지가 위치한다.), 군인(영장리에 군부대가 위치한다.)의 이용 수요도 있었으며, 주말과 공휴일에는 고령산 등산을 위해 보광사로 가는 등산객 수요가 많았다. * [[현대 그린시티|그린시티]]가 주력 차종이기 전에는 모든 차량이 [[현대 카운티|카운티]]였던 시절이 있었다.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도 운행한 적이 있었다. 그린시티 가스차량도 다녔고, 감차 이후에는 한동안 2012년식 그린시티 디젤차들로 운행하다 말년에는 2013년식 디젤차 1대로 운행했다. * 구파발 방향 첫차를 제외하고 기산리를 경유했다. 92번의 자장리 지선보단 잘 알려지진 않았던 편이었다. 운행 구간은 '''영장삼거리 - 영장1리(능촌교앞) - 영장1리(기산로 80) - 영장1리마을회관 - 영장2교 - 기산리 - 기산2리마을회관 - 마장호수출렁다리''' 구간이었다. 다만, '''기산리 정류장을 제외한 모든 정류장은 인가가 안 되어 있기 때문에 [[마장호수]]에 가기 위한 목적이 아닌 이상 기사에게 말해서 내려야 했다.''' 기사에 따라 세워주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이었다. 위 기재 정류장 중 일부는 정류장 승강장이 갖추어져 있었다. [[양주 버스 365|365-2번]]도 정류장 인가는 되어 있지 않으나, 정류장에 노선도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승하차 취급이 가능한 것으로 추측된다. 333번 승차시 해당 구간은 금촌/구파발행 모두 경유하기에 기사에게 방향을 물어봐야 했다.[* [[파주 버스 37|37번]]이나 [[파주 버스 313|313-1번]]은 영장2교, 기산리, 기산2리마을회관 구간 인가가 나중에 이루어졌다. 그 전까지는 어떠한 버스도 기산리를 제외하고 인가되어 있지 않았다.] * 유일레저타운은 마장3리/유일레저 정류소에서 내린 후 갈 수 있었다. * 금촌에서 [[굴곡 노선/버스/경기도|광탄면과 고양동을 거쳐 내려오기 때문에]] 금촌에서 [[삼송역]]/[[구파발역|구파발]] 방향으로 가려면 전철이나[* [[대곡역(고양)|대곡역]]에서 3호선으로 환승] [[파주 버스 17|17번]], [[고양 버스 100|100번]], [[고양 버스 799|799번]], [[파주 버스 9709|9709번]]을 이용하는 것이 빨랐으며, 영태3리~낙머리 사이에서 삼송역 방향은 [[파주 버스 30|30번]], [[파주 버스 9710|9710번]], 뇌조리/오산리에서 삼송역 방향으로 가려면 [[파주 버스 31|31번]]이 빠르고 광탄에서 [[삼송역]] 방향으로 가려면 [[서울 버스 774|774번]]을 이용하는 것이 빨랐다. 참고로 17번, 30번, 31번, 100번, 799번은 [[구파발역 환승센터]]을 경유하며, [[서울 버스 774|774번]], [[파주 버스 9709|9709번]], [[서울 버스 9710|9710번]]은 [[구파발역]]에 진입하지 않고 [[통일로]] 구파발네거리에 있는 중앙차로 정류장인 '''구파발역입구(중)'''에 정차하기 때문에 [[구파발역]]을 직접 경유하지 않는다.[* 2017년 2월부터 [[롯데몰 은평]]의 영업 시작으로 '[[구파발역]]입구(중)' 정류소와 [[구파발역]] 및 [[롯데몰 은평]] 간의 연결 통로가 생겨서 [[구파발역]]까지 2분만 걸으면 된다.] * 한때 55-2번[* [[양주 버스 55|55번]]의 지선이었으나 2015년 5월 1일에 폐지되었다.]을 타고 영장삼거리 종점에서 내린 후 333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가능했었으나 2015년 5월 1일 55-2번이 폐선되면서 막혔다가 [[파주 버스 37|37-1번]]이 개통되면서 다시 환승이 가능해지기도 했다. * 이 노선을 성의 없이 운행한다며 단독구간 승차 주민들의 원성이 자자했다. 기산리를 모두 들어간 것도 공지가 따로 마련되지 않았으며, 어느 때는 주말에 3대만 나오기도 하고, 기산리를 8번만 들어간다는 것도 전날까지 차에 어떠한 공지도 없었다. 시간표가 있기는 하나, 길이 막힌다거나 해서 제대로 준수하지 않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했다. * 서울여객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노선 중 하나였다. [[서울여객(고양)]] 문서 참고. === 대체 노선 === * [[서울여객(고양)|운행사]]의 특성상 배차가 심각하게 벌어지거나 '''아예 운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회사 측에 이러한 내용을 문의해도 [[불친절|'''적반하장'''으로 나오고 먼저 전화를 끊어버리는 경우가 많은 편이었다.]] ## * 만약 버스를 놓쳤는데 다음 차가 까마득하거나, 아예 운행 중인 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아래의 대체 노선을 이용하자. ## 바로 윗줄은 과거의 내용으로, 2023년 7월 현재는 폐선되었으므로 내용 바꿉니다. * 현재 이 노선은 폐선되었으므로, 대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 금촌사거리 ~ 광탄: [[파주 버스 10|10번]], [[파주 버스 31|31번]](광탄-봉일천, 봉일천-금촌은 다양한 노선 운행), [[파주 버스 061|061번 (광탄 - 창만사거리 운행)]], [[파주 버스 062|062번 (봉일천 경유.)]] * 광탄 ~ 기산리 (창만리 미경유): [[파주 버스 37|37번]], [[파주 버스 313|313-1번]] * 창만사거리 ~ 복월동 ~ 마장리: [[파주 버스 313|313번]][* 2022년 1월 1일에 개통되었다. 이 노선 개통 전에는 대체 노선이 '''아예 없었다.'''] * 광탄 ~ [[보광사]]: [[파주 버스 37|37-2번 (일 2회 보광사까지 연장 운행)]], [[파주 버스 313|313(-1)번]] * 보광사 - 고양동: [[파주 버스 313|313(-1)]] * 고양동 ~ 서울시립승화원: [[서울 버스 774|774번]], [[고양 버스 790|790번]], [[고양 버스 850|850]] * 서울시립승화원 - [[삼송역]]: [[통일로]] 구간으로, 수많은 노선이 이 구간을 운행하므로 별도 서술하지 않는다. 단 313(-1)은 원흥역으로 가므로, 이 노선 단독 구간에서 승차하여 삼송역 쪽으로 간다면 서울시립승화원 정류장에서 환승을 권한다. * [[삼송역]] - 지축지구 - [[구파발역]]: [[고양 버스 730|730]],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전철]]. 단, 경로가 다르다. 333은 지축역 삼거리와 지축교를 거쳐 구파발역으로 진입했고, 730은 지축지구와 은평뉴타운 내 도로를 경유한다. ===# 시간표 #=== 이 시간표는 운행중단 직전 시간표이다. 기록 참고용으로 삭제하지 않고 남겨둔다. * '''이용 시 가급적 031)946-0471 (서울여객 금촌영업소) 전화 문의 후 이용'''하는 것이 나았다. ||<-10> {{{#ffffff 고양 버스 333번 '''예정 운행시간표'''}}}[br]{{{#ffffff 2021년 2월 13일 기준}}} || || 횟수 || 금촌 || 기산리→구파발 || 구파발 || 기산리→광탄 || 배차간격(분) || || 1 || 4:50 || 미경유 || 6:20~30 || 7:20~30 || 첫차 || || 2 || 9:15 || 10:05~10:15 || 11:15~25 || 12:15~12:25 || 265 || || 3 || 14:00 || 14:50~15:00 || 16:00~10 || 17:10~20 || 285 || || 4 || 21:30 || 22:20~30 || 23:10~20 || 0:10~20 || 450 || ||<-6> '''금촌 출발 시각을 제외한 나머지 시각은 통과 예정 시각입니다.''' || * 2021년 1월 18일, 변경 검토 중인 시간표 차내 부착 확인. 만약 해당 시간표대로 조정되었다면 첫차가 늦춰질 가능성도 있었다. [[파일:20210118rhdid333timetable-2.jpg]]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 삼송주택앞 하차 후 도보 이동], [[지축역]], [[구파발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금촌역]]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2021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