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1001710.jpg|width=100%]] || || 운행중단 전 모습.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고양시 CI_White.svg|width=25]] {{{#ffffff 고양시 일반형버스 100번}}} || ||<-2> 기점 || 경기도 파주시 아동동(금촌농협) ||<-2> 종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대조동(불광역) || ||<|2> 종점행 || 첫차 || 05:20 ||<|2> 기점행 || 첫차 || 06:30 || || 막차 || 22:00(심야 23:05) || 막차 || 23:10(심야 00:10) || ||<-2> 운행횟수 ||<-4> 1일 5회 (공휴일 미운행) || ||<-2> 운수사명 || [[서울여객]] ||<-2> 인가대수 || 1대 || ||<-2> 노선 ||<-4>금촌농협 - [[금촌역]] - 파주시청 - 봉일천시장 - 봉일천한라아파트 - 그린시티 동문아파트 - 지영동 - [[내유동]] - [[관산동]].벽제시장 - [[서울시립승화원]] - [[신원동(고양)|신원마을]] - [[삼송역]] - 서원 - 지축동 - [[구파발역]]환승센터 - [[연신내역]] - [[불광역]] → 양광교회 → [[불광역]] - 이후 역순 || == 개요 == 서울여객에서 운행했던 고양시 일반형 버스 노선. == 역사 == [[파일:파주100_alynesinc.png|width=100%]] * 1996년 4월 좌석버스로 한라아파트 - 불광역 구간이 개통했다. * 2008년 1월 21일에 좌석버스에서 일반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us/28093|관련 게시물]] 좌석버스 경로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구파발역 구간을 빼면 변화가 없는 노선이었다. 심지어 노선도 다른 불광동 출발 노선들과 비슷한 정도였지만, 사실 내유동 정류장이 달랐으며, 봉일천도 직접 들어가지 않았다. * 2015년 10월 12일부터 '한라아파트 - 봉일천시장 - 파주시청 - 금촌역 - 금촌차고지' 구간 연장과 동시에 기점이 '''금촌차고지'''로 바뀌게 된다.[[http://gall.dcinside.com/bus/1157148|관련 게시물]] 추가로 이 노선을 포함한 [[파주 버스 30|30번]]도 [[고양 버스 790|330번]] 회차 경로로 변경되었다. * 2016년 7월 11일부터 23:00 출발 차량이 운행하였다. * 2017년 6월 1일, 서현운수(현 서울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18년 1월 15일 첫차부터 거리비례제를 시행하였다. 이전까지는 기본요금제 노선이었다. * 2019년에 들어서 기사부족 등을 이유로 5대가 감차되어 6대로 다니고 있다. 그리고 또다시 감차되었는지 이제는 --4대-- 2대로만 다닌다. --안 그래도 지옥 같은 배차간격이 더 지옥 같아졌다. 대체노선을 타자.-- 줄어든 인가분은 799번 등 타 노선 증차에 쓰인 것으로 보인다. * 2019년 9월 2일부로 농협하나로마트([[스타필드 고양]])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20년 9월 1일부터 서현운수의 신성교통 금촌차고지 임차기간이 종료되어 자체 차고지를 이전하게 됨에 따라 금촌차고지를 경유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금촌차고지-금촌농협'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20년 10월 27일부로 기존 '삼송주택앞 - 삼송역 - 농협하나로클럽 - 은평뉴타운10단지 - 구파발역'구간이 '삼송주택앞 - 서원 - 지축동 - 구파발역'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계속되는 적자 누적으로 인해 2021년 1월 26일부터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2021년 7월 1일부로 완전히 폐선되었다. == 특징 == * 2015년 10월 12일부터 불광동 소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은 결국 못 쓰게 되면서 기종점을 맞바꾸고 금촌차고지로 노선을 연장하면서 봉일천을 거쳐가게 되었다. 허나 이 노선은 중간에 [[굴곡 노선/버스/경기도|지영동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봉일천이나, 금촌이 목적지일 경우에는 [[고양 버스 799|799번]]이나 [[파주 버스 17|17번]]등의 노선을 타는것이 빨랐다. 이는 조리읍사무소 정류장과 교량으로 연계되는 한라아파트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도 해당하는 사항이다. * 이 노선은 불광역 회차 노선이었으며, 불광역3.6호선, 서부경찰서(구, 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승차시 중앙차로 정류장으로 가야 했다. * 한라아파트(금촌) 방향의 내유동 정류장은 금촌, 문산으로 가는 통일로 경유 노선과는 다른 정류장을 쓰기 때문에 이용시 주의해야 했다. * 중형버스와 대형버스가 공존하는 노선이었다. 서현운수의 대형버스는 2017년 11월부터 투입되기 시작했는데, 증감차를 반복하다가 [[서울 버스 271|271번]]의 노선 분리로 인해 [[고양 버스 733|733번]]이 증차되면서 결국 다시 전량 중형버스가 되기도 했다. * [[구파발역 환승센터]]는 양 방향 모두 정차했다. * '''[[시계외요금|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했다. === 대체 노선 === * 현재 이 노선은 더 이상 이용할 수 없으므로, 대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금촌 ~ 그린시티동문아파트: [[파주 버스 90|90번]][* 파주시청과 교육청으로 질러가는 100번과 달리 로터리와 금릉역 방향으로 크게 우회한다. 다만, 이 구간을 제외하면 대원리까지 완벽하게 동일하다.], [[파주 버스 065|065번]][* 다만 능안리, 한라아파트는 경유하지 않고 금촌1동 ~ 고양자유학교(지영동) 구간까지 굴곡없이 최단경로로 이어준다.] * 그린시티동문아파트 ~ 삼송역: '''[[고양 버스 037|037번]]'''[* 지영교를 건너는 100번과 달리 벽제교를 건넌다. 따라서 내유동은 대체 불가. 내유동으로 가기 위해서는 지영동에서 [[고양 버스 036|036번]]으로 환승하거나 통일로를 지나는 수많은 노선들을 이용하면 된다.] * 삼송역 ~ 불광역: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전철]], [[서울 버스 774|774번]], [[파주 버스 17|17번]], [[파주 버스 30|30번]], [[파주 버스 31|31번]], [[고양 버스 790|790번]], [[고양 버스 799|799번]], [[파주 버스 9709|9709번]], [[파주 버스 9710|9710번, 9710-1번]]. - 단 9709/9710(-1)은 직행좌석버스로 운임이 비싸며 입석금지를 시행한다. 17/790은 배차간격이 매우 길기에 이용이 쉽지 않다. 지축지구는 [[고양 버스 077|077A번, 077B번]]과 [[고양 버스 730|730]]으로 대체해야 하며, (구)효자동주민센터부터 불광역까지는 [[의정부 버스 360|360번]]을 이용하면 된다. ===# 시간표 #=== 이 시간표는 운행중단 직전 시간표이다. 기록 참고용으로 삭제하지 않고 남겨둔다. [[파일:20201028_070019.jpg]] == 연계 철도역 == * [[수도권 전철 3호선]]: [[삼송역]],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역, 불광역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금촌역]] [[분류:고양시의 시내버스]][[분류:1996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1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