甲子園ボウル Koshien Bowl [[일본]] [[대학교]]부 '''[[미식축구]] 결승전. [[야구]]와는 관련이 없다.'''[* 단지 본 경기를 [[고시엔 야구장]]에서 치르기 때문에 고시엔 볼로 명명한 것이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 [[간토]], [[간사이]] 양측 대학 [[미식축구]] 리그의 최종 우승한 구단끼리 [[고시엔 야구장]]에서 붙게 된다.[* 제2차 세계대전 전후 미식축구가 본격적으로 들어왔을 때 관동과 관서에서 미식축구 연맹이 따로 발족하면서 이런 방식이 됐다. 스포츠를 중앙에서 주도하는 한국과는 달리 지방자치가 발달된 일본이라서 가능한 체계다.] 두말할 나위 없이 일본 전국의 대학부 미식축구 선수들의 목표. 1947년부터 매년 말에 [[한신 고시엔 구장]]에서 결승전을 치르고 있다. 일본미식축구협회와 [[마이니치 신문]]에서 주최한다. == 역사 == 1980년대까지 관동의 [[니혼대학]]과 관서의 [[칸세이가쿠인대학]]이 팽팽히 맞서는 양강 구도였다. 그러나 80년대 중반부터 [[메이지대학]]이나 [[호세이대학]]이 [[니혼대학]]의 자리를 넘보더니 90년대 이후에는 [[호세이대학]]이 확실한 관동 최강으로 자리잡았다. 최근 관동 대회 10년간 7번을 우승하며 코시엔 볼에 출장했다. 관서는 칸세이가쿠인대학, 리츠메이칸대학이 주요 강호로 투톱을 이루고 있으며 [[교토대학]], 관서대학과 [[도시샤대학]]이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관동, 관서의 상대 전적은 [[크리스마스 볼]]과 마찬가지로 관서의 초강세다. 칸세이가쿠인대학은 고등부와 마찬가지로 코시엔 볼 역대 최다 우승, 준우승 횟수를 기록하며, 특히 '''관서 대회 33연패'''(1949~1981)를 기록했다. 여기에 비하면 관동 대회 9연패에서 끝난 [[신류지 나가]]는 양반이다. 코시엔 볼 최다 연속 우승 기록은 역시 관서의 칸세이가쿠인대학(1973~1977)과 관동의 일본대학(1978~1982)가 공동으로 5연패. 칸세이가쿠인대학의 전통적인 라이벌이었던 관동의 니혼대학은 우승 횟수가 비슷하지만 요즘 호세이 대학에 치여서 코시엔 볼 출장도 못하는 신세다. 호세이대학은 명실상부한 관동 챔피언으로서 거의 매년 출장하지만 막상 코시엔 볼에 올라오기만 하면 칸세이가쿠인대학, 리츠메이칸대학에 돌아가면서 발리고 있다.~~실존하는 [[신류지 나가]]~~ 리츠메이칸대학과는 크리스마스 볼에서 8번 붙어서 7번 깨졌고 교토대학과는 4번 붙어서 모두 졌다. 특히 리츠메이칸에게는 2002~2004년에 3번 연속 붙어서 3번 연속 깨지는 굴욕적인 경기를 연출해 명실상부한 관서의 [[호구(유행어)|호구]]로 찍혔다.[* 그중 마지막인 2004년에는 61 대 6으로 '''무려 55점 차(일본 코시엔 볼 사상 두 번째로 큰 점수 차)'''라는 대패.] 덕분에 2001넌부터 2010년까지 10년 간은 관서가 완벽하게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관서:관동 전적은 8:2. == 기타 == * 대회의 우승 구단은 이듬해 1월 3일 [[도쿄 돔]]에서 열리는 '라이스 볼'에서 일본 미식축구 사회인 리그([[X리그]]) 우승 구단과 일본 최강의 자리를 놓고 겨루게 된다.[* 크리스마스 볼은 끼워주지 않는다. 고등학교 선수와 대학, 사회인의 격차(체격, 키 등)가 넘사벽이라...] 아무래도 사회인 리그 구단이 우세해서인지 라이스 볼에서의 전적은 2010년 기준 대학 입장에서 12승 16패로 밀리고 있다. * 본 대회의 마이너 버전으로 [[간토]], [[홋카이도]], [[도호쿠]] 소속의 대학이 참여하는 [[유자|시트론]] 볼, [[간사이]], [[규슈]], [[시코쿠]] 소속의 대학이 참여하는 웨스턴 볼 등 [[지역구]] 결승전도 있었다. 하지만 2008년을 기점으로 모두 폐지했는데 각각의 대회에서 관동, 관서 소속의 대학이 '''10년 내내 우승'''했기 때문이다. * 한국에서는 [[아이실드 21]]을 발간하면서 [[크리스마스 볼]]과 같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여담으로 관서대학의 팀명이 '''[[야마토 타케루|카이저]]'''스, 리츠메이칸 대학의 팀명이 '''[[팬서]]'''즈다. 작가가 노린 듯. * 야구장을 일시적으로 미식축구 경기장으로 변화시켜 경기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래는 내야의 흙 부분을 쓰지 않고 외야 부분을 가로 방향으로 쓰는 방식으로 대회를 진행했으나 관전하기 불편하다는 문제로 인해 1989년 대회에 마운드 개선 작업에 맞춰 내야의 흙 부분을 걸치는 세로 방향으로 경기장을 쓰고, 2010년부터 이 부분을 완전히 정착시켜 내야 부분에 잔디를 까는 형식으로 세로 방향으로 경기장을 만들어 대회를 진행한다. 다만 2020년에는 내야에 잔디를 깔지 않은채 흙 부분을 드러내고 경기를 진행하는데 [[코로나19]]로 인해 잔디 준비를 대회 기간 내에 맞추지 못했다고 한다.[[https://search.yahoo.co.jp/amp/s/www.nikkansports.com/m/sports/news/amp/202012030000992.html%3Fusqp%3Dmq331AQQKAGYAdia15HyhLTMe7ABIA%253D%253D|출처]][* 이로인해 외야만 가로로 쓰는 안도 나왔지만, 관중의 밀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단념했다고 한다.] [[분류:마이니치 신문]][[분류:일본의 대학]][[분류:일본의 스포츠 대회]][[분류:미식축구]][[분류:결승전]][[분류:194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