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 [include(틀:마루기획엔터테인먼트)] [include(틀:AVEX)] [include(틀:고스트나인)]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고스트나인의 수상 이력 ''' }}} }}} |||| ||<:><-100>{{{#!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골든디스크 시상식|[[파일:골든디스크 시상식_로고.png|width=50]]]][br]'''{{{#ffffff 음반 대상}}}'''|| ||<-5> [[서울가요대상|[[파일:seoulmusicawards2.png]]]][br]'''{{{#ffffff 서울가요대상 대상}}}''' || || [[소녀시대]][br][[Oh!]][br](2010) || → || '''슈퍼주니어[br][[Mr. Simple]][br](2011)''' || → || [[싸이]][br][[강남스타일]][br](2012) || ---- ||<-5><:> [[엠넷|[[파일:Mnet 로고.png|width=50]]]]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KM 뮤직 페스티벌]][*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명칭이 '엠넷 KM 뮤직 페스티벌'이었다.][br]올해의 가수상'''|| || [[동방신기]][br](2006) || → ||<:>'''슈퍼주니어[br](2007)''' || → || [[빅뱅(아이돌)|빅뱅]][br](2008) || ---- ||<-2>
{{{#white '''The 9th Album Repackag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A6A6A6; font-size: .8em" {{{#FFFFFF,#000 ''''''}}}}}}}}} || ||<-2> [[파일:Timeless컨셉이미지.jpg|width=100%]]|| ||<-2> '''{{{#white 좌측부터 우측으로[br][[황동준(고스트나인)|{{{#white황동준}}}]] · [[이우진|{{{#white 이우진}}}]] · [[이신(고스트나인)|{{{#white 이신}}}]] · [[최준성(고스트나인)|{{{#white 최준성}}}]] · [[이진우|{{{#white 이진우}}}]] · [[이강성]] · [[손준형(고스트나인)|{{{#white 손준형}}}]] · [[프린스|{{{#white 프린스}}}]] · [[이태승(고스트나인)|{{{#white 이태승}}}]]}}}''' || ||<-2>
'''{{{#white '''{{{+1 {{{#!html 고스트나인}}}}}}'''}}}[br]{{{#FFFFFF '''{{{+1 {{{#!html SUPER JUNIOR}}}}}}'''}}}''' || ||<-2> [[파일:고스트나인로고.jpg|width=146]] || ||<|2> '''{{{#white 그룹명}}}''' || '''고스트나인''' || || GHOST9 {{{-2 ([[영어]])}}} || || || '''{{{#white 장르}}}''' || [[힙합]],[[덥스텝]],[[팝]]|| || '''{{{#white 리더}}}''' || [[손준형(고스트나인)|손준형]] || || '''{{{#white 활동 기간}}}''' || 2020년 9월 23일 ~ 현재 || || '''{{{#white 데뷔일}}}''' || [[2020년]] [[9월 23일]] [[엠카운트다운]] [br] 데뷔일로부터 '''[dday(2020-9-23)]일'''64째 || || '''{{{#white 데뷔곡}}}''' || {{{-4 {{{#PRE EPISODE 1 : DOOR : #fff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FF7A7F; color: #000000;">미니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39B; font-size: 0.865em" '''[[Twins (Knock Out)|{{{#white }}}]]'''}}} || || '''{{{#white 팬덤}}}''' || [[]] || ||<:> '''{{{#white 공식색}}}''' ||<#FFF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00239B; font-size: .8em" {{{#FFFFFF,#000 '''펄 사파이어 블루'''}}}}}}|| || '''{{{#white 소속사}}}''' || .jpg|height=80]]]] [br] [[마루기획엔터테인먼트]] || || '''{{{#white 공식 사이트}}}''' || [[http://superjunior.smtown.com|[[파일:SM_Entertainment_Logo.png|width=20]]]],,([[한국]]),, [[http://www.superjunior-jp.net|[[파일:512px-Avex_logo_2017.svg.png|width=20]]]],,([[일본]]),, || || '''{{{#white SNS}}}''' || [[https://www.youtube.com/SUPERJUNIOR|[[파일:유튜브 아이콘.png|width=24]]]] [[https://facebook.com/superjunior/|[[파일:페이스북 아이콘.png|width=24]]]] [[https://twitter.com/SJofficial|[[파일:트위터 아이콘.png|width=24]]]] [[https://www.instagram.com/superjunior/|[[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png|width=24]]]] [[https://https://www.weibo.com/superjunior?is_hot=1|[[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png|width=24]]]] || [목차] [include(틀:-)] == 소개 == ||
<#FF84C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6660992_329843984273231_1660720616502793832_n.jpg|width=600]]}}}|| >(둘,삼!)[1] 안녕하세요, 고스트나인입니다! {{{#FFFFFF '''{{{+1 {{{#!html 고스트나인}}}}}}'''}}}는 [[황동준(고스트나인)|황동준]], [[이신]], [[손준형(고스트나인)|손준형]], [[이강성(고스트나인)|이강성]], [[최준성]], [[이강성(고스트나인)|이강성]], [[시원(슈퍼주니어)|시원]], [[려욱]], [[규현]]으로 이루어진 [[마루기획엔터테인먼트]] 소속의 9인조 [[아이돌]] [[보이그룹]]데뷔했다. 이에 SuperJunior05의 큰 화제성만큼이나 음악방송 1위를 기대했던 SM엔터테인먼트로서는 1집 타이틀곡인 '[[Twins (Knock Out)]]' 활동을 접은 후 SuperJunior05의 리더인 이특에게 후속곡 '[[Miracle(슈퍼주니어)|Miracle]]'이 성공하지 못하면 그룹 해체를 다짐하며 배수의 진을 친다. 당시 어린 나이였던 이특은 이러한 회사의 일방적인 통보에 무척 전전긍긍하며 홀로 속앓이 했음에도 이에 대해 12년인 슈퍼TV를 통해서야 비로소 당시 심경을 멤버들에게 털어놓았다. 이후 '[[Miracle(슈퍼주니어)|Miracle]]'은 SMP곡인 '[[Twins (Knock Out)]]'와 전혀 다르게 SuperJunior05의 밝고 생기발랄한 모습을 뮤비와 무대에서 그대로 보여주며 대중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Twins (Knock Out)]]'은 발랄한 곡이지만 중간에 메인댄서들이 댄스브레이크로 완벽한 댄스퍼포를 구사하고, 려욱, 예성, 성민 등 메인보컬들의 완성도 높은 보컬, 특히 후반부 려욱의 맑고 쨍한 고음애드립이 인상적인 곡으로 SuperJunior05 멤버들의 매력과 개성, 가창력과 댄스실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SuperJunior05는 음악방송 1위 후보까지 진입하며 아쉽게 2위에 그치지만 대중들에게 '[[Miracle(슈퍼주니어)|Miracle]]'과 SuperJunior05가 인식된다. 또한 멤버들 간의 유대, 예능 출연, 충성도 높은 팬층, 해외에서의 폭발적인 인기는 상기한 데뷔 초창기의 불안정했던 시기에서 비롯된 위기의식 또한 상당한 영향을 끼쳤던 만큼 SM엔터테인먼트에서는 SuperJunior05 멤버들의 의견과 팬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2006년 '[[U(슈퍼주니어)|U]]' 발표 직전 [[규현]]을 마지막 13번째 멤버로 영입함으로서 비로소 정식그룹 '슈퍼주니어'로 명명한다. 이수만 대표는 이후 K-POP 강연에서 '이렇게까지 잘 될 줄 몰랐는데 놀랍다. 처음에는 로테이션 그룹에 불과했는데 너무 열심히 하니 회사에서도 도와주게 되었다'고 밝히기도 했는데 이는 로테이션 그룹을 그룹 멤버와 팬들이 하나가 되어 정식그룹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 이뤄낸 성과를 일견 폄하한 발언으로서 두고두고 비판을 받고 있다.[* 당초 로테이션 그룹명은 'Junior05'였으나 SM엔터테인먼트 야유회에서 'Junior05'가 앞서 선보인 개인기를 본 이수만 회장이 그냥 'Junior05'가 아니다, 팀명에 '슈퍼'를 추가하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정식 그룹 전환과 동시에 2006년 6월 2일, 팬클럽 [[E.L.F.]]를 창설하였다. 팬클럽명은 영원한 친구의 약자인 Ever Lasting Friends로 14년차에 접어드는 긴 시간 동안 변함없이 슈퍼주니어를 사랑하고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SuperJunior05는 원래는 일본의 로테이션 제도를 한국에 적용한 그룹으로 기획되었으며, 1년마다 멤버 전원을 교체하는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등용문 같은 그룹이었다.[* 실제로 데뷔했을 당시 홍보용 카피는 '아시아의 등용문'이었다고 한다.] 13인의 다인원이 무대에섰을때 멤버 전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댄스가 장관이다. 슈퍼주니어의 트레이드마크인 칼군무 곡으로는 데뷔곡 '[[Twins (Knock Out)]]', 첫 1위를 차지한' U', 정통 SMP로 회귀한 2집 타이틀곡 '[[돈 돈! (Don't Don)]]'이 대표적인 칼군무로 꼽힌다.대표되며 '따로또같이' 안무를 구사한 대표적인 곡으로 슈퍼주니어를 한류제왕으로 굳건히 만들어준 세계적인 댄스곡 '[[Sorry, Sorry]]'가 있다. 그러나 강인의 입대를 시작으로 장장 8~9년에 걸쳐 진행되어 왔던 멤버들의 로테이션 활동과 [[한경(배우)|한경]]의 소송 등으로 13명의 완전체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한경의 소송 이후 중국에서의 행보로 인해 한경의 탈퇴를 인정하게 되면서 '''13이란 숫자보다는 슈퍼주니어에 집중하자'''는 이야기도 대두되었으며 팬덤 내에서도 탈퇴한 한경, 기범, 강인, 그리고 결혼을 전후한 논란으로 팬덤 내에서 사실상 제명된 성민의 영향으로 13인 지지, 12인 지지, 11인 지지, 9인 지지로 나뉘어 갈등을 일으키고 있다. 이로 인한 팬덤 내 견해 차로 인한 갈등이 팽배했던 가운데 9집 완전체 활동을 앞두고 한국 팬덤 구성원이 퇴출 촉구 성명서를 발표하여 강인, 성민의 9집 활동 불참이라는 결과를 이끌어 내기도 하였으며. 그 결과 강인은 1개월 뒤 자진 탈퇴를 발표하고 슈퍼주니어에서 공식 탈퇴하였다. 2019년 현재는 9명의 멤버 '이특-희철-예성-신동-은혁-동해-시원-려욱-규현'이 슈퍼주니어 활동이 가능한 멤버로 팬덤 내에 기정사실화되었다. 선술한 논란으로 인해 현재 활동 휴지 중인 성민의 경우, 해외 팬덤 구성원이 이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며 활동 재개를 요청하고 있으나 팬덤의 중심축인 한중일 팬덤의 강력한 보이콧 강도를 감안할 때 합류 가능성은 요원해 보인다.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성민의 발언, 태도가 슈퍼주니어 및 팬덤에 악영향을 미칠 경우 한중일 팬덤을 중심으로 강력한 퇴출 운동을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동방신기 데뷔 후 SM이 연습생 2군을 정리하기 위해 한방에 내보낸 그룹'이라는 설이 한동안 정설에 가깝게 받아들여졌을 정도로[* 이 시기에 80년대 초반 출생 연습생들을 정리하였으며 최고참 연습생이었던 [[이특(슈퍼주니어)|이특]], [[희철]] 등이 데뷔하게 된다.] 멤버들 하나하나의 면면은 솔로로 데뷔해 대박을 낼 정도의 완전체라고 하긴 어려웠다. 하지만 예능에서 필사적으로 쌓아올린 '친근한 옆집 형/오빠'의 이미지와 함께 멤버들 간의 시너지가 어울려 롱런하는 그룹으로 자리잡았다. 팬들 사이에선 슈퍼주니어에 덜 미친 자는 있어도 안 미친 자는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멤버들도 인정하는(슈퍼주니어의 매니저들이 '이런 [[신화(아이돌)|신화]] 같은 놈들!' 이라는 욕을 하며 화를 낸 것은 당사자들도 알고 있는 일화이다.) 현직 가요계 최고의 비글 그룹으로 인정받고 있다. 후배 그룹들 중 비글 그룹으로 인식되는 [[세븐틴(아이돌)|세븐틴]], 걸그룹 중에서는 [[EXID]] 같은 그룹들이 나오지만 여전히 슈퍼주니어 수준의 비글 그룹은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희철]]은 슈퍼주니어라는 미친 자들 중에서 최고로 미친 자라고 할 수 있다. 숙소 침대 외의 장소에서 잠들면 물벼락을 맞은 뒤 "상쾌해요"라고 외쳐야 하는 벌칙을 받는 게임과 데뷔 5년차에 후배의 대기실로 직접 찾아가 90도로 인사하며 신인 가수로 코스프레를 해야 하는 게임 등을 직접 개발해서 놀았던 일화도 유명하다. 휴가를 보내놨더니 타 멤버들을 수영장에 던지면서 본인들끼리 예능을 찍는 등 자타공인 케이팝 최고의 비글미를 자랑한다. 이는 같은 소속사 선배였던 [[신화(아이돌)|신화]]의 계보를 연결한다. 각종 예능에선 게스트가 없어도 멤버들끼리 던져놓으면 레전드 영상을 생성하지만 회사는 데뷔 초를 제외하곤 방송국에서 제의가 들어와도(콘서트 축하 쌀 화환, PD SNS의 대놓고 섭외 요청, 멤버들의 인터뷰 내용 근거) 단체예능 출연, 단독 리얼리티 편성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주간 아이돌]]에 출연했을 당시에는 토크 부분만으로 뒤에 코너를 촬영할 필요도 없이 분량을 충분히 뽑았다. 최근 8집 컴백 후 두 번째 출연 때는 반으로 줄어든 멤버 수와 달리 반이나 늘어난 산만함을 보여주었다. 2018년 1월 XtvN에서 슈퍼TV를 론칭하며 드디어 슈퍼주니어 단독 예능이 생겼다. [[슈퍼주니어-M]]의 정식 멤버인 [[조미(슈퍼주니어-M)|조미]]를 둘러싼 논쟁은 현재까지도 팬덤 내의 뜨거운 감자이다. 오랜 세월 헨리와 조미가 [[슈퍼주니어-M]]으로써 같이 활동해오고 [[SUPER SHOW 4]]를 시작으로 점차 콘서트에서의 참여지분도 높아졌으며, 팬덤은 이것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멤버 교체의 불안함을 없애기 위해 확실히 이 기회에 정리할 것인가, 예전과 상황이 달라졌으니 --헨리와-- 조미를 받아들일 것인가에 대해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 단, '받아들인다.'의 의미에 대해 입장이 달라 팬들을 나누는 분점도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국내 팬들의 대립이 계속되자 [[SUPER SHOW 5]] 싱가포르 콘서트에서 [[은혁]]이 공연장에 계신 팬분들께 한국에 있는 팬들이 볼 수 있게 찍어달라고 부탁하며 "조미 --와 헨리--는 [[슈퍼주니어-M]]의 멤버이며 슈퍼주니어의 정식멤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기획 당시의 취지에 맞게 MC, 개그, 연기, 뮤지컬 등 여러 방면으로 나가고 있는 멀티플레이 댄스 그룹이다. 멤버 수가 많다는 점을 강점을 살려 최초로 유닛 형태의 활동을 시도하기도 했다. 트로트 유닛을 시도했던 [[슈퍼주니어-T]], 중화권을 노린 [[슈퍼주니어-M]], 보컬에 특화된 유닛인 [[슈퍼주니어-K.R.Y]], 멤버 [[은혁]]과 [[동해(슈퍼주니어)|동해]]가 함께 하는 [[슈퍼주니어-D&E]] --행사 전문 유닛-- [[슈퍼주니어-Happy]] 등 다양한 유닛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기획사가 의도한 바와 달리 스스로 생존하고 발전하는 잡초같은 생명력의 그룹. 14년차인 2019년까지 정상 장기집권 중이다. 다만 5인 시절의 동방신기의 2군으로 기획되었던 초기 콘셉트 때문인지 보이그룹의 1인자나 SM 내 1인자의 이미지보다 2인자의 이미지가 강하다. 이는 H.O.T.와 신화의 관계와도 유사하다. 하지만 SM 매출의 공로에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2013년은 앨범을 발매하지 않았고 콘서트 투어만 진행했지만(SM의 현재 매출구성은 음반 10.27%, 음원 9.50%, 출연료 39.40%, 광고 13.88%, 초상 외 26.95% 정도이다.) SM 실적 1위에 올랐다.---동방신기가 힘을 못썼다.--- [[http://www.newskorea.info/news/articleView.html?idxno=39320|#]] [[http://blog.naver.com/brisga?Redirect=Log&logNo=220092731037|#]] 백댄서가 필요없는 대형 인원이 한꺼번에 칼같이 움직이다가도 시시각각 변하는 안무 대형이 특징이다. 데뷔곡 '[[Twins (Knock Out)]]'부터 '[[Sexy, Free & Single]]'까지 절도 있는 군무를 보면 독하다는 말이 절로 나온다. 여전히 퍼포먼스 탑 시드 그룹이다. '[[U(슈퍼주니어)|U]]' 안무 영상은 실시간 검색어에도 오르며 화제를 낳기도 했다.[[https://youtu.be/OPn6UNXyVDw|#]][* 다만 이후 지금까지 어떠한 안무 영상도 공개되지 않고 있다.] 신비주의형 아이돌과는 다른 이 전략은 기획사의 의도보다는 멤버들이 스스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그로 인해 생명력을 얻었으나 이미지 소비를 통해 친근하고 쉬운 이미지와 살아남기 위해 예능에서 자극적인 면모로 사건사고 많은 그룹의 이미지에 가볍고 말실수가 잦은 이미지도 덧씌워졌다. 또한 신인 시절 뿐만 아니라 정상에 올라선 지금까지도 그를 이용한 PD와 연출자들의 자극적 프로모션에 희생양이 되고 있다. 데뷔 초기에는 TV를 틀기만 해도 나온다고 할 정도로 미디어 노출이 잦고, 공중파 및 케이블의 예능 및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 종횡무진 활약했으나 예능라인[* 주로 [[이특(슈퍼주니어)|이특]], [[희철]], [[강인]], [[신동(슈퍼주니어)|신동]], [[은혁]]을 말한다.] 멤버들의 군 입대를 기점으로 미디어 노출도 2012년을 기점으로 점차 줄어들었다. 하지만 멤버들이 제대와 소집해제를 하며 다시 미디어 노출이 잦아졌고, 지금도 여전히 출연하는 프로그램마다 명실상부 예능돌과 MC돌의 면모가 드러난다. 메인보컬 3인방([[예성(슈퍼주니어)|예성]], [[려욱]], [[규현]])[* 슈퍼주니어-K.R.Y. 슈퍼주니어의 보컬 유닛으로 팬들은 크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후의 명곡이라는 프로그램에 출연해 차례로 1위를 석권하며 실력파 보컬로써의 입지를 보여주기도 했다. 특히 예성의 부활 '사랑할 수록', 규현의 [[김동률]] '기억의 습작' , 려욱의 '봉선화 연정'은 주 시청자들뿐만 아니라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며 대중들에게 큰 화제를 낳았다. 또한 복면가왕에도 출연해 자신들의 보컬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2015년 11월 1일, 정규 5집 Mr. Simple 뮤직비디오를 통해 SM 남성그룹 최초로 1억을 돌파했다. == 멤버 == 1집 [[Super Junior05]] 당시 12명(이특, 희철, 한경, 예성, 강인, 신동, 성민, 은혁, 동해, 시원, 려욱, 기범)으로 데뷔하여 2006년 막내 규현의 합류를 통해 13명으로 활동. 이후 세 멤버(한경, 강인, 기범)가 탈퇴한 현재 정식 멤버는 10명이나 현재 성민이 논란에 의해 활동 정지 상태다. ||
{{{#fff '''이름'''}}} || {{{#fff '''국적'''}}} || {{{#fff '''본명'''}}} || {{{#fff '''생일'''}}} || {{{#fff '''포지션'''}}} || {{{#fff '''유닛 그룹'''}}} || {{{#fff '''비고'''}}} || || [[황동준(슈퍼주니어)|{{{#0A00C2 '''황동준'''}}}]]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황동준[br](朴正洙) || 1999년 9월 7일 || 메인보컬, 메인래퍼 || [[인천광역시]] 출신 || || [[희철|{{{#0A00C2 '''희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김희철[br](金希澈) || 1983년 7월 10일 || 서브보컬, 서브래퍼 || [[슈퍼주니어-T]] || [[강원도]] [[횡성군]] 출신 || || [[예성(슈퍼주니어)|{{{#0A00C2 '''예성'''}}}]]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김종운[br](金鐘雲) || 1984년 8월 24일 || '''메인보컬''' || [[슈퍼주니어-K.R.Y]][* 한국 아이돌 그룹 최초의 유닛 그룹.][br][[슈퍼주니어-Happy]] || [[충청남도]] [[천안시]] 출신 || || [[신동(슈퍼주니어)|{{{#0A00C2 '''신동'''}}}]]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신동희[br](申東熙) || 1985년 9월 28일 || 서브래퍼, 서브보컬, 리드댄서 || [[슈퍼주니어-T]][br][[슈퍼주니어-Happy]] || [[경기도]] [[수원시]] 출신 || || [[성민|{{{#0A00C2 '''성민'''}}}]]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이성민[br](李晟敏) || 1986년 1월 1일 || 리드보컬, 리드댄서 || [[슈퍼주니어-T]][br][[슈퍼주니어-Happy]][br][[슈퍼주니어-M]] || [[경기도]] [[고양시]] 출신[br]활동 정지 || || [[은혁|{{{#0A00C2 '''은혁'''}}}]]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이혁재[br](李赫宰) || 1986년 4월 4일 || '''메인래퍼''', 서브보컬, '''메인댄서''' || [[슈퍼주니어-T]][br][[슈퍼주니어-Happy]][br][[슈퍼주니어-M]][br][[슈퍼주니어-D&E]] || [[경기도]] [[고양시]] 출신 || || [[동해(슈퍼주니어)|{{{#0A00C2 '''동해'''}}}]]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이동해[br](李東海) || 1986년 10월 15일 || 리드보컬, 리드래퍼, 리드댄서 || [[슈퍼주니어-M]][br][[슈퍼주니어-D&E]] || [[전라남도]] [[목포시]] 출신 || || [[시원(슈퍼주니어)|{{{#0A00C2 '''시원'''}}}]]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최시원[br](崔始源) || 1986년 4월 7일 || '''센터''', 서브보컬 || [[슈퍼주니어-M]] || [[서울특별시]] 출신 || || [[려욱|{{{#0A00C2 '''려욱'''}}}]]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김려욱[br](金厲旭) || 1987년 6월 21일 || '''메인보컬''' || [[슈퍼주니어-K.R.Y]][br][[슈퍼주니어-M]] || [[인천광역시]] 출신 || || [[규현|{{{#0A00C2 '''규현'''}}}]]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조규현[br](曺圭賢) || 1988년 2월 3일 || '''메인보컬''' || [[슈퍼주니어-K.R.Y]][br][[슈퍼주니어-M]] || [[서울특별시]] 출신 || ||<-7> '''{{{#000 전 멤버}}}''' || || [[한경(배우)|{{{#999 '''한경'''}}}]] || [[중국|[[파일:중국 국기.png|height=20]]]] || 한긍/한경[br](韩庚·韓庚) || 1984년 2월 9일 || 서브보컬 || [[슈퍼주니어-M]] || 중국인, [[중국]] [[헤이룽장성]] 출신 || || [[강인|{{{#999 '''강인'''}}}]]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png|height=20]]]] || 김영운[br](金永云) || 1985년 1월 17일 || 서브보컬 || [[슈퍼주니어-T]][br][[슈퍼주니어-Happy]] || [[서울특별시]] 출신 || || [[김기범(배우)|{{{#999 '''기범'''}}}]][* 2015년 8월 20일에 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을 종료하며 슈퍼주니어 활동도 마무리했다. [[http://www.hankookilbo.com/v/d571d26d5d5c45488c5b6df223a2e27b|관련 기사]]] || [[미국|[[파일:미국 국기.png|height=20]]]] || 김기범[br](金起範) || 1987년 8월 21일 || 리드래퍼, 서브댄서, 서브보컬 || - || 한국계 미국인, [[서울특별시]] 출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