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이빗 로워리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ffffff '''{{{+2 고스트 스토리}}}''' (2017)[br]''A Ghost Story''}}} || ||<-2> [[파일:a ghost story movie 2017.jpg|width=100%]] || || '''{{{#ffffff 장르}}}''' || [[판타지]], [[로맨스]] || || '''{{{#ffffff 감독}}}''' || [[데이빗 로워리]] || || '''{{{#ffffff 각본}}}''' || [[데이빗 로워리]] || || '''{{{#ffffff 제작}}}''' || 애덤 도나기, 토비 할브룩스, 제임스 M. 존스턴 || || '''{{{#ffffff 출연}}}''' || [[케이시 애플렉]], [[루니 마라]] 외 || || '''{{{#ffffff 음악}}}''' || 다니엘 하트 || || '''{{{#ffffff 제작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Sailor Bear [br] Zero Trans Fat Productions [br] Ideaman Studios [br] Scared Sheetless || || '''{{{#ffffff 수입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더쿱]] || || '''{{{#ffffff 배급사}}}'''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24]]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리틀빅픽처스]], [[더쿱]] || || '''{{{#ffffff 개봉일}}}'''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7년]] [[7월 27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12월 28일]] || || '''{{{#ffffff 상영 시간}}}''' || 92분 || || '''{{{#ffffff 제작비}}}''' || '''10만 [[미국 달러]]'''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 '''$1,891,063''' ([[2017년]] [[11월 12일]] [[http://www.boxofficemojo.com/movies/?page=main&id=aghoststory.htm|기준]])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 '''$1,596,371''' (최종)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5,417명 ([[2018년]] [[1월 2일]] 기준)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 등급}}}]]''' || {{{#000000 12세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데이빗 로워리]]가 연출하고 [[케이시 애플렉]]과 [[루니 마라]]가 출연한 2017년 영화이다. == 예고편 == ||
[youtube(6wOLtUbMdGg)]|| || 메인 예고편 || ||[youtube(c_3NMtxeyfk)]|| || 공식 예고편 ([[https://youtu.be/PAiCxkdpeQA|한국어 자막]]) || == 시놉시스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사랑을 잃다. 교외의 작고 낡은 집 - 작곡가인 C와 그의 연인 M은 조용하지만 단란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어느 날, 갑작스런 사고로 C는 세상을 떠나고 홀로 남은 M은 무거운 슬픔에 잠긴다. 사랑을 기억하다. 창백한 조명의 병원 영안실 - 고스트가 되어 깨어난 C는 마치 홀린 듯 M이 기다리는 자신의 집으로 돌아간다.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머무는 그녀와 고스트는 사랑했던 기억을 추억하며 무디게 흘러가는 시간을 견뎌낸다. 사랑을 잊다. 몇 년이 지나, 다시 집 - 새로운 사랑을 만나고 헤어지며 상실의 시간을 지나온 M은 결국 집을 떠난다. 남겨진 고스트는 영원히 그녀를 기다릴 자신의 운명을 알기에 끝을 알 수 없는 긴 여정을 시작한다. == 출연진 == * C 역 - [[케이시 애플렉]] * M 역 - [[루니 마라]] == 줄거리 == '''언제고 잠에서 깨면 문이 닫히곤 했다.'''(Whatever hour you woke there was a door shutting)란 문구와 함께 영화가 시작한다.[* [[버지니아 울프]]의 [[단편소설]] [[https://www.fadedpage.com/books/20130409/html.php#A_HAUNTED_HOUSE|A Haunted House]]의 첫 문장이다. 영화 중간에 [[프리드리히 니체]]의 저서와 함께 C가 떨어트린 책 중에 하나로 이때 ''Safe, safe, safe'', ''The treasure yours.'' 등의 문구가 클로즈업 된다.] [include(틀:스포일러)] C와 M은 교외의 집에 사는 다정한 부부다. 어느날 갑작스런 자동차 사고로 C는 사망하게 된다. 그는 병원 영안실에 옮겨지고 아내가 시신을 확인하자 유령이 된다. == 음악 == [include(틀:영상 정렬, url=Fjft3iFc7bs)] [include(틀:영상 정렬, url=hd1lKblspYM)] ||
[[https://twitter.com/danielmwenda|Daniel Hart]] ''' ''I Get Overwhelmed'' '''|| || {{{#!folding 【가사 - 접기/펼치기】 ''' ''나는 압도돼'' ''' Are you runnin late? 늦어서 달리고 있니?[* ''늦어지고 있니?''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Did you sleep too much? 늦잠을 잤니?[* 혹은 ''너무 오랫동안 잤니?''] All the awful dreams 그 끔찍한 꿈들이 전부 Felt real enough 사실로 느껴져 Is your lover there? 네 사랑이 거기 있니? Is she wakin up? 그녀는 일어나고 있니? Did she die in the night? 혹은 지난밤에 죽어 버렸니? And leave you alone? 널 혼자 두고? Alone 혼자 Mirror, mirror 거울, 거울 There's your crooked nose 네 비뚤어진 코 Boring hair 지겨운 머리카락 A thousand wrinkles 천 개의 주름 No children 아이들은 없고 Just emptiness 그저 공허 뿐 No place like home 집 같은 장소는 없어 Just a fucking mess 그냥 엉망진창이야 Mess 엉망 20 messages 20건의 메시지 Did you hurt your thumbs? 엄지를 다쳤니? What a stupid game 멍청한 게임이구나 Getting nothing done 아무 성과도 없는 With your longest track 가장 긴 기록과 Your highest score 제일 높은 점수 While you crush your back 그동안 등을 구부리고 And lament the war 전쟁을 탄식할 뿐 War 전쟁 All the women 모든 여자들 That you wanna fuck 네가 따먹고 싶어 한들 On the internet [[유사연애|인터넷 상]]에서 Wouldn't give you a second look 시선 한 번 다시 주지 않을 테지 Did you fool yourself? 스스로를 속였니? That's privilege 그건 특권이야 That's power without power 힘 없는 힘이자 That's a business 거래지 Business 거래 But we know "you" is "I" 하지만 우리는 네가 나라는 걸 알아 And I get overwhelmed 나는 또 압도돼 Can't sleep at night 밤에 잠을 이룰 수 없고 Can't convince myself 스스로를 설득할 수 없어 To turn it off 꺼 버리라고 To let go 놓아 버리라고 Gotta make sense 말이 되게 해야 해 Of the fucking war 이 씨발 전쟁을 War 전쟁 Am I runnin late? 내가 늦어서 달리고 있니?[* ''내가 늦고 있는 거니?''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I get overwhelmed 나는 압도돼 All the awful dreams 온갖 끔찍한 꿈들 All the bright screens 온통 환한 화면들 Is my lover there? 내 사랑이 거기 있어? Are we breakin up? 우리 헤어지는 거야? Did she find someone else? 다른 사람을 찾은 거야? And leave me alone? 날 혼자 두고? Alone 혼자}}} ||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a-ghost-story, critic=84, user=7.0)]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a_ghost_story, tomato=91, popcorn=66)] [include(틀:평가/IMDb, code=tt6265828, user=6.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a-ghost-story-2017, user=3.7)]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5189, user=3.3)]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AZMGQ, user=3.7)]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58256, expert=8.33, audience=8.00, user=8.10)]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9102, user=6.8)] >★★★☆ >[[http://www.cine21.com/movie/info/?movie_id=50640|서늘한 고요와 떠도는 고독, 망각]] >---- >[[박평식]] >★★★★ >'''함부로 덧없음이라 불렀던 것들에 대해'''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무서워하는 대신 홀리고야 말. 죽은 자의 시공을 상상하는 영화'''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 >---- >[[이동진]] >★★★★☆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89140|공간의 틈에 쌓인 시간의 두께를 응시하다]] >---- >[[송경원]]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71228000250|[송경원의 시네아트] 고스트 스토리]] [[정성일]]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1919603&memberNo=33294539|해석]]에 [[https://extmovie.com/movietalk/28540571|따르면]] 총 셋의 고스트(집과 C 그리고 옆집의 여자 아이)가 등장하는데 그 중 주인공은 C가 죽은 장소이자 일종의 의인화된 집의 고스트이다. [[화면비율#s-2.2|4:3 비율]]에 네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화면은 그게 그(것)의 시점 샷임을 암시하는 연출이며 단 한 번도 폭력성을 보인 적 없던 C와는 다르게 집의 고스트는 귀신 들린 집이라는 소문이 날 만큼 거주민과 파티하러 온 사람들에게 폭력을 행사한다. 영화는 중간에서 시작해서 중간에서 끝나며 [[영원회귀|영원히 돌아오는]] 집의 역사를 표현한다. == 흥행 == 제작비는 단돈 10만 [[미국 달러]]로, [[손익분기점]]은 25만 미국 달러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818명 || 818명 || -위 || 8,593,500원 || 8,593,500원 || ||<|7> {{{#ffffff 1주차}}} ||2017-12-28. 1일차(목) || 789명 ||<|7> -명 || 18위 || 6,006,000원 ||<|7> -원 || ||2017-12-29. 2일차(금) || 767명 || 18위 || 6,581,600원 || ||2017-12-30. 3일차(토) || 917명 || 20위 || 7,718,000원 || ||2017-12-31. 4일차(일) || 985명 || 17위 || 8,439,600원 || ||2018-01-01. 5일차(월) || 709명 || 17위 || 6,160,500원 || ||2018-01-02. 6일차(화) || 432명 || 19위 || 3,151,500원 || ||2018-01-03. 7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2주차}}} ||2018-01-04. 8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01-05. 9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01-06. 10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01-07. 11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01-08. 12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01-09. 13일차(화) || -명 || -위 || -원 || ||2018-01-10. 14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3주차}}} ||2018-01-11. 15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01-12. 16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01-13. 17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01-14. 18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01-15. 19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01-16. 20일차(화) || -명 || -위 || -원 || ||2018-01-17. 21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 4주차}}} ||2018-01-18. 22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18-01-19. 23일차(금) || -명 || -위 || -원 || ||2018-01-20. 24일차(토) || -명 || -위 || -원 || ||2018-01-21. 25일차(일) || -명 || -위 || -원 || ||2018-01-22.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18-01-23.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18-01-24. 28일차(수) || -명 || -위 || -원 || || '''{{{#ffffff 합계 }}}''' ||<-6> '''누적 관객수 5,417명, 누적 매출액 46,650,700원'''[* ~ 2018/01/02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 [[북미]] === [[2017년]] [[7월 27일]] [[제한적 상영]]으로 개봉하여 $1,596,371를 벌었다. === [[영국]] === [[2017년]] [[8월 11일]] 제한적 상영으로 개봉하여 $173,963을 벌었다. == 기타 == * 장장 5분에 달하는 [[루니 마라]]의 [[파이(음식)|파이]] 먹방 씬이 인상적이다. [youtube(KvlRbZiR-Lc)] * [[피터와 드래곤]] 후반 작업 도중 시나리오를 쓰기 시작했다. * 배경이 되는 집은 곧 철거될 예정이라 공짜로 찍었다. 예산이 십만 달러 밖에[* 저예산 영화계의 전설인 [[맨 프롬 어스]](20만 달러)의 절반 밖에 안 되는, 즉 뮤비 한 편 찍을 돈으로 영화를 만든 셈이다.] 안 되는 엄청난 저예산 영화로 카메라도 알렉사 미니를 썼다. * [[케샤]]가 카메오로 출연한다. [[분류:2017년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미국의 로맨스 영화]][[분류:A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