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충주시의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파일:서울호남-충주_5001.png]] [목차] == 노선정보 == ||<-6><:> {{{#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 - 충주(서충주 경유)}}}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 ||<-2><:> 종점 ||<:>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공용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00 ||<|2><:> 기점행 ||<:> 첫차 ||<:> 06:05 || ||<:> 막차 ||<:> 22:30 ||<:> 막차 ||<:> 22:10 || ||<-3><:> 배차간격 ||<-3><:> 일 39회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 [[대원고속]] ||<-2><:> 인가대수 ||<:> 11대 || ||<-2><:> 노선 ||<-4><:>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신갈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북충주IC]] - [[82번 지방도]] - [[충주공용버스터미널#s-3.2|서충주 정류소]] - [[충주공용버스터미널]]|| ||<-6><:> {{{#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 - 충주(교통대 경유)}}}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센트럴시티]]) ||<-2><:> 종점 ||<:> 충청북도 충주시 칠금동 ([[충주공용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30 ||<|2><:> 기점행 ||<:> 첫차 ||<:> 07:05 || ||<:> 막차 ||<:> 17:30 ||<:> 막차 ||<:> 17:35 || ||<-3><:> 배차간격 ||<-3><:> 일 5회[* 강남 06:30, 09:30, 12:00, 15:00, 17:30 / 충주 07:05, 09:05, 12:20, 14:35, 17:35 / 교통대 07:10, 09:10, 12:25, 14:40, 17:40] || ||<-2><:> 운수사명 ||<:> [[경기고속]] ||<-2><:> 인가대수 ||<:> -[* 본선 차량으로 운행] || ||<-2><:> 노선 ||<-4><:>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신갈JC]] -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 - [[충주IC]] - [[3번 국도]] - [[한국교통대학교/충주캠퍼스|교통대]] - [[충주공용버스터미널]] || == 개요 == 서울 센트럴시티와 충주공용버스터미널을 잇는 고속 노선으로 경기고속과 대원고속이 공동배차로 운행한다. == 특징 == * 노선의 방향을 볼 때 경부선(+중부내륙선)으로 보는 것이 적당하나, 유성행과 같이 [[센트럴시티]](호남선 터미널)에서 출발한다.[* 이와 비슷하게 [[시외버스 서울경부-안동|서울강남-안동]]이나 [[시외버스 서울경부-춘천|서울강남-춘천]] 등 강남에서 경북이나 강원도 방면으로 가는 몇몇 시외버스 노선도 본래는 센트럴시티(서울호남) 착발이었다. 해당 노선들의 서울측 착발 터미널이 센트럴시티에서 서울경부로 이전된 건 2017년 7월부터.] 현재 영동고속도로를 타는 고속버스 노선,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는 모든 노선을 모두 통틀어 센트럴시티에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다. 또한 서울호남발 고속버스 노선들 중 충청남도나 전라도로 가지 않는 유일한 노선으로, 유일한 서울호남~충북 고속버스 노선이다.[* [[시외버스 서울호남-청주|서울호남-청주]], [[시외버스 서울호남-북청주|북청주]], [[시외버스 서울호남-괴산|괴산]] 노선은 (전환)시외버스 노선이다. [[고속버스 서울경부-청주|강남-청주]] 고속버스 노선은 서울경부에서 출발한다.] 반대의 예로는 서울경부~[[고속버스 서울경부-공주|공주]], [[시외버스 서울경부-조치원|조치원]], [[고속/시외버스 서울경부-세종|세종]] 노선이 있다.[* 다만 [[조치원역]]은 [[경부선]] 상에 있다.] * 충주시의 규모에 비해 오가는 사람이 워낙 많은 노선이다 보니 평일에도 조밀한 배차간격을 자랑하며, 주말에는 매진이 흔하게 일어날 정도로 수요가 매우 많은 노선이기 때문에 사전예매는 필수다.[* 철도는 [[충주역]]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충북선]] 무궁화호 밖에 없고 그것도 직통열차는 1일 1회, [[음성역|음성]], [[청주역|청주]], [[천안역|천안]], [[평택역|평택]], [[수원역|수원]] 등을 들려서 가다 보니까 시간이 오래 걸린다.] * KD 운송그룹의 시외, 고속 노선들 중에서도 매출 1위 노선이라고 한다. * [[중부내륙선]]이 개통으로 [[고속버스 동서울-충주|동서울 ↔ 충주]] 노선과 함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였으나, 경강선을 타고 [[부발역]]까지 가서 환승해야 하는 데다가[* 지하철 경강선을 이용할 경우 신분당선을 타고 판교역으로 이동하거나 수인분당선을 타고 이매역으로 이동해야 한다. 특히 신분당선은 요금도 비싼 데다가 자신이 신분당선이나 수인분당선 연선 지역 거주자가 아니라면 지하철 이동 경로도 그만큼 복잡해진다.] 하루 4회만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에는 별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향후 복선화가 되고 [[수서광주선]]이 개통되어 충주에서 서울까지 환승 없이 철도를 이용하게 되면 본격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 일부 차량은 충북 충주시 면허가 존재한다. 이는 대원충주고속의 흔적이다. * 종이승차권의 경우 충주 출발시에는 검표시 회수용을 회수한다. 단 센트럴 출발시에는 회수용을 따로 걷지 않고 QR코드로만 검표한다. * 2023년 1월 1일부로 일 5회 편성되는 [[한국교통대학교/충주캠퍼스|교통대]] 정차 시간을 제외한 모든 시간[* 서충주 정차 시간 포함]은 [[북충주IC]]를 이용, [[한국교통대학교/충주캠퍼스|교통대]] 중간하차가 불가능 해진다. * [[건국대학교/글로컬캠퍼스|충주건대]]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운임표 == || || 서충주 || 교통대 || 충주 || || 일반 || 8,100원 || 8,400원 || 8,700원 || || 우등 || 11,800원 || - || 12,700원 || || 심야우등 || 13,000원 || - || 14,000원 || 교통대는 일반만 운행 일반요금 기준으로 초등생은 50%, 중고생은 20% 할인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 일반 철도역: [[충주역]] (KTX-이음, 무궁화호)[* 터미널과 역간의 거리가 1.3km이며 도보로 15~20분 소요.] [[분류:고속버스 서울호남]][[분류:충주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