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 출발 고속버스)] [[파일:충남고속 7327호-2019년식.jpg]] [목차] == 노선 정보 == ||<-6><:> {{{#ffffff 고속버스 서울호남 - 서산}}}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센트럴시티|센트럴시티터미널]]) ||<-2><:> 종점 ||<:> [[충청남도]] [[서산시]] [[동문동]]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2><:> 종점행 ||<:> 첫차 ||<:> 06:05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1:50 ||<:> 막차 ||<:> 21:50 || ##||<:> 막차 ||<:> 21:50(월~목)[br]22:30(금~일) ||<:> 막차 ||<:> 21:50 || ##||<-3><:> 배차간격 ||<-3><:> 15~30분[* 심야시간대는 40분.] || ||<-3><:> 배차간격 ||<-3><:> 15~40분 || ||<-2><:>총 운행시간||<:>1시간 35분[* 공식 시간표에서는 1시간 50분으로 나오나 실제로는 10~20분 빠른 1시간 30~40분 소요된다. 교통상황에 따라 변동 될 수 있다. 특히 출퇴근시간과 경부고속도로를 경유하는 시간이 겹치게 된다면, 3시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2><:>총 운행거리||<:>131.8km[* 코버스, 티머니GO에는 127.6km로 나와있다. 아래 경로의 실제 운행 거리는 131.8km가 맞다.]|| ||<-2><:> 운수사명 ||<:> [[충남고속]], [[한양고속]][* [[E-Pass]] 사용 가능.] ||<-2><:> 인가대수 ||<:> 20대[* 충남 11대, 한양 9대] || ||<-2><:> 노선 ||<-4><:> [[센트럴시티]] - [[잠원IC]]/[[반포IC]] - [[서울TG]] - [[경부고속도로]] - [[동탄JC]]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서오산JC]] - [[평택파주고속도로]] - [[평택JC]] - [[평택제천고속도로]] - [[서평택JC]] - [[서해안고속도로]] - [[서산IC]] - [[32번 국도]]([[서해로]])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 == 개요 == [[서울특별시]]와 [[충청남도]] [[서산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충남고속]]과 [[한양고속]]에서 운행하고 있다. == 역사 == * [[2004년]] [[10월 22일]] 서울호남발 예산·홍성·당진·보령행 노선이랑 동시에 무정차 고속버스 노선을 개통했다.[* [[http://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0089|예산·홍성·당진·서산·보령↔강남 무정차 고속버스 개통]], 충청투데이, 2004-10-23] * 2020년 1월 31일부터 서산행에 한해 주말 심야우등(금~일 22:30)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한 달도 못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심야편성이 중지되어 사실상 폐지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코로나19가 완전히 안정화되어 해당 노선의 수요가 다시 늘어나면 재시행할 가능성이 있다. * 2022년 5월 말에 우등고속을 증편하고, 일반고속을 감회해 사실상 전회우등으로 운행하고 있다. == 특징 == || 운행계통 || 서울호남 || 서산 || || 고속 || ○ || ○ || * 충남 서해안 도시와 서울호남을 잇는 고속버스 중 '''최강의 [[빗자루질(교통)|빗자루질]]''' 노선이며 금요일을 포함해 주말에는 매진이 잦아 임시차가 뜨는 경우가 잦았으나 코로나19로 인한 기사유출로 인해 임시차 투입이 줄어들면서 더 심해졌다. * 2019년 전국 고속버스 이용객 수 5위권, 소도시/군 착발 고속버스 중 1위이다. 철도가 없는 서산시 특성 상 서울~충남 고속버스 노선 중 이용객 수가 가장 많으며, 1일 평균 서울행에는 1,500명, 서산행 1,100명이 이용한다. 한 배차당 각각 31.25명, 22.91명, 연당 왕복 탑승량이 무려 약 95만 명을 찍는 셈이다. 고속버스 배차횟수가 적은 옆 도시의 서울호남-태안 노선 때문에 배차횟수가 많은 서산에서의 환승 수요도 꽤 나온다.[* [[http://www.seosan.go.kr/www/selectBbsNttView.do?key=1260&bbsNo=101&nttNo=228859]]] * 때문에 서산시청과 충남고속에 심야편성을 신설해달라는 건의가 계속 올라와 협의 끝에 센트럴시티, 서산시청, 충남고속과 1년 간의 협의 끝에 2020년 1월 31일 금, 토, 일요일에 한해 서울발 서산행 심야 우등이 신설되었다. 이는 옆 도시인 당진과 보령에도 없는 심야우등인 셈이다. 반대로, 서산발 서울행의 야간수요가 극히 적어 심야 우등이 신설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 달도 못 가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무기한 연기되었다.[* 연기되었어도 고속버스모바일에 심야우등 요금정보가 나온다. 이는 코로나19가 종식된 후 수요를 회복하면 재시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서산발 서울행의 상행은 평일에는 서울로 출퇴근 수요가, 주말에는 나들이 수요에다가 태안에서 서산으로 버스로 환승하는 수요까지 겹쳐 일요일을 제외한 모든 날의 첫차 ~ 오전 시간대에 매진이, 반대의 서울발 서산행 하행 노선은 금, 토, 일 저녁~막차 시간대에 매진이 자주 일어난다.[* 낮~오후 시간대에는 잔여좌석이 25% 이하 정도 남아있어, 해당시간대에 불편없이 현장발권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에는 당일예매가 거의 불가능할더러, 특히나 월요일 상행과 일요일 하행은 표를 아예 구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다. 임시차가 생기자마자 빠르면 2시간, 늦으면 4시간 안에 매진될 정도이다. * 코로나19 이전에는 임시차를 항시로 넣어 어느 정도 예매가 가능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버스 기사가 감소하면서 버스 예매 대란이 더 심해졌다. 그래서 임시차 투입 횟수가 이전에 비해 1~2회 정도로 줄었고, 이는 수요에 비해 차량이 부족하다 보니 예매 대란을 가중시킨 것이다. 대체 루트인 서울남부 - 서산 시외버스 예매도 고속버스 임시차편 대란의 영향을 받아 주말 오전대에 차편이 모두 매진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예매 대란은 서산 뿐만 아니라 충남고속, 한양고속이 운행하는 서울 - 당진 노선에서도 발생하고 있다. * 2004년 10월 고속버스 노선 개통 당시에는 평택충주고속도로의 서평택JC-[[안성JC]] 구간을 주행했으나, [[2009년]] [[10월 29일]] [[평택파주고속도로]]의 [[오성IC|오성]]-[[서오산JC|서오산]] 구간과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봉담IC|봉담]]-[[동탄JC|동탄]] 구간의 개통으로 평택JC-서오산JC-동탄JC 경유로 변경되면서 운행거리가 소폭 단축되긴 했으나 운임 인하는 적용되지 않았다. 평택파주선, 수도권제2순환선의 교통정체가 발생할 때 평택제천고속도로의 안성JC로 우회하는 경우가 가끔 있으며[* 2022년 3월 말 수도권제2순환선의 동탄-곤지암 개통 영향으로 인해 필봉산터널-동탄JC 구간의 교통정체가 점점 심해지면서 주말에 서울로 올라갈 때 안성JC에서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가 간혹 있을 정도이다.], 아예 2021년 4월 말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봉담-송산 구간 개통으로 이 구간을 이용하는 경우가 때때로 있다. * 통상적으로 내비게이션이나 네이버지도·카카오맵 상으로는 센트럴시티터미널에서 서산공용버스터미널까지 [[강남순환로]] 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경유해서 각각 [[소하JC]] 또는 [[조남JC]]에서 서해안고속도로를 타는 것이 더 빠르다고 나오지만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봉담과천로]](과천의왕간고속화도로), [[과천대로]], [[양재대로]]([[47번 국도]]), [[우면산터널]]의 상습정체로 인해 거의 대부분 경유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돌아가는 한이 있더라도 [[중앙버스전용차로|버스전용차로]]가 있는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 동탄까지 내려가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 평택파주고속도로 - 평택제천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를 경유하는 경로로 우회해서 서산으로 간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이 경로를 운행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게 나온다. 회사에 새로 입사한 운행 승무원이 해당 노선을 운행 경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해 [[서해안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봉담과천로]] - [[과천대로]] - [[동작대로]] 쪽으로 우회한 케이스가 있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200522|#]]] * 소요시간은 대개 약 1시간 35분이 걸리며, 도로 정체 없이 빠르게 가면 약 1시간 30분, 고속도로 정체로 인해 대체우회도로[* 서해로 - 장영실로 - 세종평택로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가하면, [[서산IC]]-[[당진JC]]-[[고덕IC]]-40번 국도-70번 지방도-623번 지방도-34번 국도-[[북천안IC]]에서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를 이용하는 경우 약 1시간 50분~2시간 20분이 소요된다. * 서산에서 21시 정각의 시내버스 막차와[* 대산, 해미 지역은 21시 10분에 운행하는 경우. 다만 이는 좌석버스로 운행한다.] 연계해 서산의 다른 지역으로 갈려면 되도록이면 19시 정각 우등차량을 이용하는게 유리하다. 이는 평일 출퇴근시간대에는 센트럴시티에서 막 출발한 차량이 [[신반포로]]의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지 않는 강남터미널고가차도-잠원IC까지의 구간이 퇴근길 정체로 인해 20~25분의 긴 시간을 갉아먹은 후 고속도로로 진입해 아무리 최고속도인 110km/h까지 밟아봐도 서울에서의 정체시간으로 인해 1시간 50분이라는 긴 소요시간으로 21시를 넘겨 시내버스 막차를 놓치는 확률이 높아 이 경우라면 19시 20분 차량이 아닌 이전 차량인 19시 정각 우등차량을 이용하는 것이 더 이롭다. --반면 평일 출퇴근시간대를 제외한 모든 시간대나 주말에 신반포로의 정체가 덜해 10분의 시간으로 고속도로에 진입해 평소 소요시간인 1시간 30~35분 안에 도착할 수는 있으나 고속도로 운행구간 중 사고 등으로 인한 구간정체의 돌발적인 변수가 있지 않는 한 19시 20분 일반차량을 이용하는 것도 유리하다.--[* 2022년 5월 해당시간대가 우등시간대로 변경되어, 19시 정각 우등차량을 타는 것이 더 이롭다. 개념없이 해당 차편을 타다가 변수로 인해 시내버스 막차를 놓치면 택시값까지 더 깨질 수 있다.] * 이 노선을 운행하는 충남고속과 한양고속은 HD급 차량을 출고하자마자 해당 노선을 포함해 서울호남, 인천공항 또는 광주 착발[* 충남고속만 해당.]로 우선 배치되며 때문에 차량의 연식이 대부분 0~4년을 차지한다. SD급 신차를 출고할 경우 부산 착발 노선[* [[고속버스 당진-부산|부산(노포동) - 당진]], [[고속버스 당진-부산사상|서부산(사상) - 당진]], [[고속버스 논산-부산|부산 - 논산(고속)]]]으로 보낸다.[* 다만 옵션은 서울호남발 등에 투입하는 HD급과 동일하다. 차급만 SD급일 뿐, 내부 옵션은 동일하다는 이야기다.] 다만, 임시차 중 퇴역이 임박한 예비차로 굴러오는 경우가 가끔이나마 있다. 연식이 약간 된 차량[* 주로 4~7년 이상]은 대전복합이나 인천 착발로 내려보낸다. * 시외버스 업체인 [[한양고속]]도 E-Pass 사용이 가능하다. * 현재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해 일반시간대가 감차되어 일반고속 시간대의 대부분이 한양고속이, 우등고속 시간대 대부분이 충남고속 배차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2021년 11월 30일부터 일반고속을 증회해 배차가 20분으로 규칙해지며 코로나19 이전 시절과 동일한 케이스로 회귀했다. * 이러한 빗자루질 배차에 비해 심야버스가 없어 심야에 서울~서산간 이동이 꽤 불편한 편이다. === 시간표 === ||<-5><:><#737373>{{{#white 서울호남-서산 고속버스 시간표}}}[br]{{{#ffffff 2022년 5월 기준}}} || ||<-5> {{{#!folding [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2><:>서울 출발|| ||<-2><:>서산 출발|| ||<-2><)> '''05''' 30 '''50'''|| 06시 ||<(> '''00 30 50'''|| ||<-2><)> '''10''' 30 '''50'''|| 07시 ||<(> '''10 30 50'''|| ||<-2><)> '''05 20 40'''|| 08시 ||<(>'''05 20 40''' || ||<-2><)> '''00 20 40'''|| 09시 ||<(> 00 '''20 40'''|| ||<-2><)> '''00 20 40'''|| 10시 ||<(> '''00''' 20 '''40'''|| ||<-2><)> '''00''' 20 '''40'''|| 11시 ||<(> '''00''' 20 '''40'''|| ||<-2><)> '''00''' 20 '''40'''|| 12시 ||<(> '''00 20 40'''|| ||<-2><)> '''00 20''' 40|| 13시 ||<(> '''00 20 40'''|| ||<-2><)> '''00 20 40'''|| 14시 ||<(> '''00''' 20 '''40'''|| ||<-2><)> '''00 20 40'''|| 15시 ||<(> '''00''' 20 '''40'''|| ||<-2><)> '''00 20 40'''|| 16시 ||<(> '''00 20''' 40|| ||<-2><)> 00 '''20''' 40|| 17시 ||<(> '''00 20 40'''|| ||<-2><)> '''00 20''' 40|| 18시 ||<(> '''00 20 40'''|| ||<-2><)> '''00 20 40'''|| 19시 ||<(> '''00 20 40'''|| ||<-2><)> '''00 20''' 40|| 20시 ||<(> 00 '''20''' 40|| ||<-2><)> '''00 20 50'''|| 21시 ||<(> '''00 20 50'''|| ##||<-2><)> '''30^^(금~일)^^'''[* 코로나19로 인해 심야편성 중단.]|| 22시 ||<(> || ||<-5> '''볼드체''' 처리된 시간은 우등고속. || ||<-5> '''해당 시간표는 정규 시간표이며, 수요가 많은 금~일요일에 추가되는 임시편성은 반영하지 않음.''' || }}}}}} || === 운임표 === || || 일반 || 우등 || || 성인 || 9,500원 || 13,800원 || || 아동 || 4,800원 || 6,900원 || 청소년 할인을 시행하지 않고 있으며 청소년 요금으로 갈 경우에는 시외버스인 서울남부로 이동하는 것이 좋다. 다만, 서울남부행은 대부분 음암, 운산이나 해미, 한서대학교를 경유하므로 기존 고속버스에 비해 소요시간이 다소 더 걸린다. 서울남부행 운임은 서울호남행 일반고속이랑 동일하다. == 대안 경로 == 전자에 언급했듯이 서울(호남) - 서산 고속버스 노선은 매진이 심한 노선이며, 해당 차편을 예매하지 못할 경우, 다음과 같은 대안 경로로 해당 도시를 오갈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 존재한다. __밑줄__로 표시된 것은 상호 시외버스 경로가 서로 중복인 경우에 해당된다. || 이용 경로 || 경유지 || 소요시간 (h:mm) || 운임 (₩) || 강점 || 약점 || ||<|3> [[시외버스 서울남부-서산·태안|서울(남부) - 서산]] || [[서울남부터미널|서울(남부)]] - {{{#lightgray 한서대학교 - 해미 -}}} 서산 ||<|2> 2:00 ||<|3> 9,000 ||<|3> 적은 중간 경유지[br]모두 일반등급으로 운행중[br]고속버스 노선과 동일한 운임[br]청소년 할인이 있음[br]고속버스와의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음(20분) ||<|3> 당진 경유편은 경유지가 많아 효율이 떨어짐[* 1일 1회 삽교호, 신평을 추가 경유하는 차편이 있으며 소요시간이 더 걸리기에 태안·서산으로 갈 때 이 차편을 피하기도 한다.][br]고속버스 배차에 비해 부족한 배차 횟수[* 물론 이 서울남부 - 서산 노선은 거의 1시간 간격으로 운행중이라 이로인한 불편은 없는 편이다.] || || 서울(남부) - {{{#lightgray 운산 - 음암 -}}} 서산 || || 서울(남부) - {{{#lightgray 기지시 - 당진 - 구룡동 - 운산 - 음암 -}}} 서산 || 2:15 || || [[시외버스 동서울-태안|동서울 - 서산]] || [[동서울터미널|동서울]] - {{{#lightgray 운산 - 음암 - }}}서산 || 2:00 ~ 2:15 || 11,700 || 적은 중간 경유지[br]서울 강북권과의 접근성이 높음[br]강원권[* 철원, 춘천, 태백, 속초, 강릉 등]과의 환승연계가 높음[br]기존의 고속버스 우등보다 저렴한 운임[* 물론 전회우등으로 부담이 있지만 그래도 고속버스 운임보다 소폭 저렴해 가성비를 압도한다.] || 고속버스에 비해 배차가 매우 적음(일 4회)[br]{{{#red 전회 우등 운행중}}} || || 김포국제공항 - 서산 || [[김포국제공항]] - {{{#lightgray 기지시 - 당진 - 운산 - 음암 -}}} 서산 || 3:00 ~ 3:50 || 16,900 || 서울 서북권·김포·강화 지역과의의 접근성이 높음[br]김포국제공항에서 항공편과의 연계 가능 || 기지시, 당진을 경유해 효율성이 떨어짐[br][[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red 수도권제1순환선}}}]]{{{#red 의 상습정체}}}로 인한 연착이 잦음[br]{{{#red 전회 우등 운행중}}}인 사실상의 [[공항버스|공항우등]] 노선[br][[서울 지하철 9호선]]과의 쉬운 환승 연계로 인해 떨어지는 효율성[* 급행을 이용해 고속터미널 - 김포공항 구간을 28분 안에 오갈 수 있다. 저 멀리 인천국제공항까지 가는 공항철도마저 이용하면 환승 연계가 배로 올라간다.][br][[고양종합터미널|고양(일산)]] 착발 노선으로 인해 연착이 있음[br]김포공항터미널의 [[버스타고]] 전산망 운영으로 인한 왕복 예매 불가 || || [[시외버스 서울경부-천안|서울(경부) - 천안(고속)]][br][[시외버스 천안-서산·태안|천안(시외) - 서산]] ||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천안]] - [[아산시외버스터미널|{{{#lightgray 아산(시외)}}}]] - 서산 || 2:40 ~ 2:50 || 18,600 ~ 20,500[* 6,500(서울 - 천안: 일반)/8,400(서울-천안: 우등) + 12,100(천안 - 서산)] || 터미널 환승이 매우 효율적임[br]서울 - 천안 버스 노선의 빗자루질[br]천안 - 서산 버스 1시간 간격으로 직통 운행중[br]서울 - 천안 노선에 대학생 할인 가능 || 출퇴근 정체로 인한 천안 - 서산 노선의 연착 위험이 있음[br]서울 - 천안의 버스 노선의 매진이 잦음[* 물론 이 쪽은 협정운행을 통한 임시차편을 넣고 있기에 배차간격이 5분으로 좁혀지기도 한다.][br]천안 - 서산 노선의 국도 운행으로 인한 비싼 운임 || || [[시외버스 서울경부-아산온양|서울(경부) - 아산(고속)]][br][[시외버스 천안-서산·태안|아산(시외) - 서산]] || 서울(경부) - [[천안아산역|{{{#lightgray 천안아산역}}}]] - {{{#lightgray 서부휴게소(봉강교) - 배방}}} - 아산([[아산고속버스터미널|고속]] - [[아산시외버스터미널|시외]]) - 서산 || 2:30 ~ 2:50 || 17,400 ~ 19,800[* 7,700(서울 - 아산: 일반)/10,100(서울 - 아산: 우등) + 9,700(아산 - 서산)] || 서울 - 천안 - 서산 이동경로보다 소폭 싼 운임[br]서울 - 아산 버스 노선 대학생 할인 가능[br]아산터미널의 동일한 전산망 사용 || {{{#red 서울 - 아산 노선의 매진이 심함}}}[* 서울 - 천안 노선과 같이 이 노선도 협정을 투입중이나, 배차간격이 더 적어 천안 노선보다 매진이 더 심하다.][br]아산 - 서산 노선의 국도 운행으로 인한 비싼 운임[br]천안과의 소요시간 차이가 거의 없음. || || [[시외버스 서울경부-평택|서울(경부) - 평택(고속)]](-[[시외버스 서울경부-안중|안중]])[br][[시외버스 8340|R8340(평택 - 안중 - 당진)]][br]당진 - 서산 || 서울(경부){{{#lightgray - 용이동(스타필드 안성) - 평택대학교}}} - __[[평택터미널|평택]]{{{#lightgray - 안중오거리}}} - [[안중버스터미널|안중]]__{{{#lightgray ____ - 밀두리(인주) - 삽교호__ - 신평 - 기지시}}} - 당진{{{#lightgray - 구룡동 - 운산 - 음암}}} - 서산 || 3:00 || 17,300[* 8,100(서울 - 안중) + 5,400 (안중 - 당진) + 3,800] ~ 20,400[* 8,100(서울 - 평택: 일반) + 8,400(평택 - 당진) + 3,800(당진 - 서산)] + 1,300 || 터미널 환승 경로 중 최단경로[br]터미널 환승을 통한 매우 싼 운임으로 이동 가능 || 평택 - 당진 노선의 적은 배차[br]평택 - 당진 - 서산 노선은 국도 운행으로 인해 운임이 매우 비쌈[br]소요시간이 매우 길어 효율성이 매우 적음 || 이 대안경로 외에도 [[성남종합버스터미널|성남]], [[인천종합터미널|인천]], [[수원종합버스터미널|수원]], [[광명종합터미널|광명]][* 모두 안양에서 착발하는 노선이며 모두 광명을 경유한다.], [[부천종합터미널|부천]][* 코로나19 이전까지는 부천 - 서산 간 고속버스를 운행했으나 사실상 폐선되어 시외버스 계통만 남았다.] 등으로 이동한 후, 도시철도 및 광역·시내버스로 환승할 수 있으나 이것도 배차간격이 고속버스에 비해 더 길며, 소요시간 또한 더 오래걸릴 수 있다. 성남, 광명은 모두 기지시, 당진, 구룡동, 운산, 음암을 거쳐 효율 또한 더 떨어질 수 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분류:고속버스 서울호남]][[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산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