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구광역시 고속버스)] [목차] == 노선 정보 == ||<-6><:><#0066cc> {{{#ffffff 고속버스 대전복합 - 동대구}}}|| ||<:>노선||<-2><:>[[대전광역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용전동(대전)|용전동]]([[대전복합터미널]])||<:>↔||<-2><:>[[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신천동(대구)|신천동]]([[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2><:>동대구행[br](하행)||<:>첫차||<:>10:50||<|2><:>대전복합행[br](상행)||<:>첫차||<:>07:10|| ||<:>막차||<:>18:10||<:>막차||<:>14:30|| ||<-3><:>배차간격||<-3><:>일 2회 || ||<-3><:>운수사명||<-3><:>[[동양고속]] || ||<-2><:>노선||<-4><:>[[대전복합터미널]] ↔ [[대전IC]] ↔ [[경부고속도로]] ↔ [[금호J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서대구IC]] ↔ [[신천대로(대구)|신천대로]]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노원로(대구)|노원로]] ↔ 신천대로 ↔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 || == 개요 == [[대전광역시]]와 [[대구광역시]]를 잇는 [[고속버스]] 노선. [[동양고속]]에서 단독 운행한다.[* 현재 [[대전복합터미널]]에서 대구 [[서부정류장]] 시외 노선이 사라진 관계로 대전-대구 전환 시외버스 버전이라 해도 된다.][* 현재 대전복합에서 대구서부-고령-합천운행 타이틀은 12월 26일부터 서울남부-성주-고령-합천 중 1회가 [[대전복합터미널|대전]]에 중간 경유하게 되었다가 다시 무정차 운행으로 변경했다.] == 특징 == * 완행고속버스가 활발이 운행된 과거에는 이 노선도 완행 노선이 존재했는데, 2004년에 [[시외버스 동대구-구미]] 노선으로 단축되었다. * 본래는 [[한진고속]], [[천일고속]], [[코오롱고속]], [[한일고속]]도 [[공동 배차]]했으며, 당시 일반고속은 한진고속과 한일고속만 운행했다. [[동양고속]]은 한진고속을 인수하기 전까지 이 노선에 우등고속 1대만 투입했으며, 한진고속을 인수한 후 배차를 흡수해서 일반고속도 운행 중이다. 천일고속은 오래 전에 철수했다. 코오롱고속이 [[금호고속]]에 넘어가면서 금호고속도 자연히 공동 배차해 왔으나 철수하였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인해 버스 수요가 줄면서 한일고속마저 철수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대전 ↔ 대구 구간은 고속철도를 포함하여 철도편이 워낙 많은지라, 고속버스는 철도보다 운행 횟수가 적다.[* 대전 ↔ 부산 구간도 마찬가지다.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대전 ↔ 포항]] 노선이 대전 ↔ 대구, [[고속버스 대전복합-부산|대전 ↔ 부산]] 노선보다 고속버스 운행 횟수가 많았던 이유는 당시 울산과 포항의 철도교통 여건이 매우 열악했기 때문이다. [[시외버스 동대구-유성|동대구 ↔ 유성]] 시외버스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여파로 운행이 중단됐다.] 막차도 빨리 종료되며, 심야편도 없다. [[KTX]]가 운행하기 시작한 후에는 배차간격이 30~40분에서 50~60분으로 점차 늘어났고, 현재는 후술하듯이 대전에서 충남 각 지역으로 갈 때의 환승용 노선으로 기능한다. 그래도 완전히 몰락한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대전 ↔ 포항]] 노선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많이 감차되지 않았고, [[서대구역]]이 개업한 2022년에 들어서야 대전 ↔ 대구 노선이 더 감차되었을 정도로 감차되는 시기는 상대적으로 늦었다. 울산, 부산, 포항보다 거리가 가깝다 보니까 KTX와의 소요시간 차이도 상대적으로 적은 데다가[* [[고속버스 서울경부-대전복합|서울 ↔ 대전]], [[고속버스 서울경부-대전청사|서울 ↔ 둔산(대전청사)]], [[시외버스 서울경부-천안|서울 ↔ 천안]], [[고속버스 서울호남-유성|서울 ↔ 유성]] 노선이 승객이 많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기준으로는 나름대로 경쟁력이 있기 때문.[* [[서대구역]]이 있긴 하지만,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이 [[서대구역]]보다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좋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여파로 [[시외버스 동대구-천안|천안 ↔ 구미, 동대구]] 시외버스 노선의 운행이 전면 중단됨에 따라 대구 거주자가 천안 혹은 경기도 안성 쪽으로 대학을 다니거나 혹은 그 반대(천안시 거주 대학생이 대경권 대학에 다니는 등)의 경우 이 노선을 대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환승해서 최소 15,400원부터 최대 2만 원이기 때문에 주말, 공휴일에는 매진 비율이 높다. 대구 거주자 외에 영천, 경주, 포항 쪽 거주자도 이 노선을 꽤 이용한다.[* 이후 영천/경주/포항까지는 영천은 [[시외버스 동대구-청송]]/동대구-영천/[[시외버스 동대구-죽장]]을 이용하거나 [[동대구역]]에서 [[무궁화호]]를 이용하거나 [[영천 버스 55, 555]]를 타고 영천으로 가며, 경주는 [[시외버스 동대구-경주|동대구 ↔ 경주]] 노선을 이용하고, 포항은 [[시외버스 동대구-포항(직통)|동대구 ↔ 포항]]을 이용한다.][* 대전에서 영천으로 바로 가는 버스는 없으며, 대전 ↔ 경주 고속버스 노선은 2015년 6월에 폐지됐다. 포항은 [[고속버스 대전복합-포항|대전 ↔ 포항]] 고속버스 노선이 있긴 하지만, [[동양고속]]이 철수하면서 1일 3회로 대거 감차되고 2023년 6월부터 운행 중단에 들어갔다.] * [[시외버스 동대구-서산|서산 · 당진 ↔ 동대구]] 시외버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의 여파로 운행이 중단됨에 따라, 천안과 같이 동대구로 이동하려는 경우에도 이 노선을 대체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출발시간만 잘 맞으면 최소 3시간 40분 정도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 더군다나 모두 일반으로 간다면 단돈 19,700원에 대구로 싸게 이동할 수 있어 충남 서해안 거주민에게는 없어서야 안되는 노선이기도 하다.[* 물론 KTX가 있지만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역]] 간 연계교통의 불편으로 [[환승저항]]이 쉽게 발생해 환승으로 인한 이동거리를 줄이기 위해 아무래도 [[대전복합터미널]]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당진청주고속도로]] 아산~천안 구간이 개통되어 [[고속버스 당진-부산사상|당진-부산사상 고속버스 노선]]이 [[선산휴게소]]에 들어갈 확률이 생겼기 때문에 선산휴게소 환승이라는 대안이 새로 나올 수도 있다.] * 2023년 4월 1일부터 한일고속이 복귀했다. 대신 한일고속은 금~일만 복귀하며 배차는 1일 4회로 동일하다. 동양고속 2회는 그냥 그대로 철수하여 월~목은 우등 1일 2회만 운행, 결국 대전 ↔ 대구 노선도 사실상 몰락하고 말았다.[* 몰락과 동시에 막차편이 끊긴다면 터미널 앞에서 택시를 타라고 권유하기도 하는데 믿고 타면 안된다. 15만원이 기본이라고 하니. 차라리 막차까지 놓쳤다면 [[대전 버스 201|201번 버스]]로 [[대전역]]으로 이동하여 KTX·SRT를 이용하자. 택시 이용보다는 8배 낫다. 또 막차도 23시 44분(SRT 379)으로 상당히 늦게까지 있다.][* 청주를 경유해서 가면 다시 올라갔다 내려가는 꼴이 되고 시외버스 편의 경우 거창을 경유하여 [[서부정류장]]으로 가는방법도 있으나, 매표를 일단 나눠해야 하고 함양부터 거쳐 가기 때문에 역시나 3시간 정도 걸린다. 서대구, 동대구 경유 고속버스터미널편과 남청주, 구미 경유 [[서부정류장]] 시외버스터미널편 두가지 패턴을 쓸 수 있다. 그래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경부)강남고속터미널]]에서 서대구나 동대구를 간다면 직통을 바로 타는게 낫고[* 어쨋건간 [[성남종합버스터미널]]에서 1회 오후 19시 일반요금으로 들어가는 서비스 우등과 그 이외 서울경부-대구간 일반요금이 [[대전복합터미널]]에서 운행하는 우등요금과는 불과 30%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시간대가 안맞더라도 대전에서 끊어치기해서 가지 않는게 좋지만 후술하듯이 배차가 매우 줄어들면서 아예 [[안동터미널|안동]]으로 끊어치기하는 것이 더욱 낫다.] * 2023년 6월 1일부터 한일고속이 철수하여 동양고속 단독으로 1일 2회 운행하여 이전에 언급했듯이 충남 서해안 여행객들의 불편이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이며 대전복합터미널 - 대전역 간의 환승저항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이쯤 되면 아예 노선 운행 중단까지 생각해야 할 정도로 수요가 처참히 줄어들었기 때문.[* 거기에 [[시외버스 천안-대전복합|대전 ↔ 천안]] 고속버스 첫차 시간도 한시적으로 천안에서 대전복합 방향에 한해 6시 30분이 없어지고 7시 10분으로 변경되었다가. 다시 시외로 통합후 6시 30분발이 복귀한다. 그 이전에는 7시 정각에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첫차가 운행되고 있다.][* 대전에서 대구나 구미지역 이동시 동구, 대덕구가 아닌 서구, 중구, 유성구 지역에서 이동하는경우 차라리 [[대전역]]으로 이동해 열차를 이용하자 --특히 무궁화, ITX새마을 한정으로 [[김천역]]에서 내리면 배차시간만 맞으면 왜관을 경유해 대구 성서까지 시내버스 릴레이를 할수 있다.--] * 평일 한정으로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하차 승객이 없는 경우 바로 [[북대구IC]]로 진입하여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로 향한다. 이때는 기사가 물어본다.[* 이유는 동대구로 끊고 서대구에서 내려서 가는 경우가 있어 물어보는듯 매표롤 서대구로 하면 검표에 떠서 물어보지 않는다.] 다만 주말에는 수요가 많아 모두 정차하니 참고할 것 == 사건사고 == * 역사적인 [[경부고속도로]]의 '''첫 [[교통사고]]'''를 일으킨(...) 노선이다. [[추풍령휴게소]] 문서 참조. === 운임표 === [* 이 노선은 동대구와 서대구출발 운임 동일][* 지금 현재 요금이 [[대전역]]-[[서대구역]] KTX 운임과 2000원 [[대전역]]-[[동대구역]] KTX 운임과 3600원 차이밖에 나지않는다. 그래서 시간이 안 맞을 경우 KTX, SRT를 이용해 [[서대구역]] 혹은 [[동대구역]] 으로 이동해 목적지로 가는게 낫다.] || || 일반[* 정규배차에는 없으나 임시배차에는 투입될수 있어 요금만 기재한다.] || 우등 || || 성인 || --11,000원-- || 16,100원 || || 아동 || --5,500원-- || 8,100원 || == 연계 철도역 == *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역]] * [[파일:Daegu3.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만평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누리로) [[분류:고속버스 동대구]][[분류:고속버스 대전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