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중국 삼국시대 손오의 인물, rd1=고상(손오))] 高翔(高祥/高詳)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형주]] 남군 출신. 우장군이었다가 [[대장군]]까지 이르렀다. == [[삼국지(정사)|정사]] == 219년 [[한중 공방전|한중 전투]] 당시에는 양평관을 방어했으나 [[위(삼국시대)|조위]]의 [[조진]], [[서황]]에게 격파당한다. 227년 [[가정]]에서는 [[마속]]이 [[가정 전투]]에서 패배할 때 열류성에 있다가 [[왕평]]과 함께 철수군을 도왔으나 [[곽회]]의 공격에 격파당한다. 231년 [[제갈량]]의 [[제갈량의 북벌|4차 북벌]] 때 [[기산]]을 [[포위]]하고 [[사마의]], [[장합]]이 이를 저지하러 오자 [[위연]], [[오반(삼국지)|오반]]과 함께 이들을 격파한다. 그 후 [[이엄]]이 거짓으로 제갈량의 군대를 귀환시키자 제갈량은 [[촉나라|촉]]의 거의 모든 제장과 함께 연대상소하여 탄핵해 이엄의 관직을 박탈하는데 이때 고상도 독전부, 우장군, 현향후로서 이름을 올렸다. [[북벌]]부터 종군하여 [[장비]]가 맡았던 우장군직을 거쳐 대장군에 이르렀을 정도면 못해도 [[강유]], 왕평보다 높은 경력의 [[고관대작]]인 [[무장]]인데, 어째 기록이나 활약상이 상당히 부족한, 전형적인 중후반기 촉의 무명 고관 중 하나다. 비슷한 처지로는 [[진도(삼국지)|진도]], [[원침]]이 있다. 사실 촉한이 위치는 높은데 기록은 영 없는 [[장군]]이나 고관들이 한두 명이 아니니 사서 기록의 부족이 영 안타까운 일. == [[삼국지연의|연의]] == 수 차례에 걸쳐 북벌에 활약한다. 제갈량이 개발한 [[목우유마]]를 가지고 군량을 운반하다가 일부러 털려서 사마의를 ~~낚는~~ 유인하는 등의 전과를 올렸고, '''[[사마의]]를 호로곡으로 유인하여 거의 죽일 뻔 했다.''' 이엄을 상소해서 관직을 박탈할 때 [[작위]]가 현도후로 나온다. == 미디어 믹스 == === [[삼국지 시리즈]] === || [[파일:Gao_Xiang_(1MROTK).png|width=250]] || [[파일:external/kongming.net/447-Gao-Xiang.jpg|width=250]] || ||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57.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맨날 지기만 하는 것을 반영하여 능력치가 그리 '''[[영 좋지 않다|좋진 않다]]'''. 통솔력과 무력이 60대 후반이고 나머지는 40~50정도인 C-급 무관. 목우유마와 연관된 일 때문에 운반같은 특기가 있으면 거의 100% 들고 나온다.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그런데 어째선지 형주 남군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영웅집결 시나리오 때 출신지로 추정되는 강릉이 아닌 자동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0/지력 51/정치력 43. 분전,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7/지력 51/정치력 43/매력 54에 특기는 보수, 화시, 기염 3개 뿐이다. [[삼국지 11]]부터 [[바이킹]] 느낌나는 [[투구]]를 쓰는 [[일러스트]]로 나온다. 능력치는 68/68/52/44/55에 특기는 운반. PK에서 운반 특기를 타 장수에 부여할 수 있게 되면서 희소성이 떨어졌지만 후방에 둘 무장으로서는 나쁘지 않은 편이다. 생몰년도는 194~252로 오래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도 능력치는 그저 그런데 일러스트가 환골탈태하여 그의 별명 쌀셔틀(...)답게 [[목우유마]]에 실린 쌀포대를 앞에 둔 상태에서 정황상 "됐다. 여기서 군량을 버리고 사마의를 유인한다!"라고 말하는 모습으로 보이는데, '''쓸데없이 초간지 포스다.''' 병종이 [[기병]]에 전법이 공성강화로 [[백 도어]]에 능한 장수가 되었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8/지력 53/정치력 44로 그저 그렇다.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포인트 2를 사용하여 자부대 창병의 방어력을 1단계 올려주는 창방강화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 무력 68, 지력 51, 정치력 43, 매력 55로 전작에 비해 지력이 2,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주의는 왕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제사, 업화,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주 수송로에 산지가 많고 거점 간 거리가 먼 파촉지방에서 운반 개성을 가지고 있어 [[탁응]] 등과 함께 보통 후방에서 물류 운반을 담당하게 된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파일:전략고상.png]] [[가정 전투]] 때부터 등장한다. === [[삼국전투기]] === 존재감이 없는 것을 반영했는지 [[칼 이야기]]의 [[사비 하쿠헤이]]로 나온다. 가정 전투 (5)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했는데, 본편에서는 얼굴 밖에 나오질 않는지라 고상의 전체적인 생김새는 타이틀 컷에서만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촉장 고상은 오장 [[고상(손오)|고상]]보다도 비중이 떨어지는 비극을 맞이했다.] 소개컷에서는 마속보다 더 뜬금없이 중요 임무를 맡은 것을 보면 상당한 고수일 거라고 다들 추측하고 있다고 서술되어 있다. 가정 전투 편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며 얼굴을 비췄다. 마속과 왕평이 가정으로 보내졌고 고상은 열류성 근교에서 보급로를 확보하는 임무를 맡았으나, 상규에 주둔하던 곽회가 위수를 따라 몰래 진군하여 공격하면서 패배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 [[삼국지 공명전]] === 유장군 소속인데, 면죽관 전투에서 [[유비]]나 공명을 고상에게 인접시키면 고상이 아군으로 들어온다. 에디트를 쓰지 않는 이상 가장 처음으로 쓰게 될 [[전차대]]이지만, 합류하는 전투가 끝나자마자 레벨도 높고 능력치도 좋고 [[일기토]]도 많은 상위호환 전차대 [[마대]]가 들어오기 때문에 굳이 일기토 하나 없는 하위호환 고상을 쓸 이유가 없다. 같은 전투에서 합류하는 [[이회(삼국지)|이회]]는 그나마 미축이 리타이어한 후 유일한 군악대라 책략 노가다 플레이를 즐길 경우엔 필수로 끼기라도 하지, [[강족|서강병]]의 가상장수 [[여캐]] [[양란]]까지 들어오면서 고상은 '''정말 영 쓸 곳이 없는 잉여 캐릭터로 전락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상, version=100, paragraph=3)] [[분류:촉한의 인물]][[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