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한의 국가)] [목차] == 개요 == {{{+1 古卑離國}}} 《[[삼국지(정사)|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소개된 [[마한]] 54개국 중 하나이다. 정확한 위치는 불명이나, 마한 소국 목록에서 나열된 순서를 고려하면 [[충청남도]] 지역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지》 원문에서는 고비리국을 점리비국(占離卑國)이라 하였는데, 《한원》에서는 이를 오류로 판단하고 고비리국(古卑離國)이라 기록했다. 마한의 다른 소국명과 [[삼국시대]] 고지명 표기에서 점(占)은 사용되지 않은 반면 고(古)는 자주 사용되었으며[* 《삼국지》에 기록된 삼한 소국들 중 고비리국을 제외하고 고(古)라는 한자가 사용된 국명으로는 [[고탄자국]], [[고리국]], [[고원국]], [[고포국]], [[고랍국]], [[고자미동국]], [[고순시국]]이 있으나 점(占)이 사용된 사례는 없으며, 《[[삼국사기]]》 지리지에서도 경덕왕 개명 이전 지명들 중 고(古)가 사용된 사례는 고타야군, 고시산군, 고동람군, 고자군, 고사마현, 고량부리현, 고룡군, 고사부리군, 고마미지현, 고미현, 고시이현, 고서이현, 고록지현, 고사야홀차, 갑비고차, 고소어, 고의포, 고막부리, 고마산, 고마지 등 20건이 있으나 점(占)이 사용된 사례는 역시 없다.], 후술하겠지만 마한의 소국명에서 비리(卑離)라는 접미사가 자주 등장하므로 《한원》의 기록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비리국의 '비리(卑離)'는 [[마한]]의 다른 소국명에서도 접미사로서 여러 차례 나타나는데[* [[막로비리국]](莫盧卑離國), [[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 [[내비리국]](內卑離國), [[벽비리국]](辟卑離國), [[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 [[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 [[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이 있다.] 이는 훗날 《[[삼국사기]]》 등 문헌에 기록된 [[백제]]의 지명 접미사 부리(夫里) 및 [[신라]]의 지명 접미사 [[벌#s-1.2]](伐/火)과 동계어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단어는 [[중세 한국어]] 'ᄇᆞᆯ'과 현대 한국어 '벌판'으로 이어진다. [[분류: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