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베 시영 지하철 운행 노선)] ||<-2><)>[[고베 시영 지하철|[[파일:KBSub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margin-top: -3px;" [[고베시 교통국|{{{#ffffff {{{-2 고베시 교통국}}}}}}]][br][[고베 시영 지하철|{{{#ffffff 고베 시영 지하철}}}]]}}}||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KBSub-K.svg|width=50]]||{{{#00469b {{{+1 '''[ruby(海岸線, ruby=かいがんせん)]'''}}}[br]'''K'''aigan Line[br]카이간선}}}||}}}|| ||<-2><:>[[파일:Sub_Wadamisaki-pf.png|width=100%]] ---- [[고베시 교통국 5000형 전동차]]|| ||<-2><:>'''{{{#ffffff 노선도}}}'''||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Kaigan_Line_Vroutemap.pn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애칭'''||유메카모메(夢かもめ)|| ||<:>'''분류'''||[[지하철]]|| ||<:>'''기점'''||[[산노미야·하나도케이마에역]]|| ||<:>'''종점'''||[[신나가타역]]|| ||<:>'''역 수'''||10|| ||<:>'''노선 기호'''||{{{#00469b {{{+1 '''K'''}}}}}}|| ||<:>'''개통일'''||2001년 7월 7일|| ||<:>'''소유자'''||<|2>[[고베시 교통국|[[파일:KobeTB_logo.png|width=180]][br]{{{#009979 고베시 교통국}}}]]|| ||<:>'''운영자'''|| ||<:>'''사용차량'''||[[고베시 교통국 5000형 전동차]]|| ||<:>'''차량기지'''||미사키 차량기지||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7.9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복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차내신호방식|| ||<:>'''신호방식'''||CS-[[열차자동제어장치|ATC]], [[열차자동운전장치|ATO]]|| ||<:>'''최고속도'''||90km/h|| ||<:>[[파일:KBKaigan_Line_linemap.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카이간선}}}|| ||<:>[youtube(r3QMDmEUkX4,width=100%)]|| ||<:>{{{#ffffff 공식 하행 전구간 전면 주행영상}}}||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베시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고베 시영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애칭은 '유메카모메(夢かもめ)'이며, 정오 알림 안내방송이나 노선도에서 쓰인다.[* 가끔 저 멀리 도쿄의 [[유리카모메]](...)와 헷갈리는 사람이 보인다.] 말 그대로 노선이 [[해안선]]을 지나가기 때문에 카이간선. == 상세 == 일본 지하철 중에 [[교토 시영 지하철]] [[교토 시영 지하철 도자이선|도자이선]]과 함께 수송 실적이 부진한 노선으로 꼽힌다. 1994년 착공 당시 수송예상인원을 2001년 8만명, 2005년 13만명으로 예상했는데 뚜껑을 열고 보니 2001년에는 3만명, 2005년에는 4만명이었다. 카이간선 개업과 동시에 카이간선 연선에서 산노미야 방향으로 운행하는 노선버스를 모두 폐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용 승객이 예상인원의 절반도 되지 않는데 노선 선형상 환승이 상당히 불편한 것도 있지만[* 이 지역에서 산노미야 이동(以東)으로 가는 사람들은 [[신나가타역]], [[효고역]], [[고베역]] 등으로 간다.] [[고베 대지진]] 후 카이간선 연선의 지역 침체와 지속적인 인구 감소가 가장 큰 이유로 지목되고 있다. 그나마 남아있는 버스노선들도 대부분 30분 이상 간격이며 모두 적자노선이다. 2011년 경 고베시가 [[JR 서일본]] 측에 [[와다미사키선]] 여객 취급 중지를 제안했었다. 고베시 부담으로 카이간선에 차량을 더 투입하겠다고 하였으나, JR 서일본은 거절했다. == 역 목록 == * 모든 역이 [[고베시]]에 위치한다. ||<-5><:>{{{#ffffff '''고베시 교통국 {{{-2 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 ||<:>{{{#ffffff 번호}}}||<:>{{{#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K01||<:>[[산노미야·하나도케이마에역|산노미야·하나도케이마에]][br]三宮・花時計前||<:>0.0||¶'''[[산노미야역]]''' : [[고베 시영 지하철]] [[파일:KBSub-SY.svg|width=17]][[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세이신·야마테선]](S03)[br]¶'''[[산노미야역]]''' : [[JR 서일본]] [[파일:JRW-A.svg|width=17]][[JR 고베선]](A61)[br]¶'''[[산노미야역]]''' : [[고베 신교통]] [[파일:Port-Island Line.png|width=17]][[포트 아일랜드선]](P01)[br]¶'''[[고베산노미야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 본선|본선]](HS32)[br]¶'''[[고베산노미야역]]''' : [[한큐 전철]] [[파일:HK-blue.svg|width=17]][[한큐 고베 본선|고베 본선]]·[[한큐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HK16)||<|4><:>[[주오구(고베)|주오구]]|| ||<:>K02||<:>[[큐쿄류치·다이마루마에역|큐쿄류치·다이마루마에]][br]旧居留地・大丸前||<:>0.5||¶'''[[모토마치역(효고)|모토마치역]]''' : [[JR 서일본]] [[파일:JRW-A.svg|width=17]][[JR 고베선]](A62)[br]¶'''[[모토마치역(효고)|모토마치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 본선|본선]]·[[한신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HS33)|| ||<:>K03||<:>[[미나토모토마치역|미나토모토마치]][br]みなと元町||<:>1.3||<:>|| ||<:>K04||<:>[[하버랜드역|하버랜드]][br]ハーバーランド||<:>2.3||¶'''[[고베역]]''' : [[JR 서일본]] [[파일:JRW-A.svg|width=17]][[JR 고베선]](A63)[br]¶'''[[고소쿠고베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 전기철도|한신]] [[한신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한큐 전철|한큐]] [[한큐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HS35)|| ||<:>K05||<:>[[츄오이치바마에역|츄오이치바마에]][br]中央市場前||<:>3.7||<:>||<|3><:>[[효고구]]|| ||<:>K06||<:>[[와다미사키역|와다미사키]][br]和田岬||<:>4.6||¶[[JR 서일본]] {{{#948f7f ●}}}[[와다미사키선]]|| ||<:>K07||<:>[[미사키코엔역(효고)|미사키코엔]][br]御崎公園||<:>5.7||<:>|| ||<:>K08||<:>[[카루모역|카루모]][br]苅藻||<:>6.5||<:>||<|3><:>[[나가타구]]|| ||<:>K09||<:>[[코마가바야시역|코마가바야시[br]{{{-2 (삼국지의 거리)}}}]][br]駒ヶ林[br]{{{-2 (三国志のまち)}}}||<:>7.3||<:>|| ||<:>K10||<:>[[신나가타역|신나가타[br]{{{-2 (철인 28호 앞)}}}]][br]新長田[br]{{{-2 (鉄人28号前)}}}||<:>7.9||¶[[고베 시영 지하철]] [[파일:KBSub-SY.svg|width=17]][[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세이신·야마테선]](S09)[br]¶[[JR 서일본]] [[파일:JRW-A.svg|width=17]][[JR 고베선]](A65)|| == 기타 == *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카이간선 전용 1일 승차권(450엔)을 판매한 적이 있었다. * 2014년 여름, 카이간선으로 1km 미만 이동시 성인 110엔, 소아 60엔에 이용할 수 있는 '1키로 승차권'을 시범적으로 운영한 적이 있었다. * 중학생 이하라면 정기권 발매소에서 학기동안 카이간선을 무제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패스를 발급해주고 있다. 단, 신나가타역에서 세이신·야마테선으로 환승하려면 개찰구를 나간 후, 새로운 승차권을 끊어서 이용해야 한다. * [[효고현 남부 지진]] 20주기였던 2015년 1월 17일과 25주기였던 2020년 1월 17일에 히가시유원지로 추도하러 가는 시민들을 위해 신나가타에서 4시 30분에 출발하는 임시열차를 운행하였다. * [[춤추는 대수사선]] [[교섭인 마시타 마사요시]]에서는 도쿄 지하철로 등장한다. 테스트 차량이 납치당해 여러 번 충돌사고를 피해가고, 차량기지가 폭발하는 등의 장면이 많이 나온다. * [[호쿠신 급행전철]] 시절 키타카미 큐우코[* 현재 고베시 교통국 소속이며, 카이간선 개통과 동시에 발표된 유우쨩보다도 많이 쓰이고 있는 마스코트이다.]와 호쿠신터널을 소재로 한 노래를 발표한 半熟BLOOD가 카이간선 20주년 기념곡인 'ゆめゆめかもめ'(유메유메카모메)를 발표했다. [[분류:일본의 도시철도]][[분류:2001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