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베 시영 지하철 운행 노선)] ||<-2><)>[[고베 시영 지하철|[[파일:KBSub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margin-top: -3px;" [[고베시 교통국|{{{#ffffff {{{-2 고베시 교통국}}}}}}]][br][[고베 시영 지하철|{{{#ffffff 고베 시영 지하철}}}]]}}}|| ||<-2>{{{#!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KBSub-SY.svg|width=50]]||{{{#00a384 {{{+1 '''[ruby(西神・山手線, ruby=せいしん・やまてせん)]'''}}}[br]'''S'''eishin-Yamate Line[br]세이신·야마테선}}}||}}}|| ||<-2><:>[[파일:KobeTB-6000.jpg|width=100%]] ---- 고베시 교통국 6000형 전동차|| ||<-2><:>'''{{{#ffffff 노선도 (호쿠신선 포함)}}}'''|| ||<-2><:>{{{#!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HSY_Line_Vroutemap.png|width=100%]] }}}}}}|| ||<-2><:>'''{{{#ffffff 노선 정보}}}'''|| ||<:>'''분류'''||[[지하철]]|| ||<:>'''기점'''||[[신코베역]]|| ||<:>'''종점'''||[[세이신츄오역]]|| ||<:>'''역 수'''||16|| ||<:>'''노선 기호'''||{{{#00a384 {{{+1 '''S'''}}}}}}|| ||<:>'''구성 노선'''||야마테선, 세이신선, 세이신연장선|| ||<:>'''개통일'''||1977년 3월 13일|| ||<:>'''소유자'''||<|2>[[고베시 교통국|[[파일:KobeTB_logo.png|width=180]][br]{{{#009979 고베시 교통국}}}]]|| ||<:>'''운영자'''|| ||<:>'''사용차량'''||고베시 교통국 6000형 전동차|| ||<:>'''차량기지'''||묘다니 차량기지, 세이신 차고|| ||<-2><:>'''{{{#ffffff 노선 제원}}}'''|| ||<:>'''노선연장'''||22.7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철도의 선로 구성 방식#s-2|복선]]|| ||<:>'''사용전류'''||[[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차내신호방식|| ||<:>'''신호방식'''||CS-[[열차자동제어장치|ATC]], [[열차자동운전장치|ATO]]|| ||<:>'''최고속도'''||90km/h|| ||<:>'''지상구간'''||[[묘호지역(효고)|묘호지]]~[[세이신츄오역|세이신츄오]]|| ||<:>'''개통 연혁'''||1977. 3. 13. [[신나가타역|신나가타]] ↔ [[묘다니역|묘다니]][br]1983. 6. 17. [[오쿠라야마역(효고)|오쿠라야마]] ↔ [[신나가타역|신나가타]][br]1985. 6. 18. [[신코베역|신코베]] ↔ [[오쿠라야마역(효고)|오쿠라야마]], [[묘다니역|묘다니]] ↔ [[가쿠엔토시역|가쿠엔토시]][br]1987. 3. 18. [[가쿠엔토시역|가쿠엔토시]] ↔ [[세이신츄오역|세이신츄오]][br]1993. 3. 20. [[세이신미나미역|세이신미나미]]|| ||<:>[[파일:KBHSY_Line_linemap.png|width=100%]]|| ||<:>{{{#ffffff 실측지도 상의 세이신·야마테선 및 호쿠신선}}}|| ||<:>[youtube(IzLtWMC3Nic,width=100%,start=251)]|| ||<:>{{{#ffffff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br]{{{-2 (고베시 교통국 연선 NAVI[* 고베 지역의 철도 및 버스 연선의 정보 제공 사이트[[http://ktbsp.jp/|#]]] 공식 촬영)}}}}}}|| ||<:>[youtube(1p5nlUZuXwI,width=100%,start=251)]|| ||<:>{{{#ffffff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br]{{{-2 (고베시 교통국 연선 NAVI 공식 촬영)}}}}}}||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베시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고베 시영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3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신코베-신나가타는 야마테선, 신나가타-묘다니는 세이신선, 묘다니-세이신츄오는 세이신연장선이다. 하지만 일반인에게는 안내되지 않고 1개의 노선으로 취급한다. [[고베 시영 지하철 호쿠신선|호쿠신선]]과 직결운행한다. 1993년 7월부터는 쾌속열차가 운행을 시작했었다. 평일과 주말을 불문하고 10시대에서 16시대까지만 운영했으며, 정차역은 [[신코베역]]-[[산노미야역]]-[[묘다니역]]-[[세이신츄오역]]이라는 파격적인 수준의 정차역이었으며, 차량기지와 인접한 역인 관계로 쌍섬식 승강장이 갖춰져있는 묘다니역에서 완급결합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위험 요소 제거를 위해 통과역에서 상당히 낮은 속도로 통과했기 때문에 쾌속 열차의 신코베-세이신츄오 소요시간은 27분으로, 대피를 하지 않는 완행열차의 32분에 비해 고작 5분 빨랐다. 1995년 1월 17일 새벽에 일어난 [[효고현 남부 지진]]으로 노선 전체가 운영이 중단된 뒤, 복구 이후로도 운행하지 않으면서 그대로 폐지되어버렸다. 당시 고베시 교통국에서 급행 운행 재개에 대한 논의를 했지만, 급행을 운행하는 것보다 일반열차의 배차간격을 줄이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2014년 9월부터 모든 차량이 [[VVVF]] 인버터 제어방식 차량으로 운행하고 있다고 하며, 2017년 부터 신차로의 교체가 예정되어 있는데 2023년 하반기에 모든 차량들이 6000형으로 교체되었다.[[http://www3.nhk.or.jp/lnews/kobe/2025667781.html|#]] 물론 VVVF-IGBT 제어방식으로 개조된 1000형 후기형이나 2014년에 이제 갓 전기자 쵸퍼제어에서 VVVF-IGBT 제어방식으로 리뉴얼 하고 나온 2000형이라던가, 년식이 그리 오래되지 않은(1992~1994년 생산) 3000형 마저도 얄짤없이 신차로 교체되었으며, SiC 및 풀컬러 LED로 교체된 7000형[* 다른 차량과 다르게 한큐 특유의 인테리어가 적용되어 있는데, 2020년 5월까지 한큐한신토호그룹의 자회사였던 [[호쿠신 급행전철]]에서 가져온 차량이기 때문이다. 6월 초 호쿠신선의 시영화와 함께 고베시 교통국으로 전량 양도되었다.]도 교체되었다.[* 그런데 92~94년도 생산분이라면 2019년 현재 기준으로도 상당히 고령(?)에 속하는게, 내구연한제가 폐지된 한국에서도 90년대 초중반 연식의 전동차들(ex. 코레일 납작이, 중저항 최후기형, 신저항, 2호선 초퍼 후기형, 4호선 VVVF차, 5/7/8호선 1차분, 부산 1호선 IGBT 미개조차 등등...)은 대부분은 치환 대상이며, 이미 적지 않은 수가 정기운용에서 이탈하였음을 감안하면 사실상 대차시기가 도래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아울러 확정된 사항은 아니나, 심지어 [[대구도시철도공사]] 조차도 2022년도 이전 까지 안전진단후 1호선의 신차도입 여부를 검토한다는 답변을 한 적이 있다.] 오래전부터 세이신·야마테선을 [[한큐 고베 본선]]과 직통하려는 계획이 있었는데, 2017년 노선 직통을 공약으로 낸 시장이 재선에 성공하면서 직통 운전을 본격적으로 논의하게 되었다. 하지만, 2020년 3월, 고베시와 한큐 전철은 검토 결과, 직결 계획안의 투자 대비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혀 직통 논의는 최종적으로 보류되었다. 그 대신 2019년 [[호쿠신 급행전철]] 공영화에 대한 협의가 성사되었다. 고베시가 198억엔을 부담해 호쿠신선의 노선 및 차량 전체를 교통국에 넘기고[* 호쿠신 급행전철은 해산한다.], 호쿠신 급행전철의 부채를 한큐가 떠안는 방식이다. 호쿠신 급행전철이 한큐한신토호그룹의 큰 골칫덩어리였던 탓에, 호쿠신의 부채를 한큐가 떠안아서라도 고베시에 넘기려 한 것으로 보인다. 호쿠신 급행전철의 공영화로 운임이 대폭 인하되었으며, 선로 사용료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2019년 2월 중순부터, 신형 전동차 6000형이 운행을 개시했다. == 역 목록 == * 타니가미역을 제외한 각 역에 이미지테마가 적용되어있다. * 호쿠신선은 별개의 노선이나 사실상 한 노선으로 취급하므로 기재. * 전구간 [[효고현]] [[고베시]]내 소재. ||<-6><:>{{{#ffffff '''고베시 교통국 {{{-2 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 ||<:>{{{#ffffff 노선}}}||<:>{{{#ffffff 역번호}}}||<:>{{{#ffffff 역명}}}||<:>{{{#ffffff km}}}||<:>{{{#ffffff 환승노선}}}||<:>{{{#ffffff 소재지}}}|| ||<|2><:>[[고베 시영 지하철 호쿠신선|{{{#ffffff 호쿠[br]신선}}}]]||<:>S01||<:>[[타니가미역|타니가미]][br]谷上||<:>7.5||¶[[고베 전철]] [[파일:Shintetsu-KB.svg|width=17]][[신테츠 아리마선|아리마선]](KB10)||<:>[[키타구(고베)|키타구]]|| ||<|2><:>S02||<|2><:>[[신코베역|신코베[br]{{{-2 (코토노하코 고베 앞)}}}]][br]新神戸[br]{{{-2 (コトノハコ神戸前)}}}||<|2><:>0.0||<|2>¶[[JR 서일본]] [[파일:JRW-SKS.svg|width=17]][[산요 신칸센]][br]¶'''[[허브엔산로쿠역]]''' : {{{#af1b40 ●}}}[[고베 누노비키 로프웨이]]||<|5><:>[[주오구(고베)|주오구]]|| ||<|8><:>야[br]마[br]테[br]선|| ||<:>S03||<:>[[산노미야역|산노미야]][br]三宮||<:>1.3||¶'''[[산노미야·하나도케이마에역]]''' : [[고베 시영 지하철]] [[파일:KBSub-K.svg|width=17]][[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카이간선]](K01)[br]¶[[고베 신교통]] [[파일:Port-Island Line.png|width=17]][[포트 아일랜드선]](P01)[br]¶[[JR 서일본]] [[파일:JRW-A.svg|width=17]][[JR 고베선]](A61)[br]¶'''[[고베산노미야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 본선|본선]](HS32)[br]¶'''[[고베산노미야역]]''' : [[한큐 전철]] [[파일:HK-blue.svg|width=17]][[한큐 고베 본선|고베 본선]]·[[한큐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HK16)|| ||<:>S04||<:>[[겐초마에역(효고)|겐초마에]][br]県庁前||<:>2.2||<:>|| ||<:>S05||<:>[[오쿠라야마역(효고)|오쿠라야마]][br]大倉山||<:>3.3||<:>|| ||<:>S06||<:>[[미나토가와코엔역|미나토가와코엔]][br]湊川公園||<:>4.3||¶'''[[미나토가와역]]''' : [[고베 전철]] [[파일:Shintetsu-KB.svg|width=17]][[신테츠 아리마선|아리마선]]·[[신테츠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KB02)||<|2><:>[[효고구]]|| ||<:>S07||<:>[[카미사와역(효고)|카미사와]][br]上沢||<:>5.3||<:>|| ||<:>S08||<:>[[나가타역(고베 시영 지하철)|나가타 (나가타진자마에)]][br]長田(長田神社前)||<:>6.1||¶'''[[고소쿠나가타역]]''' : [[한신 전기철도]] [[파일:Hanshin-HS.svg|width=17]][[한신 고베 고속선|고베 고속선]](HS38)||<|3><:>[[나가타구]]|| ||<|2><:>S09||<|2><:>[[신나가타역|신나가타[br]{{{-2 (철인 28호 앞)}}}]][br]新長田[br]{{{-2 (鉄人28号前)}}}||<|2><:>7.6||<|2>¶[[고베 시영 지하철]] [[파일:KBSub-K.svg|width=17]][[고베 시영 지하철 카이간선|카이간선]](K10)[br]¶[[JR 서일본]] [[파일:JRW-A.svg|width=17]][[JR 고베선]](A65)|| ||<|4><:>세[br]이[br]신[br]선|| ||<:>S10||<:>[[이타야도역|이타야도]][br]板宿||<:>8.8||¶[[산요 전기철도]] [[파일:SER_SY_logo.png|width=17]][[산요 전기철도 본선|본선]](SY02)||<|5><:>[[스마구]]|| ||<:>S11||<:>[[묘호지역(효고)|묘호지]][br]妙法寺||<:>11.7||<:>|| ||<|2><:>S12||<|2><:>[[묘다니역|묘다니[br]{{{-2 (스마 파티오 앞)}}}]][br]名谷[br]{{{-2 (須磨パティオ前)}}}||<|2><:>13.3||<|2><:>|| ||<|6><:>세[br]이[br]신[br]연[br]장[br]선|| ||<:>S13||<:>[[소고운도코엔역|소고운도코엔]][br]総合運動公園||<:>15.1||<:>|| ||<:>S14||<:>[[가쿠엔토시역|가쿠엔토시]][br]学園都市||<:>16.8||<:>||<|4><:>[[니시구(고베)|니시구]]|| ||<:>S15||<:>[[이카와다니역|이카와다니[br]{{{-2 (오치아이 안과의원 앞)}}}]][br]伊川谷[br]{{{-2 (落合眼科医院前)}}}||<:>18.4||<:>|| ||<:>S16||<:>[[세이신미나미역|세이신미나미[br]{{{-2 (나데시코 레이디스 호스피탈 앞)}}}]][br]西神南[br]{{{-2 (なでしこレディースホスピタル前)}}}||<:>20.1||<:>|| ||<:>S17||<:>[[세이신츄오역|세이신츄오]][br]西神中央||<:>22.7||<:>|| == 기타 == 세이신·야마테선 중 야마테선은 [[JR 동일본]]에서 운행하는 [[야마노테선]](山手線)과 한자가 동일하지만 두 지역이 워낙 멀어서 혼동하는 사람은 적다.[* [[야마노테선]]은 [[도쿄]] 중심부를 운행하는 [[순환선]]이다.] 평일에만 운행되는 산노미야역 발 세이신츄오역행 막차는 0시 34분에 출발하여 세이신츄오역에 1시 5분에 도착한다. 지하철치고는 막차가 꽤 늦게까지 있는 편인데, 오사카역에서 자정에 출발하는 신쾌속 열차와 환승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열차는 0시 22분 경 산노미야역에 도착한다.] [[효고현 남부 지진]] 20주기였던 2015년 1월 17일과 25주기였던 2020년 1월 17일에 히가시유원지 추도객을 위해 4시 15분에 출발하는 세이신츄오 발 임시열차를 운행하였다. 1993년 7월 9일부터 [[효고현 남부 지진]] 직전까지 쾌속열차가 운행했었다. 10시부터 16시까지 30분 간격으로 운행했으며, 정차역은 세이신츄오, 묘다니, 신나가타, 산노미야, 신코베역이었다. 쾌속열차의 전 구간 운행 시간은 27분으로 보통열차보다 6분 빨랐다. 쾌속열차는 [[효고현 남부 지진]] 후 운휴하다가 그대로 폐지되었다. 쾌속열차 부활을 원하는 목소리가 있었으나, 교통국은 대피선로가 설치된 역이 묘다니역 단 한 곳이라는 점, 쾌속열차 통과역에서의 인신사고 우려, 쾌속열차가 정차하지 않는 역의 배차간격 문제가 있어 쾌속열차 부활은 없을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신코베,타니가미 방향은 열차 진행방향 맨 앞쪽, 세이신츄오방향은 열차 진행방향 맨 뒤쪽이 가장 혼잡하다. 산노미야역의 출구가 플랫홈 양 끝쪽에 있는데, 산노미야 중심가 및 타 노선으로의 환승을 하려면 산노미야역 신코베방향이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6000계 차량은 궤간 차이로 인해 을종회송으로 묘다니 차량기지까지 운송되었다. 통행량이 적은 심야시간대에 운송하였으며, 차후 반입될 차량도 모두 트레일러로 운송될 예정이다. [[한큐 고베 본선]]과 직통하여 세이신 지구에서 오사카까지 직통열차를 운행할 계획이 있었으나 막대한 사업비 때문에 계속 미뤄지다가 결국 백지화되었다. [[분류:일본의 도시철도]][[분류:1977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고베 시영 지하철 세이신·야마테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