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판 파워레인저 고버스터즈에서의 고버스터킹, rd1=고버스터오)] [include(틀: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주역 메카)] ||<-3> [[파일:attachment/gbking.jpg|width=300]] || ||<|3> '''명칭''' || 원작 || ゴーバスターキング[br]GO-BUSTER KING[br]고버스터킹 || || 한국판 || 고버스터 얼티밋[* 왜 이 이름으로 개명되었냐면 국내판에서는 [[고버스터오]]가 이미 고버스터 킹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기 때문이다.] || || [[파워레인저 비스트모퍼|북미판]] || Beast-X King Ultrazord[br]비스트 X 킹 울트라조드 || ||<-3> || || '''전체 높이''' ||<-2> 82.6m || || '''중량''' ||<-2> 7200t || || '''전체 폭''' ||<-2> 50.1m || || '''스피드''' ||<-2> 650km/h || || '''흉부''' ||<-2> 56.36m || || '''파워''' ||<-2> 2700만 마력 || || '''형태''' ||<-2> 궁극 합체 || || '''코어 버스터 머신''' ||<-2> {{{#navy,#7f7fff LT-06 타테가미 라이오}}} || || '''강화''' ||<-2> {{{#blue GT-02 고릴라}}}[br]{{{#ffd400 RH-03 래빗}}}[br]{{{#goldenrod BC-04 비틀}}}[br]{{{#silver SJ-05 스태그비틀}}} || || '''합체(변형)''' ||<-2> 고버스터킹 || [목차] == 개요 == >'''"고버스터킹! 간, 간, 가기이이이인!"''' >'''"고버스터 얼티밋! 철컹 철컹 합~체~!"'''[* [[고버스터 라이오]]와는 장음의 차이가 있다.] [[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의 [[궁극 합체]] 2호 메카. [[고버스터 라이오]]가 [[버스터 헤라클레스]]와 합체한 [[메가조드]]형태. [[그레이트 고버스터]]와는 달리 출격한 상태에서 합체한다. 동물전대 세계에서는 '''고버스터 퍼펙트 애니멀'''로 부른다. == 설명 == 38화에 등장. 류우지의 주도 하에 진과 같이 라이오 어태시의 정보를 해석해서 알아낸 새로운 합체로서 [[LT-06 타테가미 라이오|타테가미 라이오]], [[GT-02 고릴라|고릴라]], [[RH-03 래빗|래빗]], [[BC-04 비틀|비틀]], [[SJ-05 스태그비틀|스태그비틀]] 5대의 버스터 머신이 합체 한 초거대 메가조드. [* 고버스터즈의 메카 중 가장 크며, 메타로이드 중 가장 큰 돔로이드보다 1.6m 더 크다.] 합체 구성은 에이스 대신 라이오를 중심으로 고릴라, 래빗, 비틀, 스태그비틀을 휘감아 합체한다. 다만 그레이트 고버스터와 달리 래빗의 머리 파츠와 그레이트 고버스터의 가슴 파츠에 오는 부분이 모두 등으로 간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이 부분을 제외한 기본적인 합체 시퀀스는 그레이트 고버스터와 동일하다. 라이오 어태시에서 '''"고버스터킹! 간, 간, 가기이이이인!"'''의 음성과 함께 합체 시작. 합체 완료 후 고버스터즈가 '''"고버스터킹! Ready Go!"'''라는 구호를 외치며 전투 시작. 합체기구는 [[고버스터 라이오]]와 마찬가지로 원래 타테가미 라이오 디자인에 포함, 돔로이드에 갇힌 [[고버스터 에이스]]를 구하기 위해 류우지와 진이 서둘러 분석 한 후 급히 수행되었다. 첫 합체 시 라이오에는 진이 타고 히로무를 제외한 4명이 조종했다. 류우지는 '''고버스터킹은 파워에 특화한 형태지만 민첩함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레이트 고버스터가 가능한 유사 아공간 전투 역시 불가능하다. 극장판에 처음 등장한 메카가 아님에도 극 중 등장한 횟수는 달랑 '''3회'''로 비중이 타 메카에 비해 매우 적은 편이다.[* [[패왕 게키아츠다이오]]도 같은 신세.]~~오오아바렌오보단 취급이 그나마 좋은건가~~ === 무장 및 필살기 === * 주 무장 - '''버스터 랜서''' : [[그레이트 고버스터]]가 사용한 동형의 무기. - '''스태그 런처''' : [[그레이트 고버스터]]가 사용한 동형의 무기. * 통상기 - '''트윈 블레이드 슬래시''' : 양팔에 장비한 [[SJ-05 스태그비틀|스태그비틀]]의 가위로 적을 베는 기술. - '''라이온 허리케인''' : 가슴의 라이온 입에서 발사하는 열풍. * 필살기 - '''이미션 브레이크''' : 버스터 랜서에 에네트론을 충전한 후, 격렬한 연속베기로 적을 격파하는 필살기. == 작중 활약 == 38화에 첫 등장. 류지가 타테가미 라이오를 해석해 알아낸 새로운 힘으로 에이스가 돔로이드에 의해 갇혀있는 상태에서 진이 타테가미 라이오를 조종. 이후 5대가 합체해 처음으로 등장했다. 버스터 랜스로 돔로이드[* 에이스가 갇혀있는 돔 자체가 돔로이드였다.]를 공격해 에이스를 해방시키고, 나오자마자 돔조드 감마와 돔조드 델타를 관광태웠다. 이후 돔로이드의 공격에도 끄떡없이 이미션 브레이크로 돔로이드를 셧다운했다. 44화에선 메사이어 리부트에게 이미션 브레이크를 썼으나 오히려 역공당하여 대파된다. 그럼에도 스태그 비틀의 가위로 메사이어 리부트의 공격을 막아내며 접근한 뒤 합체를 해제하여 고버스터 라이오로 특공을 가한다. 48화에서는 류지가 타테가미 라이오를 조종한다.[* '아무리 적이라고 해도 에스케이프가 혼자 슬픈 싸움을 하게 내버려둘 수는 없다'며 동료들에게 라이오의 조종권을 넘겨달라 부탁했다. 류지가 유일하게 합체된 메카의 메인 파일럿으로 활약하는 회차.] 거대화한 [[이스케이프(특명전대 고버스터즈)|이스케이프]]를 이미션 브레이크로 리타이어시켰다. == [[완구]] == === DX === 키가 제법 커졌지만 그나마 안정적이였던 [[고버스터 라이오]]나 [[그레이트 고버스터]]에 비해 추가부품이 죄다 뒤쪽으로 몰려간 형태라 완구로 합체시켜 놓고 보면 균형이 뒤쪽으로 쏠려서 상당히 위태위태한 편이다. 그레이트 고버스터와 비교하면 차라리 그레이트 고버스터가 더 나아보일 지경. 그래도 [[토큐 레인보우]]보다는 낫다. == 기타 == 사실 "오"는 일본어로, "킹"은 영어로 둘다 "왕"을 뜻하기 때문에 [[고버스터오]]랑 뜻이 똑같다(...).[* 여기서 오버타임이라는 슈퍼전대 영어자막팀이 고버스터오를 미리 고버스터킹이라고 불러버렸다. 결국 고버스터킹을 고버스터오라고 부르긴 했다.] [[고버스터 에이스]]가 합체하지 않지만, 무기에 고버스터 에이스의 칼이 있다. 이는 기지 내에서 에이스가 검을 사용하다가 버그러스 측 메가조드에 의해 파괴되거나 분실될 시 여분을 마음껏 전송시키도록 되어있는 양산형이라서 그런 것. 반대로 검이 없어진 에이스는 고버스터킹 합체시 잉여파츠인 라이온서 건을 대신 무장해 사용한다.[* 완구 설명에선 라이온서 건을 에이스에게 들려주라고 되어있지만 막상 본편에선 에이스는 칼을 하나 더 전송받아서 쓰고 라이온서 건을 쓰지 않았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그레이트 합체 메카)] [[분류:특명전대 고버스터즈/메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