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백실행위원회)]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의 미디어 믹스를 정리한 문서. 이 시리즈가 인기를 끌면서 미디어 믹스의 활동도 활발하다. 소설과 음반에 이어 2016년 4월 23일엔 극장판 1탄이 개봉되었으며, 2016년 12월 17일에 그 2탄이 개봉 예정. 그리고 2016년 8월 5일에는 대만에서 극장판 1탄이 자막판으로 개봉한다. 최초의 해외개봉. 이후 2016년 9월 29일 한국에서도 개봉된다. == 소설 == || '''{{{#ffffff 01권}}}''' || '''{{{#ffffff 02권}}}''' || '''{{{#ffffff 03권}}}''' || || [[파일:고백 예행연습 1.jpg|width=100%]] || [[파일:고백 예행연습 2.jpg|width=100%]] || [[파일:고백 예행연습 3.jpg|width=100%]] || || [[고백 예행연습|'''{{{#ffffff 고백 예행연습}}}''']]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질투의 대답|'''{{{#ffffff 질투의 대답}}}''']]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첫사랑의 그림책|'''{{{#ffffff 첫사랑의 그림책}}}''']]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4년 02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10월 2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4년 06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5년 11월 1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4년 11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1월 10일}}}''' || || '''{{{#ffffff 04권}}}''' || '''{{{#ffffff 05권}}}''' || '''{{{#ffffff 06권}}}''' || || [[파일:고백 예행연습 4.jpg|width=100%]] || [[파일:고백 예행연습 5.jpg|width=100%]] || [[파일:고백 예행연습 6.jpg|width=100%]] ||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지금 좋아하게 돼.|'''{{{#ffffff 지금 좋아하게 돼.}}}''']]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사랑색으로 피어나|'''{{{#ffffff 사랑색으로 피어나}}}''']] || '''{{{#ffffff 고백 예행연습}}}''' [[금요일의 아침인사|'''{{{#ffffff 금요일의 아침인사}}}''']]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5년 07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6년 05월 1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6년 04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1월 10일}}}'''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6년 10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7년 07월 10일}}}''' || || '''{{{#ffffff 07권}}}''' || '''{{{#ffffff 08권}}}''' || '''{{{#ffffff 09권}}}''' || || [[파일:고백예행연습7.jpg|width=100%]] || [[파일:고백예행연습8.jpg|width=100%]] || [[파일:고백예행연습9.jpg|width=100%]] || || '''{{{#ffffff 고백 예행연습}}}''' [[하트의 주장|'''{{{#ffffff 하트의 주장}}}''']]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짓궂은 만남|'''{{{#ffffff 짓궂은 만남}}}''']] || '''{{{#ffffff 고백 예행연습}}}''' [[내가 이름을 부른 날|'''{{{#ffffff 내가 이름을 부른 날}}}''']]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7년 10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7년 11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8년 10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ffffff 10권}}}''' || '''{{{#ffffff 11권}}}''' || '''{{{#ffffff 12권}}}''' || || [[파일:321902000807.jpg|width=100%]] || [[파일:고백예행연습11.jpg|width=100%]] || [[파일:고백예행연습12.jpg|width=100%]] ||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정말 싫었을 터였어|'''{{{#ffffff 정말 싫었을 터였어}}}''']] || '''{{{#ffffff 고백 예행연습}}}''' [[논 판타지|'''{{{#ffffff 논 판타지}}}''']] || '''{{{#ffffff 고백 예행연습}}}''' [[히로인 육성계획|'''{{{#ffffff 히로인 육성계획}}}''']]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9년 6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19년 12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20년 01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ffffff 13권}}}''' || '''{{{#ffffff 14권}}}''' || '''{{{#ffffff 15권}}}''' || || [[파일:고백예행연습13.jpg|width=100%]] || [[파일:고실위로미오.jpg|width=100%]] || [[파일:고백예행연습15.jpg|width=100%]] || || '''{{{#ffffff 고백 예행연습}}}''' [[도쿄 서머 세션|'''{{{#ffffff 도쿄 서머 세션 }}}''']] || '''{{{#ffffff 고백실행위원회 아이돌 시리즈}}}''' [[로미오(HoneyWorks)|'''{{{#ffffff 로미오}}}''']] || '''{{{#ffffff 고백 예행연습}}}''' [[소녀들이여.|'''{{{#ffffff 소녀들이여.}}}''']]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20년 9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20년 12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21년 12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ffffff 16권}}}''' || '''{{{#ffffff 17권}}}''' || '''{{{#ffffff 18권}}}''' || || [[파일:고백예행연습16.jpg|width=100%]] || [[]] || [[]] || || '''{{{#ffffff 고백실행위원회 판타지아}}}''' [[LOVE&KISS|'''{{{#ffffff LOVE&KISS }}}''']] || '''{{{#ffffff }}}''' [[|'''{{{#ffffff }}}''']] || '''{{{#ffffff }}}''' [[|'''{{{#ffffff }}}''']]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2022년 11월 01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미정[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823c22 미정[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미정}}}''' || * [[https://promo.kadokawa.co.jp/kokuhakuyokorenshu/|고백 예행연습 시리즈 페이지]] === 내용 === 소설판은 여성향 라이트 노벨 레이블인 [[카도카와 빈즈 문고]]에서 출판되고 있으며 '고백 예행연습' 시리즈라는 이름으로 발매되고 있다. 저자는 후지타니 토우코와 코사카 마리.[* 5권 사랑색으로 피어나와 극장판 소설 단행본의 서술을 맡았다.] 소설의 일러스트는 [[야마코]]가 맡고 있다. 현재 소설판 시리즈가 여성향 라이트 노벨 분야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한국 뿐만 아니라 대만에서도 출간됐는데, 5편인 [[사랑색으로 피어나]]까지 출간되었다. 작가가 원작과 달라서인지는 몰라도, 이 때문에 원작과는 괴리가 있는 모습이 상당히 많다. 주인공들의 성격이 HoneyWorks의 원작과 다른 모습을 보이는 장면들이 심심치 않게 나온다. 소설에서의 모습은 각 인물의 문서 참고. 여담으로 가끔가다 보면 원작이랑 소설판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DVD에선 히나가 미오를 '미오 짱'이라 부르는데 소설에선 '미오 상'이라 부른다던가. 소설 [[고백 예행연습]]의 인트로의 화자는 성인이 된 아이다 미오이며 질투의 대답은 세리자와 하루키다.[*스포일러 미오가 고등학교 졸업 후 7년이 흐른 뒤에 사쿠라가오카 고등학교의 교사로 근무하면서 졸업 앨범을 보면서 회상하는 것으로 독백이 끝나면서 고백 예행연습의 나츠키와 유우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는 [[질투의 대답]]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루키의 독백이 끝나고 아카리와 모치타의 이야기가 시작.] 지금 좋아하게 돼.와 사랑색으로 피어나의 화자는 아야세 코유키. 4편 [[지금 좋아하게 돼.]]는 아무래도 1학년인 [[세토구치 히나]]나 다른 주인공들과 접점이 별로 없는 [[아야세 코유키]]가 등장하다 보니 이전의 세 편과는 조금 다른 시각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며, 오리지널 캐릭터들도 등장한다. [[나루미 세나]]와 [[타카미자와 아리사]], [[시바사키 켄]]과 야마모토 코우다이가 소설판에서는 처음으로 등장하며, 세토구치 히나의 친구 코가네이 카코[* 오리지널 캐릭터 중에 유일하게 야마코의 이미지가 존재. 학생회 임원으로, 생긴게 미묘하게 [[하야사카 아카리]]를 닮았지만, 이쪽은 머리카락이 밝은 색에 가깝다.]라던가, 코유키가 부장을 맡고 있는 원예부의 2학년 신입 부원들도 등장한다. 고백 예행연습 제5편 [[사랑색으로 피어나]]의 저자는 후지타니 토우코와 코사카 마리. 지금까지 나온 고백 예행연습 시리즈 중 유일하게 저자가 두 명이다. 내용 중에 [[병명 상사병]]의 내용도 나오는데, 원곡과 달리 [[고백 예행연습]] 이후에 커플이 된 나츠키와 유우의 이야기를 다룬다. 병명 상사병이 고백 예행연습보다 나중에 투고되어 그렇게 된 듯. 1편부터 5편까지는 결과적으로 배경상 메인 캐릭터 6인의 고등학교 3학년 여름부터 늦가을까지의, 그리고 그 후에 졸업식 전후의 약 4~5개월을 다루고 있으며, 각 권별로 같은 사건을 서로 다른 인물들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PV나 DVD 애니에서는 볼 수 없었던 세세한 설정이나 등장인물들의 심리, 그리고 특히 대인관계에 있어 새로운 모습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토구치 유우]]를 신랄하게 공격하는 [[모치타]]라던가, [[아야세 코유키]]와 [[에노모토 나츠키]]의 데이트, 대담하게 대시하는 코유키, 그리고 유우를 도발하며 사실상 싸움을 거는 코유키의 모습, [[세리자와 하루키]]를 거세게 질투하다 눈물을 보이는 유우의 모습 등은 이전의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것들이다. 특히, PV에서는 잠깐 스쳐가는 고백까지의 과정을 자세하게 묘사한다. 소설판에서는 기존에 없던 설정들이 추가되고 새롭게 들어간 이야기들도 있다. 대표적으로는 소설판 오리지널 캐릭터인 코가네이 카코의 이야기와, [[세토구치 히나]]가 [[아야세 코유키]]에게 고백하고 난 후 원예부에 들어가는 이야기. ==== 비판 ==== 하지만 일반적으로 라이트 노벨 뿐만 아니라 소설이라는 장르는 시간의 전개에 따라 이야기가 전개되는 게 원칙이다. 그런데 위에서 이야기했듯 고백실행위원회의 소설판은 동일한 시간대의 이야기를 서로 다른 등장인물들의 서로 다른 시각에서 바라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취하지 않는 방식인데, 이 때문에 소설간의 내용이 중첩되기도 하고 핀트가 어긋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스토리 전개상으로는 아쉬운 면들이 있는데, 가장 큰 문제는 '''집중이 되지 않는다는 것.''' 서로 다른 인물들의 시각에서 조명한다는 건 좋았지만 그 때문에 사건의 시점이 중첩되어 버렸으며, 결국 전체적으로 이야기가 산만해졌다는 문제가 발생했다. 잦은 시점 변경으로 인해 챕터마다 주인공이 달라져 집중을 방해한 부분도 있었다. 원작에 없던 여러가지 설정이나 이야기를 추가한다는 시도는 좋았지만 이 점들이 오히려 전체적인 스토리 전개를 산만하게 만들어 버렸다. 여러가지 이야기를 펼쳤으면 끝을 내야 하는데 그 이야기를 결론으로 이끌어내는데도 부족한 모습 또한 드러냈다. 이른바 작은 사건들이나 스토리를 툭툭 던져놓고 회수를 하지 않는다는 것. 즉 등장인물들의 고백이라는 큰 줄기는 있지만, 그것이 중간 중간 뚝뚝 끊기면서 옴니버스 식으로 진행되는 모습이 전체적으로 드러난다. 여기서 A라는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C로 넘어가는 식으로. 필요 이상의 묘사나 문장은 덤. 한국 정발판의 경우는 문장의 호흡이 길지 않아 뚝뚝 끊기는 모습이 더욱 두드러진다. 등장인물들의 감정 묘사도 충분치 않은 문제점 또한 있다. 대표적으로는 [[하야사카 아카리]]가 [[에노모토 나츠키]]에게 고백하라며 밀어붙이는 장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보려는 의욕이 과했는지 메인 캐릭터 6명의 세 쌍의 커플 말고도 하루키-나츠키, 하루키-아카리간의 미묘한 감정 묘사가 드러나는데 실제로 이루어지면 아침 드라마(...)급이다. 때로는 '왜 이렇게 행동하지?'라고 보일 정도로 급전개해서 이성적인 모습이 아닌 감정에 휘둘리는 모습 또한 드러나기도 한다. 또 등장인물들이 원작 이상으로 지나치게 망설이는 모습을 보이는 것도 이른바 발암전개를 만드는 이유 중 하나로 손꼽힌다. 전체적으로 스토리를 정해놓고 움직이는 시리즈가 아니다 보니 중간 중간 설정이 변경되기도 하고 이야기가 추가되기도 하며, 원작과 설정이 충돌하는 부분들도 있다. 하지만 작가가 다르다지만 소설판의 이야기가 시리즈의 전체적인 뼈대를 만들고 원작인 HoneyWorks에게도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대표적으로는 [[세토구치 히나]]가 고백에 실패한 후 원예부에 들어간 이야기. [[꽃에 붉은 실]]의 배경이 이 스토리를 취했다.] 소설판의 이러한 문제점들이 주는 아쉬움이 크다. 게다가 극장판 애니메이션이 이 소설들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소설판의 전개 또한 그다지 좋은 편이 아닌데 여기서 이야기를 취사선택해 골라낸 다음,[* 나츠키가 만화 초고를 준비하는 장면은 애니에서는 분량상 삭제됐다.] 오리지널 스토리까지 넣어버려 소설판과 똑같은 각본상의 문제점이 드러나 버렸다. 자세한 것은 [[예전부터 계속 좋아했어 ~고백실행위원회~|항목 참조]]. === 한국 정발판 === 한국어판은 [[L노벨]]에서 제목은 '''고백 예행연습'''으로 발매, 출간 중이며 역자는 정효진이다.번역은 전체적으로 나쁘진 않지만 [[아야세 코유키|존댓말 캐릭터]]나 서로에게 존댓말을 사용하는 캐릭터들이 전부 반말을 사용하고 인물 간의 관계를 짐작하게 도와주는 호칭을 전부 성 혹은 이름으로 통일해버렸으며[* 예시를 하나 들자면 모치타와 아카리가 대화할 때 '''하야사카 상'''과 '''모치즈키 군'''이 아닌 '''하야사카''', '''모치즈키'''라고 부른다.][* 다만 엄연한 한국 '''정발본'''이니 문법에 맞게 하기위해 일부러 바꾼 걸 수도 있다. 한국에선 동갑내기 친구에게 존댓말을 쓰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 내용 곳곳에 오탈자가 보인다.[* 심지어 등장인물의 이름까지 오타를 낼 때도 있다. 질투의 대답에선 커버에서 모치즈키 소우타를 '모지츠키'로, 4편 '지금 좋아하게 돼'에서는 에노모토 코타로를 '코우타'라고 오타를 냈다. 이 예시 말고도 자주 발견된다.] 그리고 책 뒷부분에 HoneyWorks의 프로듀서 고무를 '곰'이라고 하거나, 일러스트레이터 로코루를 '루코루'[* 4권에서 로코루로 수정되었다.]라고 하는 등 약간 아쉬운 부분들도 존재한다. L노벨의 한국어판에서는 초판 한정으로 일러스트 카드(책갈피)와[* 다만 일러스트 카드는 홍보 내용에 따로 적혀있지는 않는다.] 캐릭터 종이 POP[* 탁상에 세워놓을 수 있는 일러스트 카드]를 주고 있다. 캐릭터의 이름을 번역할 때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보통 장음(う)은 적지 않는데, 고백실행위원회 소설 정발판은 장음까지 번역되었다. 아마 이미 널리 퍼져있는 캐릭터 이름의 번역명이 장음까지 모조리 해석한 것이라 그런 듯. 원래 문서가 있던 리그베다 위키와 나무위키에서도 오래전부터 장음까지 해석된 이름을 사용하고 있었다. 5편 사랑색으로 피어나에선 [[병명 상사병]]과 [[나머지 선생님]], 삼각 젤러시(질투)를 각각 병명은 상사병(정발 버전은 병명은 사랑고민), 홀로 남은 선생님, 삼각 질투로 번역했다. 셋 다 나무위키에서 쓰이는 것과는 비슷하면서도 안 쓰인다(...) 특히 나머지 선생님의 경우에는 イノコリ(이노코리)가 나머지 수업, 보충 수업 등을 뜻하기도 하고, 홀로 남겨졌다는 의미로도 해석되는데 둘의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는 '나머지'를 쓰지 않고 '홀로 남은'이라고 번역한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즉, 중의적 표현을 살리지 못했다. [[나머지 선생님]]의 노래 가사 중에선 イノコリ가 나머지 수업을 뜻하기도 하니 원곡의 가사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번역한 폐해라고 볼 수 있다. === 극장판 소설 === || [[파일:external/26b9a7d70ed20078efcca953376d81f7c58d459ab2fdaeff841cc190fe5f6eca.jpg|width=300]] ||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zJ3A3fWKL._AA324_PIkin4,BottomRight,-57,22_AA346_SH20_OU09_.jpg|width=464]] || || '''일반판''' || '''[[아마존 킨들 시리즈]] e-book판''' || ||<-2>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4월 5일''' || ||<-2> [[http://www.tsubasabunko.jp/special/sp1604-a.php|특설 페이지]] || || [[파일:external/7f3514357d8126c0531930eb5247305cddc1e2d49d0d442c40e2a9512b75f3e9.jpg|width=3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6년 12월 5일''' || || [[http://www.tsubasabunko.jp/special/sp1612-a.php|특설 페이지]] || 2016년 4월 5일, 극장판 애니메이션인 [[예전부터 계속 좋아했어 ~고백실행위원회~]]의 내용을 담은 소설이 단행본과 [[아마존 킨들 시리즈]] 전자책으로 출시되었다. 일반 단행본은 [[KADOKAWA]] 츠바사 문고에서 발매하였고, 킨들 판은 아마존 재팬에서 발매. 제작은 코사카 마리. 190페이지로 출시되었으며 전자책의 용량은 12MB정도. 고백 예행연습 시리즈와는 달리 삽화는 로코루와 [[모게랏타]]가 담당하였다. 야마코는 책 표지 한정. 또, 삽화가 보통 라노벨 사이즈보다 작다. 본문 중간중간에 1/4크기로 아담하게 나온다. 아동을 위한 서적이다보니 한자 옆에 히라가나가 쓰여있다. 이후 2016년 12월 5일 극장판 애니메이션 [[좋아하게 되는 그 순간을 ~고백실행위원회~]]를 서술한 단행본이 아마존 킨틀 시리즈 전자책과 함께 출시되었다. 다른 기타 사항은 동일한 출판사인만큼 [[즛스키]] 단행본과 다를 바 없지만 이번엔 표지가 야마코의 일러스트가 아닌 후지이 마키의 제1차 키 비주얼이다. 극장 애니메이션의 내용이 담긴 소설이라 그런지 원래의 소설판과 다른 부분이 있다. 서술 방식부터 다른 편이고[* 시점이 바뀔 때마다 나, 이름.(예시: 나, 에노모토 나츠키.)으로 시작된다.] 내용 자체도 조금씩 다르다. 비교하면서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파일:external/cdn2.ettoday.net/d2281985.jpg]] 대만에서도 5권까지 번역되어 출간되었다. 극장판 2탄인 [[좋아하게 되는 그 순간을 ~고백실행위원회~]]가 개봉하면서 프로모션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음반|음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음반)] == 만화 & DVD 디지털 코믹 == [[파일:external/pbs.twimg.com/BQk9CGUCQAAHysa.png]] 현재까지 만화책으로는 일러스트레이터 [[야마코]]가 그린 고백 예행연습 0권과 고백실행위원회 1탄 극장판의 특전 [[예전부터 계속 좋아했어 ~고백실행위원회~]] 프롤로그 코믹 외에는 앨범들의 초회 한정판에 수록된 DVD 코믹 영상과 70~120페이지 분량의 만화책 정도이다. 만화책으로 정식으로 발매된 적은 없다는 것. 고백 예행연습 0권은 야마코가 코미케 한정으로 배부한 만화책으로, 내용은 정규 1집 DVD 코믹의 앞부분이다. 각 앨범의 DVD 코믹은 초판 한정판에만 수록되어 있다만 물량이 아직 남아있기 때문에 구입 가능하다. DVD 코믹이 어떤 느낌인지 알고 싶다면 HoneyWorks에서 앨범 홍보를 위해 앞 내용만 니코동에 선공개한 DVD를 보자. ([[http://www.nicovideo.jp/watch/sm22441261|1집]], [[http://www.nicovideo.jp/watch/sm24753926|2집]], [[http://www.nicovideo.jp/watch/sm26565860|3집]]) 각각 순서대로 9분 49초, 20분 12초, 18분 54초까지 시청 가능하다. 뒷부분을 잘라냈지만 거의 2/3 정도의 분량이 공개되어있다. == 일러스트집 == '''HoneyCollection''' 이라는 이름으로 2014년부터 일러스트레이터 [[야마코]]가 일러스트집을 내고 있다. 그 동안 투고한 곡의 PV 일러스트의 러프 이미지나 제작 과정, 캐릭터의 시안[* 공개 전의 등장인물을 어떻게 표현할지 그려본 예시 디자인들], 그리고 일러스트집 특전 이미지 등이 들어있다. 그리고 일러스트집의 특전 이미지에는 동화에서 모티프를 따온 이미지들도 들어가 있다. 일러스트집은 연말에 열리는 겨울 코믹마켓에서 공개되고, 이 때 보통 우타이테 앨범이나 한정 앨범이 같이 발매된다. 세 번째 일러스트집인 HoneyCollection Vol.03은 여름 코미케에서 발매될 예정. [[파일:external/s1.tsuki-board.net/276613.jpg|width=400]] [[파일:external/pbs.twimg.com/B5wkTztCUAAwEK9.jpg|width=400]] 2014년 12월 30일 발매된 HoneyCollection Vol.01은 [[세리자와 하루키]]와 [[아이다 미오]]가 주인공이다. 동화의 모티프는 빨강망토 소녀와 늑대. 일러스트집이지만 컷만화도 나온다. 가벼운 느낌의 컷만화다보니 개그인게 특징. 여기서 살짝 하마나카 미도리와 세리자와 하루키의 관계가 나온다. 이 때 같이 발매된 음반이 '''하니와곡 불러보았다5 (ハニワ曲歌ってみた5)'''. [[HoneyWorks/음반]] 참조. [[파일:external/static.zerochan.net/Kokuhaku.Jikkou.Iinkai.~Renai.Series~.full.1953269.jpg|width=400]] [[파일:external/pbs.twimg.com/CW-ni3gUkAENUKJ.jpg|width=400]] 2015년 12월 31일 발매된 HoneyCollection Vol.02는 [[세토구치 유우]]와 [[에노모토 나츠키]]가 주인공이다. 동화의 모티프는 신데렐라와 왕자님. 특전에는 만두를 먹는 치파오를 입은 나츠키와 볼에 키스마크가 그려진 유우 이미지 등이 들어있다. 같이 발매된 음반은 '''내가 이름을 부른 날/내가 사랑을 알게된 날(僕が名前を呼ぶ日 / 私が恋を知る日)'''. [[파일:64294075_p0.png|width=400]] [[파일:DGxHahhW0AEMZee.jpg|width=400]] 2017년 8월 11일 발매된 HoneyCollection Vol.03는 [[모치즈키 소우타]]와 [[하야사카 아카리]]가 주인공이다. 동화의 모티프는 백설공주와 왕자님. 약 2년만의 일러스트집 발매로, 기본적인 이야기는 [[질투의 대답]]의 스토리지만 [[내가 이름을 부른 날]], [[내가 사랑을 알게된 날]]과 그 이후의 스토리도 포함된다고.[[https://twitter.com/_Gom_/status/873108083454517250|#]] 같이 발매된 음반은 '''심판☆/달의 공주(ジャッジ☆/月の姫)'''. 코믹 마켓에서 발매되는 한정이지만 온라인에서 구매 가능하다만, 국내에서는 구입하지 못하므로 해외 직구를 해야 한다. [[토라노아나]][* 일러스트 담당 야마코가 토라노아나를 통해 일러스트를 온라인 발매한다. 대부분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절판되더라도 토라노아나에는 매물이 일부나마 남아있다.], [[http://www.lagoa.jp/shopbrand/honeyworks|THREE!]][* 편의를 위해 HoneyWorks 페이지에 링크를 걸어두었다. 참고로 이 사이트는 야마코의 일러스트집 뿐만 아니라 다른 HoneyWorks 코믹 마켓 앨범, 굿즈들도 판매한다.]를 이용해야 하는데, 가격이 꽤 비싼 편. 대부분의 직구 상품이 그렇지만, 대행 수수료에 우편비까지 이중으로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온라인에서 구매하면 코미케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배송비를 제외하고도 약 100~200엔 정도 더 비싸다. 참고로 일러스트집은 생각보다 의외로 얇다. 그리고 주로 코믹 마켓에서 발매하기에 코미케 개최 후 어느 정도 지나면 물량이 없어서 기다려야 한다. == [[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애니메이션)] === 극장판 === ==== [[예전부터 계속 좋아했어 ~고백실행위원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예전부터 계속 좋아했어 ~고백실행위원회~)] ==== [[좋아하게 되는 그 순간을 ~고백실행위원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좋아하게 되는 그 순간을 ~고백실행위원회~)] === TVA === ==== [[언제나 우리의 사랑은 10cm였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언제나 우리의 사랑은 10cm였다.)] ==== [[히로인 된 자! ~미움받는 히로인과 비밀스러운 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히로인 된 자! ~미움받는 히로인과 비밀스러운 일~)] == 스마트폰 앱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HoneyWorks Premium Live)] == 악보집 == HoneyWorks의 곡들, 특히 고백실행위원회 곡들을 악보에 담아낸 악보집이 존재한다.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dTc6i0%2BtL._SX352_BO1,204,203,200_.jpg|width=400]] 밴드용 합주 악보집. 2014년 5월 1일 발매. 192페이지. || || 곡 이름(일본어) || 곡 이름(한국어) || ||01||ヤキモチの答え||[[질투의 대답]]|| ||02||病名恋ワズライ||[[병명 상사병]]|| ||03||竹取オーバーナイトセンセーション||[[타케토리 오버나이트 센세이션]]|| ||04||スキキライ||[[좋아 싫어]]|| ||05||テレカクシ思春期||[[멋쩍은 사춘기]]|| ||06||ラズベリー*モンスター||[[라즈베리*몬스터]]|| ||07||告白予行練習||[[고백 예행연습]]|| ||08||泣キ虫カレシ||[[울보 남자친구]]|| ||09||初恋の絵本||[[첫사랑의 그림책]]|| ||10||今ちょっとだけ話題の神様||지금 조금 화제인 신님||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51zZmne%2BWcL._SX371_BO1,204,203,200_.jpg|width=400]] 피아노 악보집 1권. 2014년 5월 1일 발매. 96페이지. || || 곡 이름(일본어) || 곡 이름(한국어) || ||01||泣キ虫カレシ||[[울보 남자친구]]|| ||02||スキキライ||[[좋아 싫어]]|| ||03||初恋の絵本||[[첫사랑의 그림책]]|| ||04||竹取オーバーナイトセンセーション||[[타케토리 오버나이트 센세이션]] || ||05||告白予行練習||[[고백 예행연습]]|| ||06||ヤキモチの答え||[[질투의 대답]]|| ||07||ロクベル||록벨|| ||08||今ちょっとだけ話題の神様||지금 조금 화제인 신님|| ||09||吉田、家出するってよ||요시다, 가출한대|| ||10||君ガ空コソカナシケレ||네가 하늘이기에 슬퍼|| ||11||テレカクシ思春期||[[멋쩍은 사춘기]]|| ||12||ハジマリノサヨナラ||시작의 이별|| ||13||病名恋ワズライ||[[병명 상사병]]|| [[파일:external/honeyworks.jp/piano_2.png|width=400]] 피아노 악보집 2권. 2015년 4월 27일 발매, 96페이지. || || 곡 이름(일본어) || 곡 이름 (한국어) || 캐릭터(성우) || ||01||ヤキモチの答え||[[질투의 대답]]||[[모치즈키 소우타]] (CV: [[카지 유우키]])|| ||02||告白ライバル宣言||[[고백 라이벌 선언]]||[[아야세 코유키]] (CV: [[요나가 츠바사]])|| ||03||今好きになる。||[[지금 좋아하게 돼.]]||[[세토구치 히나]] (CV: [[아사쿠라 모모]])|| ||04||テレカクシ思春期||[[멋쩍은 사춘기]]||[[세토구치 유우]] (CV: [[카미야 히로시]])|| ||05||告白予行練習||[[고백 예행연습]]||[[에노모토 나츠키]] (CV: [[토마츠 하루카]])|| ||06||三角ジェラシー||삼각 젤러시(삼각 질투)||[[에노모토 코타로]] (CV: [[하나에 나츠키]])|| ||07||初恋の絵本||[[첫사랑의 그림책]]||[[아이다 미오]](CV: [[토요사키 아키]])|| ||08||告白予行練習 -another story-||[[고백 예행연습]] -another story-||[[세토구치 유우]] (CV: [[카미야 히로시]])|| ||09||病名恋ワズライ||[[병명 상사병]]||[[에노모토 나츠키]] (CV: [[토마츠 하루카]])|| ||10||初恋の絵本 -another story-||[[첫사랑의 그림책]] -another story-||[[세리자와 하루키]] (CV: [[스즈무라 켄이치]])|| ||11||未来図||미래도||[[아이다 미오]] (CV: [[토요사키 아키]])|| ||12||イノコリ先生||[[나머지 선생님]]||[[아케치 사쿠]] (CV: [[미도리카와 히카루]])|| ||13||金曜日のおはよう -another story-||[[금요일의 아침인사]] -another story-||[[나루미 세나]] (CV: [[아마미야 소라]])|| ||14||ヤキモチの答え -another story-||[[질투의 대답]] -another story-||[[하야사카 아카리]] (CV: [[아스미 카나]])|| A4판으로, 표지에 '''ピアノ楽譜(피아노 악보)'''라고 쓰여있는 악보집에는 일러스트와 함께 해당 곡의 가사와 악보가 들어있다. 작곡은 shito나 고무, cake 등의 멤버들이 같이 했지만 곡을 피아노 악보로 옮기는 것은 다른 피아노 전문가가 했다. 원곡의 음의 높낮이나 박자, 화음, 반주 등에서 약간 차이가 있으며, 특히 피아노 담당인 cake는 이 악보와 다르게 연주한다는 점은 알아둬야 한다. cake의 연주영상을 보면 악보에 쓰인 음계와 연주방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cake가 뒤늦게 영입한 것도 약간 관련이 있다. cake가 서포트 멤버 되기 이전 곡들을 재녹음할 때 shito가 '너무 복잡한 거 아닌가, 그 전은 좀 더 심플한 느낌이었어.' 라고 할 정도니... cake 어레인지가 더 어려워 보이는 건 당연할 수 밖에 없다.] [[파일:external/honeyworks.jp/4060p_HW_sukininaru.jpg|width=400]] 피아노 악보집 3권. 2016년 3월 3일 발매, 96페이지. 2015년에 나온 3집 앨범의 피아노 곡집이다. A4크기에 96페이지로, 수록곡은 3집 '좋아하게 되는 그 순간을'의 곡들이다. || || 곡 이름(일본어) || 곡 이름 (한국어) || ||01||プロポーズ||프러포즈|| ||02||今好きになる。||[[지금 좋아하게 돼.]]|| ||03||言葉のいらない約束||[[말이 필요 없는 약속]]|| ||04||東京サマーセッション feat. CHiCO||[[도쿄 서머 세션]] feat. CHiCO|| ||05||暁月夜-アカツキヅクヨ-||새벽달 -아카츠키 츠쿠요-|| ||06||未来図||미래도|| ||07||タナタロ||타나타로|| ||08||マジックメロディ||매직 멜로디|| ||09||さよなら両片想||[[안녕 너와 나의 짝사랑]]|| ||10||三角ジェラシー -another story-||삼각 젤러시(삼각 질투) -another story-|| ||11||恋ヲウチヌケ||사랑을 꿰뚫어|| ||12||リトルリグレット||리틀 리그렛|| ||13||告白ライバル宣言||[[고백 라이벌 선언]]|| ||14||金曜日のおはよう -love story- feat. Gero||[[금요일의 아침인사]] -love story- feat. Gero|| ||15||ママ||마마|| ||16||イジワルな出会い||[[짓궂은 만남]]|| [[파일:external/honeyworks.jp/GTP01093090.jpg|width=400]] [[예전부터 계속 좋아했어 ~고백실행위원회~]] 피아노 곡집. 영화에 실린 OST 곡들의 악보가 수록되어 있다. 56페이지 이 곡은 다른 악보집들이 피아노 전문가들이 대신 했다면 HoneyWorks가 직접 감수하고 편곡한 버전의 곡들이 들어있으며 특히 고백 예행연습 piano version이 수록되어 있다고. [[사랑색으로 피어나]]와 [[일분 일초 너와 나의]], 그리고 극중의 모든 곡들이 들어있다고 한다. || || 곡 이름(일본어) || 곡 이름 (한국어) || 가수/편곡 || 비고 || ||01||恋色に咲け||[[사랑색으로 피어나]]||[[CHiCO with HoneyWorks]]|| 오프닝 주제가 || ||02||日曜日の秘密 -Movie Edit Version-||일요일의 비밀 -Movie Edit Version-||HoneyWorks meets[br][[CHiCO]] & [[사나(우타이테)|sana]]|| 삽입곡 || ||03||Destiny~ずっと前から君が好きでした~[br]-Movie Edit Version-||Destiny~예전부터 계속 네가 좋았어~[br]-Movie Edit Version-||HoneyWorks meets [[YURiCa]]/[[하나땅]]|| 삽입곡 || ||04||病名恋ワズライ -Movie arrange Version-||[[병명은 사랑병]] -Movie arrange Version-||HoneyWorks|| 삽입곡 || ||05||告白予行練習 -Movie arrange Version-||[[고백 예행연습]] -Movie arrange Version-||HoneyWorks|| 삽입곡 || ||06||ヤキモチの答え -Movie arrange[br]Instrumental Version-||[[질투의 대답]] -Movie arrange[br]Instrumental Version-||HoneyWorks|| || ||07||一分一秒君と僕の||[[일분 일초 너와 나의]]||HoneyWorks meets [[스피어(성우 유닛)|스피어]]|| 엔딩 주제가 || ||08||告白予行練習 -Piano Version-||[[고백 예행연습]] -Piano Version-||HoneyWorks|| || [[파일:clcbandscore2.jpg|width=400]] 정규 4집 앨범 곡들을 실은 밴드 합주용 악보. 2017년 9월 20일 발매, 420페이지로 B4판이다. [[파일:clcpianoscore.gif|width=400]] 밴드 합주용 악보 외에도 피아노 악보도 있다. 100페이지로 2017년 7월 22일 발매되었다. A4판. || || 곡 제목(일본어) || 곡 제목(한국어) || || 01 ||恋色に咲け||[[사랑색으로 피어나]]|| || 02 ||センパイ。||[[선배.]]|| || 03 ||可愛くなりたい||[[귀여워지고 싶어]]|| || 04 ||僕が名前を呼ぶ日||[[내가 이름을 부른 날]]|| || 05 ||東京サマーセッション||[[도쿄 서머 세션]]|| || 06 ||ハートの主張||[[하트의 주장]]|| || 07 ||ロメオ||[[로미오(HoneyWorks)|로미오]]|| || 08 ||今好きになる。‐triangle story‐||[[지금 좋아하게 돼.|지금 좋아하게 돼. ‐triangle story‐]]|| || 09 ||好きと好きの方程式||좋아와 좋아의 방정식|| || 10 ||<-2> Destiny –CV arrangement- || || 11 ||テレカクシ記念日||멋쩍은 기념일|| || 12 ||花に赤い糸||[[꽃에 붉은 실]]|| || 13 ||日曜日の秘密||[[일요일의 비밀]]|| || 14 ||私が恋を知る日||[[내가 사랑을 알게된 날]]|| || 15 ||大嫌いなはずだった。||[[정말 싫었을 터였어.]]|| || 16 ||一分一秒君と僕の||[[일분 일초 너와 나의]]|| 두 악보집 모두 수록곡은 정규 4집 앨범 '몇 번이라도, 좋아. ~고백실행위원회~'의 수록곡으로 동일하다. [[분류:고백실행위원회 ~연애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