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林]] [[昭]][[美]] [[1937년]]에 태어난 일본의 언어학자다.[* [[https://www.chikyukotobamura.org/muse/life200426.html|アメリカ昔日譚]] ] == 개요 == --[[https://ocra.sakura.ne.jp|千夜一話]]--[* [[https://web.archive.org/web/20211122164359/https://ocra.sakura.ne.jp/|대체 아카이브]]] 그는 일본어의 어원에 대한 [[비밀]]을 밝히려고 노력하고 있는 남자다. [[2018년]] 9월 15일날에 [[강연]]을 했다.[[https://www.chikyukotobamura.org/forum/salon180915.html|#]] == 여담 == [[211.33.101.115]]가 2012년 11월 13일날에 당시[[엔하위키]]에서 작성한[[https://namu.wiki/w/%EC%9D%BC%EB%B3%B8%EC%96%B4?rev=160|음소적 특징]]이 고바야시 선생님께서 먼저 9월 17일자로 [[http://uedakant.sblo.jp/s/article/58609764.html|사이트]]가 57일간의 차이로 처음 만들어졌다. 그 일환으로 아카이브에서 [[https://web.archive.org/web/20130415073709/http://www3.ocn.ne.jp/~ocra|2013년 4월 15일]]자로 모습이 처음으로 보인다. 웃음땅은 그에게 편지를 전했다.[* 이것에 대한 날짜는 2012년 11월 13일 즉 45일이 늦습니다만, 그것에 대한 [[출처]]가 찾기 어렵다는점 유념해 주었으면 해서요. '211.33.101.115'가 왜 이런 의도를 어떻게 가졌을지는 저는 모릅니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건 bard에서 이런[[질문]]이 오고 갔거든요.]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가 헤이안 시대 이후에 성립했다는 증거는 없습니다. 오히려, 고대 일본어에도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들이 존재했다는 증거는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엽집에는 다음과 같은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들이 등장합니다. * まよビ (眉) * め・ベイ (米) * むぎ・バク (麦) * まき・ボク (牧) 이러한 어휘들은 현대 일본어에서도 그대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는 헤이안 시대 이전에도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가 헤이안 시대 이후에 성립한 어휘였다면, 이러한 어휘들은 현대 일본어에서도 탁음으로 발음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들은 대부분 현대 일본어에서도 무성음으로 발음됩니다. 다만, 만엽집에서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들이 탁음으로 발음되는 것은 일본어의 음운론에 따른 것입니다. 일본어는 탁음이 어두에 오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현대 일본어에서는 이러한 어휘들이 탁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는 어휘의 성립 시기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만엽집은 중국의 시가 형식을 따르기 때문에, 탁음이 어두에 오는 것을 피하는 중국어의 음운론을 따랐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ま행으로 시작하는 고유어가 헤이안 시대 이후에 성립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고, 반박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bard]] [[분류:일본의 인물]][[분류:1937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