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료과 || [[내과]] || '''Hypermagnesemia''' [목차] == 개요 == 정상적인 [[마그네슘]]의 농도는 1.8-2.5 mg/dL 사이이다. 신체 내 전체적인 마그네슘의 2/3 이상은 [[뼈]]에서 발견된다. 그 외 1/3의 마그네슘은 세포내액(ICF)에서 발견되며, 나머지 1% 이하만이 세포외액(ECF)에 존재한다. 마그네슘의 배출에 관여하는 호르몬은 인슐린, 글루카곤(glucagon), PTH, 칼시토닌(calcitonin), ADH, [[스테로이드]] 등이 있다. 전체 마그네슘의 약 30-40%는 위장관을 통해 음식에서 섭취되며, 저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날 경우 이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마그네슘의 배출은 대부분 [[콩팥]]에서 이루어지며, 특히 많은 양의 마그네슘이 여기서 재흡수 된다. == 원인 == [[신부전]](RF)은 고마그네슘혈증이 발병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그 외 [[화상]]의 초기 때 고마그네슘혈증이 보여지기도 한다. 마그네슘이 포함된 완화제(laxative)를 과다 섭취하게 될 경우에도 발병할수 있다. 그 외 [[부신기능부전]](adrenal insufficiency), 횡문근융해증(rhabdomyolysis) 및 [[출산]]시 자간(eclampsia)의 치료용으로 마그네슘을 과다 투여할 시 발생하기도 한다. == 증상 == 메스꺼움과 무기력증이 보여지며, 얼굴근육의 둔감각증(facial paresthesia)이 발견 된다. 그 외 반사저하(hyporeflexia)가 보여지며, [[심전도]]상 [[고칼륨혈증]](hyperkalemia)과 같은 변화가 보여지게 된다. 고마그네슘혈증이 지속될 경우 혼수(coma) 및 근육의 마비 등이 발견되며, 심정지 및 [[급성호흡부전]]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수 있다. == 치료 == 우선적으로 마그네슘 투여로 인한 고마그네슘혈증의 경우, 투여를 중지하고 IV 칼슘을 투여해 [[심장]]을 안정시키게 된다. 그 후 식염수(saline)와 furosemide 이뇨제를 투여해 마그네슘의 배출을 유도하게 된다. [[신부전]](RF)으로 인한 고마그네슘혈증은 [[투석]]을 통해 치료하게 된다. [[분류:전해질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