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천문학]][[분류:성운]]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5><:> [[메시에 천체 목록|{{{#FFFFFF '''메시에 천체'''}}}]] || ||<:> [[메시에 56|{{{+1 '''M56'''}}}]][br]'''메시에 56'''[br]거문고자리의 구상성단 ||<:> {{{+1 ←}}} ||<:> {{{#000000 {{{+1 '''M57'''}}}[br]'''고리 성운'''[br]거문고자리의 행성상성운}}} ||<:> {{{+1 →}}} ||<:> [[메시에 58|{{{+1 '''M58'''}}}]][br]'''메시에 58'''[br]처녀자리의 막대나선은하 || ||<-5><:> [[NGC|{{{#FFFFFF '''NGC 천체'''}}}]] || ||<:> [[NGC 6719|{{{+1 '''NGC 6719'''}}}]][br]공작자리의 나선은하 ||<:> {{{+1 ←}}} ||<:> {{{#000000 {{{+1 ''' NGC 6720'''}}}[br]거문고자리의 행성상성운 }}} ||<:> {{{+1 →}}} ||<:> [[NGC 6721|{{{+1 '''NGC 6721'''}}}]][br]공작자리의 타원은하 || ||||<-3><:> {{{#FFFFFF '''M57'''[br]{{{+3 '''고리 성운'''}}}[br]Ring Nebula}}}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57_The_Ring_Nebula.jpg|width=100%]] || ||<-3> {{{#FFFFFF '''관측 정보'''}}} || ||<|3> {{{#FFFFFF '''위치'''}}} || {{{#FFFFFF 적경}}} || 18h 53m 35.079s || || {{{#FFFFFF 적위}}} || +33° 01′ 45.03″ || || {{{#FFFFFF 별자리}}} || [[거문고자리]] || ||<-3> {{{#FFFFFF '''물리적 성질'''}}} || ||<-2><:> {{{#FFFFFF '''형태'''}}} || [[행성상성운]] || ||<-2> {{{#FFFFFF '''거리'''}}} || 787±35 [[파섹]][br]2,567±115 [[광년]] || ||<-2> {{{#FFFFFF '''반지름'''}}} || 1.3 광년 || ||<-2> {{{#FFFFFF '''질량'''}}} || 1.2''M,,☉,,'' || ||<-3> {{{#FFFFFF '''광학적 성질'''}}} || ||<-2> {{{#FFFFFF '''겉보기 등급'''}}} || 8.8 || ||<-2> {{{#FFFFFF '''겉보기 크기'''}}} || 230" × 230" || ||<-3> {{{#FFFFFF '''명칭'''}}} || ||<-3> [[메시에 천체 목록|M]]57, [[NGC]] 6720, Ring Nebula, 반지 성운, GC 4447 || [목차] == 개요 == {{{+1 Messier 57 / NGC 6720}}} '''고리 성운'''은 [[거문고자리]]에 있는 [[행성상성운]]이다. 1779년 샤를 메시에가 직접 발견하였으며, [[아령 성운]]과 함께 가장 유명한 행성상성운 중 하나이다. == 역사 == 1779년 1월 31일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보데 혜성의 경로를 추적하던 중 발견하였고 프랑스의 천문학자 앙투안 다르퀴 드 펠리푸아(Antoine Darquier de Pellepoix)도 2월에 독립적으로 발견하였다. 메시에는 이 성운에 대해 "무뎌 보이지만 외곽선은 완벽한 성운이다. 목성보다 커보이며 색이 바랜 행성같다."라고 묘사하며 [[메시에 천체 목록]]에 기록하였다. 영국의 천문학자 [[윌리엄 허셜]]은 고리 성운을 관측 한 뒤 "어두운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이라고 묘사했다. 1800년 독일의 천문학자 프레드리히 폰 한이 고리 성운을 만든 중심부의 [[백색왜성]]을 발견하였다. 1886년 헝가리의 천문학자 고타드가 최초로 고리 성운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 특징 == 고리 성운은 [[아령 성운]]과 같이 가장 유명한 [[행성상성운]]중에 하나이다. 지구에서 약 2,3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생성시기는 약 7,000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고, 그 때부터 지금까지 2~30km/s의 속도로 가스를 주변으로 퍼트리고 있다. 현재 21km/s의 속도로 지구와 가까워지고 있다. 시직경 230” x 230”의 매우 작은 영역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 성운의 지름은 약 2.5광년 정도 된다. 성운의 총 질량은 태양 질량의 1.2배인데 0.6태양질량을 중심부의 [[백색왜성]]이 차지하고 있고 가스층은 약 0.2태양질량 정도이다. 가스층에는 대략 세제곱센티미터당 10,000개 정도의 분자가 있다. 고리 성운은 [[태양]]과 같이 [[백색왜성]]이 될 질량을 가진 별들이 죽고 나서 남기는 성운의 형태이다. 중심부에 있는 [[백색왜성]]은 겉보기등급은 약 15등급이며 0.6태양질량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다. 표면온도는 약 120,000K정도 된다. 더는 핵융합을 할 수 없기에 오랜 세월동안 천천히 식어갈 것이다. 맨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으며 조건이 좋은 하늘에서 쌍안경이나 파인더로도 쉬이 찾기 힘들다. 작고 희미하기에 조건이 안좋거나 숙달되지 않으면 그냥 지나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4인치 정도의 망원경으로는 다른 별들과 대비되는 희미한 빛구름 형태의 고리모양을 볼 수 있다. 고배율로 관측하면 고리의 옅고 짙음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다.[* 성운의 가스색깔은 16'' 이상의 대구경망원경으로 볼 때나 사진으로 찍었을 때에나 볼 수 있고 그 이하의 망원경으로 관측시에는 회색조의 가스만 볼 수 있다. 물론 민감한 사람은 더 낮은 구경에서도 볼 수 있다. 우리 눈이 초록색을 잘 감지하기에 주로 초록빛으로 보인다.] 8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고리 전체의 옅고 짙음을 볼 수 있으며 중심 부근의 [[백색왜성]]도 관측할 수 있다. === 여러 사진들 === [[파일:M57_JwstKong_4532.jpg]]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Ring-Nebula-1024x951.jpg]]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찍은 [[가시광선]] 영역의 사진과 애리조나주에 있는 LBT(Large Binocular Telescope)로 찍은 [[적외선]] 영역의 사진을 합성한 사진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57-infrared-1024x840.jpg]]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적외선 영역을 찍은 사진[* 고리 성운 우상단에 붉은색으로 보이는 나선은하는 [[https://simbad.unistra.fr/simbad/sim-basic?Ident=IC+1296&submit=SIMBAD+search|IC 1296]]이라는 이름의 막대나선은하이다.] [[파일:external/jbnightsky.com/M57-PI-2-P-1-Web-1024x787.jpg]] 천체사진작가가 찍은 고리 성운의 모습 [[파일:external/www.universetoday.com/m57.gif]] M57의 흑백사진[* 성운의 크기가 위의 사진들보다 약간 작게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오래 전에 찍은 사진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rainy.blogs.splitcoaststampers.com/RingNebula2.jpg]] 일반적인 망원경(4~8인치 급)으로 관측했을 때 관측자가 볼 수 있는 M57의 모습 == 위치 및 찾는 방법 == [[파일:external/www.messier-objects.com/Messier-57-location.png]] [[거문고자리]]의 평행사변형을 이루는 별들 중 거문고자리 베타(β) 세리아크와 감마(γ) 술라파트를 잇는 직선의 중앙에 위치한다. 다른 항성과는 다르게 보이지만 날이 좋지 않으면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서 찾을 필요가 있다. == 다른 메시에 천체 목록 == [include(틀:메시에 천체 목록)] == 관련 문서 == * [[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 * [[성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