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대학교/학부]][[분류:미술대학]]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고려대학교/학부)] [include(틀:고려대학교)] [include(틀:고려대학교의 단과대학)] ||<-2> '''{{{+1 {{{#872434 고려대학교}}} {{{#662b65 디자인조형학부}}}}}}[br]{{{#872434 高麗大學校}}} {{{#662b65 디자인造形學部}}}[br]{{{#872434 Korea University}}} {{{#662b65 School of Art and Design}}}''' || ||<-2> [[파일: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상징.png|height=300]] || || '''{{{#d7c9b1 상징색}}}''' || '''보라색''' || || '''{{{#d7c9b1 상징물}}}''' || '''창의의 문과 펜(아이디어 구성의 매개체)의 교차'''[* 자유로운 발상과 조형적 표현의 무한성을 의미한다.] || || '''{{{#d7c9b1 보조 상징물}}}''' || ''''창의의 문'을 패턴화''' || || '''{{{#d7c9b1 FM}}}''' || '''창조조형''' || || '''{{{#d7c9b1 단과대 학번}}}''' || '''22''' || || '''{{{#d7c9b1 연혁}}}''' || '''1988년 사범대학 미술교육과[br]2000년 미술학부[br]2007년 조형학부[br]2011년 디자인조형학부''' || || '''{{{#d7c9b1 링크}}}''' || [[https://and.korea.a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5px; margin-bottom:-6px" [[파일:고려대학교미디어관전경.jpg|width=100%]]}}} || || {{{#ffffff '''고려대학교 미디어관'''}}} || [[고려대학교]]의 [[미술대학]]. 약칭은 '''고대 디조''', '''디조''', '''고디조''' 등이다. [[미술대학]]이지만 [[단과대학]] 단위가 아닌 독립학부 단위다. == 학부 == ||
[[]] || ||[youtube(XSK7A0U-q14,width=100%)] || || {{{#ffffff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소개영상'''}}} || 원하는 적성에 따라 세부전공을 고를 수 있는 트랙제를 운영중이며 졸업시 세부전공은 표기되지 않고 디자인조형학부로 표기된다. 입학 후 1년 간 디자인과 조형 수업을 모두 수강한 후 2학년 진입 전에 세부 전공을 선택한다. 입학생은 50명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소수정예의 느낌이 난다. 원래 조형학부관, 조형학부별관을 사용했으나 현대자동차경영관 신축 당시 사범대학분관과 함께 철거됐고 그 자리에는 공터만 남게 되었다. 현재는 미디어관 7층에서부터 10층을 사용하고 있다. 학생자치공간으로 디자인과는 학년구분 없이 1002호[* 주중 밤 11시 이후, 주말과 방학에는 냉난방이 전혀 없기 때문에 여름, 겨울에는 극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다], 조형과는 과 특성상 학년별로 다른 호실을 사용하며 1학년은 703호[* 시시때때로 대학원 강의실로 사용되기 때문에 진행 중인 작업물을 정리해야하는 경우가 많다]를 사용하고 있지만 타과의 과실과 같은 공간이 아닌 작업 공간으로 쓰인다. === 산업정보디자인 전공 === 거의 모든 강의가 팀플로 이루어지는 무시무시한 커리큘럼. 전공 특성상 학기 말 전시[* Design on Thursday, 일명 DOT]에 몰빵을 하기 때문에 중간고사에는 꿀을 빨지만 중간고사 이후 급격히 바빠지며 기말고사는 거의 손을 놓는다고 볼 수 있다. === 조형미술 전공 === 서양화의 이기봉, 동양화의 정종미 교수라는 양대산맥을 중심으로 강의가 진행되었다. 그러다 2019년 초에 이기봉 교수가 퇴임하면서 본 전공에는 전임교원이 정종미 교수 단 한 명만 남게 되었다. 100명이 넘는 조형미술 전공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의 지도를 정종미 교수 혼자서 맡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건데[* 더 안 좋은 소식은 정종미 교수마저 2023년 정년퇴임 예정이라는 점이다.], 장기적으로 조형미술 전공을 폐지하고 산업정보디자인 전공으로 통합시키려는 디자인조형학부의 의도가 아니냐는 소문도 돌았었다. 이에 디자인조형학부 학생들이 자체적으로 '''안전졸업위원회'''라는 조직을 만들어 교원 충원을 강력히 요구하였고, 그 결과 현대미술 등을 담당하는 이예승 교수가 2021학년도부터 전임교원으로 충원되었다. == 기타 == * 꽤 오랫동안 [[미술대학]]이 아닌 [[고대사대|사범대학]] 소속 [[미술교육과]]로 존재했었고,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한지는 그렇게 오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아직 본과 출신 졸업생이 본과 전임교수로 돌아온 사례가 없다. 현재 디자인조형학부의 전임교수진 8명은 모두 타교 출신으로, [[서울대학교]] 출신 3명, [[한국과학기술원]] 출신 2명, [[홍익대학교]] 출신 2명, [[이화여자대학교]] 출신 1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 아직까지는 다른 [[미술대학]]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자치공간 및 교육·연구 공간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독립된 건물을 쓰는 타 미술대학과 달리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미디어학부]]가 쓰는 미디어관에 세들어 살고 있는 것이 큰 듯 하다. * 1학년이 7층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7, 8층을 사용하는 조형과 선배들과는 친목을 도모할 수 있지만 9, 10층을 사용하는 디자인과 선배들과는 얼굴조차 모르는 사이인 경우가 많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고려대학교/학부, version=1506, paragraph=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