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똑같은 설명, rd1=공통수학)] [목차] == 소개 == 고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면 배우게 되는 수학 교과명이다. == 특징 == 구분을 위해 고1 수학, 고등 수학 등의 암묵적인 네이밍을 취하고 있지만[* 모든 1학년 학생이 공통으로 배우는 과정이라는 뜻으로 '공통수학'(줄여서 공수) 라고 하기도 한다.], 정식적인 교과명은 그냥 '''수학'''이다. 1학년 한 해 동안의 과정을 한꺼번에 다루기 때문에 시중에 파는 참고서나 문제집의 경우 1학기 범위를 수학(상), 2학기 범위를 수학(하)로 분권하고 있지만 이도 정식적인 명칭이 아니므로 교직자들은 이에 각별히 유의하기 바란다. == 상세 == 고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수학 과목 이름을 교육 과정 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제2차 교육과정의 경우, '''공통수학'''에 해당했다. * 제3차 교육과정때는 고등수학이 없었다. 이 때는 수학Ⅰ 교과서가 상, 하로 나뉘어 있었고 그것들을 문과는 고교 3년에 걸쳐서 배웠고 이과는 거기에 추가해서 수학Ⅱ를 배웠다. 이로써 당시 수학Ⅰ은 단원이 [[집합#s-1|집합]]과 [[명제#s-2|명제]], 수와 식 ([[실수(수학)#s-1|실수]]와 [[복소수#s-1|복소수]], [[이항연산#s-1|이항연산]]과 연산법칙, 닫힌 연산, [[항등원#s-1|항등원]]과 [[항등원#s-2.1|역원]], [[다항식]]과 인수분해, [[항등식]]과 [[나머지정리]], 유리식과 무리식), [[방정식#s-2.1|방정식]]과 [[부등식#s-2.2|부등식]], [[지수(수학)#s-1|지수]]와 [[로그(수학)|로그]], [[수열]] (점화식, 알고리즘 포함), 도형의 방정식 (이차곡선 4가지 (원, 포물선, 타원, 쌍곡선) 모두 포함), [[함수]], [[삼각함수#s-1|삼각함수]], 수열의 극한, 함수의 극한과 연속, 다항함수의 미분법, 다항함수의 적분법, 확률 (경우의 수, 순열, 조합 포함), 통계로 총 14개에 달했다. 당시 수학Ⅱ는 방정식과 부등식 (분수 · 무리방정식, 고차 · 분수부등식), 벡터, 행렬, 일차변환, 평면기하의 공리적 구성,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 복소평면, 미분법, 적분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제4차 교육과정의 경우, '''[[4차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수학Ⅰ|수학Ⅰ]]'''에 해당했다. * 제5차 교육과정의 경우, '''[[5차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일반수학|일반수학]]'''에 해당했다. * 제6차 교육과정의 경우, '''[[6차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공통수학|공통수학]]'''에 해당했다. * 제7차 교육과정의 경우, '''[[7차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수학 10학년|수학 10-가/수학 10-나]]'''에 해당했다. [[초등학교]] 1학년부터 1년 단위로 순번을 이을 때 10학년에 해당하는 학군이 고등학교 1학년이기 때문.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수학|수학]]'''에 해당했다.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2009 개정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수학Ⅰ|수학Ⅰ]], [[2009 개정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수학Ⅱ|수학Ⅱ]]'''에 해당했다.[* 다만, 이례적으로 대다수가 생각하는 2, 3학년 과정으로 생각하는 그 '수학Ⅰ', '수학Ⅱ'가 아니라 그냥 고1 수학을 두 권으로 찢어놓아 네이밍만 옮겨왔을 뿐이다. 선수과정처럼 여러 내용이 혼합된 이것과 대조적인, 그 다음 과정의 엄밀한 과목명(미적분, 확률과 통계, 기하와 벡터)이 이러한 명명법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목명은 '''[[2015 개정 교육과정/수학과/고등학교/수학|수학]]'''이다. == 관련 문서 == * [[공통수학]] [[분류:수학 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