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고두환}}}'''[br]'''高斗煥'''}}}}}}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고두환.png|width=100%]]}}} || ||<-2> {{{-1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2121700209202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2-12-17&officeId=00020&pageNo=2&printNo=4311&publishType=00020|1932년 12월 17일자 동아일보 기사]]에 실린 고두환의 사진.}}} || || '''이명''' ||고사환(高士煥) || ||<|2> '''출생''' ||[[1894년]] [[1월 1일]] || ||[[함경도]] [[북청군|북청도호부]] 대속후사 하천리[* [[http://db.history.go.kr/id/haf_117_0600|#]]][br](현 함경남도 [[금호지구(북한)|금호지구]] 속후리) || ||<|2> '''사망''' ||[[1932년]] [[12월]] || ||[[함경북도]] [[북청군]] 속후면 하천리 || ||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무후선열 위패-13호 || ||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894년 1월 1일 함경도 북청도호부 대속후사 하천리(현 함경남도 금호지구 속후리)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 직후 [[중화민국]] [[봉천성]] 동변도(東邊道) 관전현(寬甸縣)[* 현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단둥시]] 콴뎬만주족자치현(寬甸滿族自治縣).]으로 망명해 그곳에서 대한독립단에 가입했다. 그는 국내특파원에 임명되어 [[평안북도]] 지역에 파견되었고,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949|민양기]](閔良基)·[[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6227|이명서]](李明瑞)·박기영(朴技榮) 등과 함께 [[의주군]]·[[구성시|구성군]] 등 평안북도 관내 각지에서 군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했다. 1920년 5월에는 만주독립단원으로서 민양기·이명서·[[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1072|이근영]](李根永)·[[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1832|박기수]](朴基洙)·[[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72770|주의환]](朱義煥)·[[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72398|이지표]](李芝杓)·[[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71839|원사현]](元士賢)·[[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2663|변춘식]](邊春植)·박기영(朴基永) 등과 함께 대한독립단 산하 무장독립대[* 이후 [[황해도]] [[송화군]] [[구월산]] 부근 전역에 대한독립단 관련 기관을 조직하고 활동을 개시했다하여 구월산대(九月山隊)라고도 한다.]를 결성했고,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 사이에 황해도 일대에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집하고 독립운동에 반대하거나 자금 모집을 방해하는 자들을 처단할 목적으로 국내로 진입해 [[황해도]] [[송화군]] [[구월산]] 부근 전역에 대한독립단 관련 기관을 조직하고 활동을 개시했다. 특히 같은 해 8월 15일에는 [[친일반민족행위자]]였던 은율군수(殷栗郡守) [[http://db.history.go.kr/id/im_110_00343|최병혁]](崔丙赫, 1878. 9. 24 ~ 1920. 8. 15)을 사살하는 등 성과를 올리며 유격전을 전개하며 작전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1920년 9월 10일, 평소 연락을 담당해주던 [[신천군]] 종산(鍾山)교회의 목사 우종서(禹鍾瑞)가 신천경찰서에서 심어 둔 밀정의 농간에 속아 구월산 독립단의 근거지를 알려주었고, 결국 당일 독립단원들은 현장에 급히 파견된 88명의 신천경찰서 소속 일본 경찰과 총격전을 벌였다. 교전 끝에 고두환은 총검에 4곳을 찔린 뒤 부상당한 채로 체포되었다. 1921년 7월 20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예심이 종결되어 [[http://db.history.go.kr/id/npda_1921_07_20_v0003_0390|공판에 회부되었으며]], 8월 19일 해주지방법원에서 [[무기징역]]을 [[http://db.history.go.kr/id/su_006_1921_08_19_0500|선고받고]] 평양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이후 [[서대문형무소]]에 이감된 뒤 두 차례 감형을 받아 1932년 12월 15일 오전, 10년 3개월의 수감 생활을 마무리하고 [[http://db.history.go.kr/id/npda_1932_12_17_w0002_0330|만기출옥했다]]. >"[[구월산]]에서 경관대와 충돌하야 창상(創傷)을 네곳에나밧고형무소에 수용되엇슬 당시에는 다시세상을 보지못할줄 알엇습니다마는 지금세상과 다시대하게되니 다만[[감개무량|감개만 무량합니다]] >그때에 현장에서 죽은5명[* 이명서, 박기수, 원사현, 이지표, 주의환 등을 말한다.]과 역시창상을밧고 체포되어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1949|사형을바든사람]][* 민양기를 말한다.]의 셍각을하니 그때의 사람으로는 나혼자남어잇는 셈이올시다 >그동안 가정에 변화도잇섯슴니다 어머니께서는 지난9월에 도라가섯고 [[아내|안해]]는 무긔징역을 바덧다는 소식을듯고 개가하얏습니다" > ---- >1932년 12월 15일 오전, 고두환이 만기출소하면서 남긴 소회.[* 최대한 원문에 가깝게 옮겨 적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212170020920201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2-12-17&officeId=00020&pageNo=2&printNo=4311&publishType=00020#|#]]] 그러나 옥고의 여독으로 해를 넘기지 못하고 그해 고향에서 병사하였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고, [[국립서울현충원]]에 고두환을 기리는 무후선열 위패가 봉안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북청군 출신 인물]][[분류:1894년 출생]][[분류:1932년 사망]][[분류:건국훈장 독립장]][[분류:국립서울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