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캐릭터, rd1=고돌핀 바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include(틀:서러브레드 3대 시조)]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odolphin_Arabian.jpg|width=100%]]}}} || || 이름 || Godolphin Arabian || || 출생 || [[1724년]] || || 죽음 || [[1753년]] (29세) || || 성별 || 수컷 || || 아비 || 불명 || || 어미 || 불명 || || 마주 || 압달라[br]→[[루이 15세]][br]→에드워드 코크[br]→로저 윌리엄스[br]→프랜시스 고돌핀 || || 주요 자마 || 라스(Lath, 1732) 케이드(Cade, 1734)[* 1752~1753, 1758~1760년 영국 리딩사이어] 레귤러스(Regulus, 1939)[* 1754~1757, 1766년 영국 리딩사이어] 블랭크(Blank, 1740)[* 1762, 1764, 1770년 영국 리딩사이어] || || 주요 수상 || 영국 리딩사이어(1738,1745,1747)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러브레드]]의 3대 시조 중 한 마리. == 혈통 == 서러브레드의 시조 중 하나이므로 부모가 어떤 말인진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중동 지방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아라비안(말)|아라비안]]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름 또한 마지막 마주의 성인 고돌핀와 아라비안종을 합쳐서 부르는 것이다. 한편 제너럴 스터드 북에는 바브종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유럽으로 오기 직전에 있었던 곳이 북아프리카의 [[튀니지]]라 북아프리카에서 서식하는 바브종으로 여겨졌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17년에 발표된 경주마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돌핀 아라비안은 터크종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3대 시조 중 하나인 [[달리 아라비안]] 또한 터크종일 가능성이 높다고 하니 3대 시조가 전부 터크종일 가능성도 있는 셈.[* 그렇다고 서러브레드=터크종이란 뜻은 아닌게, 3대 시조는 부계로 이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얘기지 모계로만 이어지고 있는 시조도 많이 존재한다. 이들도 전부 터크종으로 판명나지 않는 이상 서러브레드는 터크종과 다른 품종으로 봐야한다.] == 생애 == 1724년경에 지금의 [[시리아]], 혹은 [[예멘]] 지역에서 생산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이름은 샴이었는데, 이는 아랍어로 시리아의 도시 [[다마스쿠스]]를 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설로는 태양을 뜻하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당시에도 명마로 이름을 날렸던 샴은 모로코 왕의 소유가 되었으며, 1730년에 프랑스의 왕 [[루이 15세]]에게 선물로 보내졌다.[* 대놓고 영국군이 약탈했다는 기록이 남겨진 [[바이얼리 터크]], 영국 영사가 구입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흉흉한 뒷소문이 도는 [[달리 아라비안]]과 달리 3대 시조 중 유일하게 정당한 방식으로 유럽에 들어왔다.] 하지만 수송 중에 수척해진 샴을 루이 15세는 별로 좋아하지 않아서 짐말로 사용되었다. 그러다 우연히 영국인 에드워드 코크의 눈에 띄어 영국으로 팔려가게 되었다. 그곳에서 승마 및 시정마로 사용되었다가 후술할 홉고블린과의 에피소드 이후 종마로 전용되었다. 1733년 코크가 사망한 후 로저 윌리엄스에게 소유권이 넘어갔고, 최종적으로 프랜시스 고돌핀 백작이 소유하게 되었다. 1753년 고돌핀 백작 소유의 고그 마고그 언덕에서 죽었으며, 현재도 그곳에 고돌핀 아라비안의 무덤이 있다. 또한 서러브레드 3대 시조 중 가장 장수하였다. == 종마 생활 == 영국으로 건너간 고돌핀 아라비안은 처음엔 시정마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당시 명마였던 홉고블린[* 8전 7승의 명마이자 [[달리 아라비안]]의 손자이기도 하다.]이 록사나와 교배를 하게 되었을 때 고돌핀 아라비안이 홉고블린에게 시비를 붙어 싸우게 되었다.[* 혹은 단순히 홉고블린이 록사나와의 교배를 거부했다는 얘기도 있다.] 여기서 고돌핀 아라비안이 이기고 록사나와 교배를 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플라잉 칠더스[* 6전 6승의 명마이자 [[달리 아라비안]]의 아들이기도 하다.] 이래의 명마로 불리게 되는 라스가 태어났다. 다음에 다시 록사나와 교배하고 태어난 케이드는 이후 명종마인 매첨을 배출하며 고돌핀 아라비안이 3대 시조 중 하나에 이름을 새기게 되는 것에 일조했다. 고돌핀 아라비안에서 매첨으로 이어지는 혈통은 18세기 중반에 전체 서러브레드의 50%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크게 번성했다. 이는 지금도 영향을 미쳐서 현재 서러브레드 유전자에 영향을 준 비율은 13.8%로 2위인 달리 아라비안(6.5%)의 두배에 달한다. 유럽에서는 19세기부터 달리 아라비안의 후손들이 세를 불리면서 점점 밀려났지만, 미국에서는 20세기 초에 전설적인 경주마 [[맨 오 워(말)|맨 오 워]]와 씨비스킷, 워 어드미럴 등을 배출하며 승승장구했다. 하지만 그 후로는 미국에서도 달리 아라비안계에게 밀려났고, 21세기엔 [[티즈나우]]가 나오면서 근근히 명맥은 이어나가고 있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그나마 21세기 들어서 사멸 직전까지 몰려있는 바이얼리 터크계에 비해선 나은 편이긴 하다. == 기타 == * 고돌핀 아라비안은 성질이 매우 사나운 말이었지만 목장에서 기르던 고양이 그리말킨[* 맨 위 프로필 이미지에도 그려져 있는 고양이다. Grimalkin은 영어로 고양이를 칭하는 옛말이다.]에게만 마음을 열었다고 한다. 그리말킨은 고돌핀 아라비안이 죽고 얼마 지나지 않아 같이 죽었다고 전해진다. * 미국의 작가 마거릿 헨리의 1948년 작품 '바람의 왕'은 고돌핀 아라비안의 생애를 소재로 했으며, 1949년 미국 아동 도서관 협회에서 수여하는 아동문학상인 뉴베리 메달을 받았다. * [[두바이]]의 왕인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의 마주 명의인 고돌핀 레이싱은 고돌핀 아라비안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분류:종마/영국]][[분류:1724년 출생/경주마]][[분류:죽은 경주마]][[분류:1753년 죽은 동물]][[분류:경주마/혈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