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공동주택)] ||<-2> [[파일:주공 심볼(1978-2003).svg|width=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고덕주공아파트,너비=100%)]}}} || || '''명칭''' || '''고덕주공아파트''' || || '''영문 명칭''' || Godeok Jugong Apts. || || '''종류''' || [[아파트]] || || '''브랜드''' || [[LH아파트|[[파일:주공 심볼(1978-2003).svg|width=30]]]] ||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동구]][br][[고덕동(서울)|고덕동]][* 1단지와 2단지, 상록아파트라 불리는 8단지.], [[상일동]][* 3단지~7단지.], [[명일동]][* 9단지.] 일대 || || '''준공년월''' || [[1983년]] || || '''최초 입주''' || [[1983년]] [[11월]] || || '''동수''' || 215개동 || || '''층수''' || 최고 15층[* 가장 늦게 지어진 9단지 기준으로, 나머지는 모두 5층이다.] || || '''세대수''' || 10,810세대 || || '''면적''' || 22㎡ ~ 112㎡ || || '''시공사''' || [[한국토지주택공사|[[파일:대한주택공사 CI(1978-2003).svg|width=100]]]] || [목차] == 개요 == || [[파일:external/imgnews.naver.com/0090002413923_0.jpg|width=100%]] || || 고덕주공2단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서울)|고덕동]], [[상일동]], [[명일동]]에 걸쳐 있는 대규모 주공아파트 단지. 강동구 동북부는 거의 이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2024년 6월 기준으로 8단지, 9단지를 제외한 모든 단지들이 모두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 연혁 == [[1970년대]] 후반 [[서울특별시/강남|강남]]의 개발과 더불어 강남의 베드타운으로 [[강동구]]를 개발하기 시작하였고 [[잠실주공아파트]] 다음으로 [[둔촌주공아파트]]를 세웠다. 완공은 [[둔촌주공아파트]]보다 3년 늦었지만 계획 자체는 [[잠실주공아파트]] 건설과 함께 계획되었던 듯. 고덕동에 아파트 대단지를 염두에 두었던 [[1970년대]] 말 지하철 계획이 [[수도권 전철 5호선]]을 [[천호동]]을 거쳐 고덕동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었다. == 단지 == 1단지, 3단지, 5단지, 7단지는 기존의 X00번대 동번호를 계승하고 있어 기존 고덕주공의 흔적이 남아 있다. === 1단지: [[고덕 아이파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 아이파크)] 현재 고덕 아이파크로 재건축되어 입주가 완료되었다. 근처에 [[광문고등학교(서울)|광문고등학교]]와 [[서울컨벤션고등학교]], [[명일중학교]], [[고덕중학교(서울)|고덕중학교]], [[서울묘곡초등학교]]가 단지 인근에 있으며 이 때문에 신흥 학원가와 상가들이 조성 중이다. === 2단지: [[고덕 그라시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 그라시움)] 삼익그린12차아파트와 통합 재건축으로 현재 '''[[고덕 그라시움]]'''으로 재건축하여 2019년 9월 입주하였다. 4,932세대로 고덕주공아파트 재건축 단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상일동역]] 바로 앞이다. [[기부채납]] 부지는 공원으로 조성 중이다. 하자 문제가 심각하여 2019년 9월에 입주민들이 강동구청에 준공 불허를 요청한 상태이다. [[아크로리버뷰]]와 비슷한 절차를 거칠 것으로 예상된다. === 3단지: [[고덕 아르테온]]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 아르테온)] 현재 '''[[고덕 아르테온]]'''으로 재건축이 완료되어, 2020년 2월 입주했다. 4,066세대로 고덕주공아파트 재건축 단지 중 두 번째로 규모가 크고, 이 단지 역시 [[상일동역]] 바로 앞이다. [[기부채납]] 부지는 어린이 공원, 초등학교[* 308동 옆에 짓고 있는 [[고현초등학교]]. 협소한 부지 탓에 초등학교가 무려 '''7층'''이다.], 우체국, 경찰지구대로 이용된다. === 4단지: [[고덕숲 아이파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숲 아이파크)] 현재 고덕숲 아이파크로 재건축이 완료되었다. 바로 옆으로 [[강동고등학교(서울)|강동고등학교]]와 [[한영고등학교(서울)|한영고등학교]]가 있고, [[구천면로|명일동과 이어지는 길목]]이 있다. === 5단지: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 센트럴 아이파크)]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로 재건축이 완료되어 2019년 12월부터 입주중이다. === 6단지: [[고덕자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자이)] 현재 '''[[고덕자이]]'''로 재건축이 완료되어 2021년 2월부터 입주중이다. 614동 옆에 서울고일초등학교가 위치하며, 이 단지의 남쪽으로 상일동의 상권이 있다. 고덕천을 사이에 두고 강일동과 가까이 있으며, [[고덕 리엔파크]]와 [[삼성엔지니어링]] 근처에 여러 회사 건물들을 비롯하여 또 하나의 상권이 있다. === 7단지: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현재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로 재건축이 완료되어 2019년 12월부터 입주중이다. === 8단지: 상록아파트 === 공무원아파트이다. 보통 고덕주공8단지라고 부르는 사람이 없고 상록아파트라고만 부른다. 주공마크가 붙어있지 않아서 여기가 고덕주공8단지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도 없기도 하고. 공무원아파트인지라 매매가 안 된다. 다른 단지들 보다 지리적 위치가 좋다. 바로 앞에 [[고덕역]]이 있고 [[이마트 명일점]]이 있으며 주변 학교도 나름 가깝기 때문에 만약 공무원 아파트가 아닌 새로 재건축이 되면 인기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민간 매각이 아닌 재건축으로 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재건축 이후에도 공무원 임대 아파트로 남게 되었다. === [[명일주공9단지]] === 통상 명일주공이라고 불리며, 아파트 정문에도 [[명일동]] 주공9단지라고 되어 있다. 하긴 고덕주공9단지라고 하기엔 고덕동과 너무 멀기도 하고 다른 단지들과는 완전히 떨어져 있다. 가장 늦은 1985년에 입주를 했으며, 시설도 나머지 단지에 비하면 월등히 낫다. --그치만 여기도 낡긴 낡았다.-- 다른 단지들처럼 개집 모양 주공마크 대신 휴먼시아 마크가 붙어있다. 재건축이 이제서야 추진되었다. 현재는 2018년부터 정밀안전진단을 진행해 D등급을 받았고, 이후 적정성 검토를 통해 재건축 여부를 결정한다고 한다. == 시설 == 상당히 낡았다. 재건축 이전의 1단지~7단지와 현재의 8단지, 9단지 모두 지어진지가 30년이 넘었다. 9단지를 제외한 모든 단지가 5층 저층아파트였어서 엘리베이터가 없고 계단만 존재했다. 지하주차장이 없어서 주차 문제가 상당히 심각하다. 가변은 물론, 차선까지 주차장으로 쓰인다. 상일동주민센터는 현 501동 자리인 고덕센트럴.고덕숲아이파크 버스정류장 바로 뒤에 있었는데, 2018년 3월 29일부로 5단지 511동 옆에 부지를 마련해 이전했다. 재건축 전 524동의 일부가 있던 곳이고, 고덕사회체육센터 맞은편에 있다. == 주변환경 == 1단지~2단지, 8단지는 [[한강]]과 가깝고 3단지~7단지는 고덕천을 따라 한강과 이어진다. 그린벨트로 둘러싸인 동네라서 조용하기도 하고 공기도 맑다. 4단지의 경우는 아예 상일동 산자락에 지어졌으며 재건축명도 고덕 '''숲''' 아이파크이다. 5단지~7단지 모두 산과 가까운 거리이다. == 상업 시설 == 각 단지마다 작은 상가 한두개가 있었다. 삼성엔지니어링과 고덕역 인근을 제외하면 상업시설은 거의 없다.[* 삼성엔지니어링 마저도 상가는 거의 없고 업무시설이 대부분이다.] 주요 생활권인 2단지~7단지에서는 고덕역도 거리가 꽤 있는편이다. 즉, 5만명 이상의 사람들은 모두 단지 상가내에 의존해야 한다는 뜻. 당장 옆에 [[미사강변도시]]만 봐도 상업시설과 업무시설이 인구 대비 충분히 갖춰져있다. --강일동은 웁니다.-- 추가적인 공간을 내려고 해도 고덕지구가 언덕, 산으로 둘러쌓여있고, 나머지는 모두 주거 시설이라 추가적인 공간을 내기 매우 힘들다. 심지어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몇몇]] [[고덕자이|단지]]는 제대로된 상가도 거의 없다. 정말 큰 문제점. == 교육 == 고등학교 - [[상일여자고등학교(서울)|상일여자고등학교]], [[한영고등학교(서울)|한영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 [[광문고등학교(서울)|광문고등학교]], [[강동고등학교(서울)|강동고등학교]], [[한영외국어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중학교 - [[한영중학교]], [[상일중학교(서울)|상일중학교]], [[고덕중학교(서울)|고덕중학교]], [[배재중학교]] 초등학교 - 고덕초등학교, 강덕초등학교, [[서울고일초등학교|고일초등학교]], 고현초등학교, [[묘곡초등학교]] 여담으로, 고덕지구에서의 '''공립''' 초등학교는 무려 4개이지만, 중학교는 겨우 1개, 고등학교는 그냥 없다. == 교통 == [[수도권 전철 5호선]] [[고덕역]], [[상일동역]]이 있고, 9단지의 경우 [[명일역]]을 이용한다. 2028년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신명일역]], [[고덕역]], [[샘터공원역]]이 개통 예정이다. [[강동공영차고지]]가 인근에 있어 버스를 타면 시내, 강남 등지로 진출하기 편리하다. == 여담 == * 우연하게도 재건축 이후 홀수 단지에서는 이전에 쓰던 동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1단지 [[고덕 아이파크]] 100번대, 3단지 [[고덕 아르테온]] 300번대, 5단지 [[고덕 센트럴 아이파크]] 500번대, 7단지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700번대.], 짝수 단지에서는 동 번호를 모두 100번대로[* 2단지 [[고덕 그라시움]], 4단지 [[고덕숲 아이파크]], 6단지 [[고덕자이]] 모두 100번대.] 바꾸었다. == 관련 문서 == * [[강동구]] * [[고덕동(서울)|고덕동]] * [[상일동]] * [[명일동]] * [[재건축]] * [[LH아파트]] [[분류:강동구의 공동주택]][[분류:1983년 건설]][[분류:주공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