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고담룡}}}'''[br]'''高湛龍'''}}}}}}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people.phinf.naver.net/yonhapnews_33722492.jpg|width=100%]]}}} || || '''창씨명''' ||다카다 유세이(高田湧淸) || || '''이명''' ||고응룡(高應龍) || || '''호''' ||동일(東日) || || '''본관''' ||[[제주 고씨]](濟州 髙氏) || ||<|2> '''출생''' ||[[1915년]] [[11월 17일]] || ||[[전라남도]] [[제주도(일제강점기)|제주도]] [[조천읍|신좌면]] 조천리 2776번지[br](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3158|#]]][* [[http://db.history.go.kr/id/im_101_20242|1956년 간행된 대한민국건국십년지]]에는 [[전라남도]] [[제주도(일제강점기)|제주도]] 제주면 [[일도동|일도리]](現 [[제주시]] [[일도동]])을 출생지로 기재하고 있다.] || ||<|2> '''사망''' ||[[1989년]] [[12월 5일]] (향년 74세) || ||[[광주직할시]] [[광산구]] [[산월동]] [[보훈병원|광주보훈병원]]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162호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3대 국회의원|3]]''', '''[[제4대 국회의원|4]]'''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정치인]], 교육인.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15년]] [[11월 17일]] [[전라남도]] [[제주도(일제강점기)|제주도]] 신좌면[*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2776번지에서 고남곤(高南崑)의 아들로 태어났다. 조천공립보통학교[* 現 조천초등학교] 6학년 재학 중이던 [[1931년]] 1월 학교 신년식 행사의 불참을 주동한 주모자로 지목되어 졸업 사정회에서 제외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항일 투쟁의 길에 들어섰다. 이후 [[목포시|목포부]] 호남정[* 現 [[목포시]] [[호남동]]]으로 이주했다가,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중학교를 졸업하고 [[주오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 주오대학 재학 중이던 [[1938년]] 9월 초, 학우 [[http://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mngNo=4845|김운봉]](金雲鳳)·신기현(申琪鉉)·오호림(吳浩林) 등 5명과 함께 동문회를 가장한 항일 비밀 결사인 '고문(高文)클럽'을 조직하여 1942년 5월 중순까지 [[도쿄]]에서 20여 차례에 걸쳐 비밀리에 회합을 가지며 회원들 간에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주오대학 졸업 후 귀국해 [[경기도]] [[경성부]]에서 회사에 다니고 있을 때, 주오대학 재학 당시의 비밀결사 사건이 발각되어 1943년 체포되었다. [[1944년]] [[2월 29일]] 대구지검의 예심에서 [[대구지방법원]] 공판에 회부되어 그해 6월 5일 1심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육군형법 위반·해군형법 위반 등의 혐의로 징역 5년형을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719&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1224&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되었고, 이어 상고하였으나 [[8월 24일]] 고등법원에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4881&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18090&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형이 확정되었고, 대구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 옥중에서 해방을 맞아 곧 출옥하였다. [[8.15 광복]] 이후 [[성균관대학교]] 교수 겸 학생과장, [[국민대학교]] 교수 겸 교무과장 등을 지냈다. 그리고 제주도에 돌아와 [[오현고등학교]] 교감], [[제주대학교]] 강사 및 교수 등을 지내는 등 근 10년간 교육계에 종사하였다. [[1955년]] 9월 [[민주당(1955년)|민주당]]이 창당될 때 참여하여 민주당 제주시당·제주도당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에서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5대 국회]] 시절 [[제주 4.3사건]] 진상 규명에 노력하였으며, 국회내무위원회 간사 및 지방자치법개정안기초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겸하였다. 1960년 민주당 구파·신파 간의 갈등 속에서 금전왕래설을 유포하여 제명 수순을 밟았으며, 그해 12월 민주당 구파 정치인들과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1960년)|신민당]]을 창당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보수당(1963년)|보수당]] 후보로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임병수(정치인)|임병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67년)|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양정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에는 [[제주도]] 제주시 [[삼도동]] 1121번지에, 1977년에는 제주시 [[일도동]] 1121번지에 각각 [[http://db.history.go.kr/id/im_101_20242|거주했다]]. [[1989년]] [[12월 5일]] 광주직할시 광산구 산월동 광주보훈병원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120700289110011&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89-12-07&officeId=00028&pageNo=10&printNo=484&publishType=00010|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1989년]] [[12월 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안장되었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서훈되었으며, 사후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종류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 1958 ||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주시) ||<|2> [include(틀:민주당(1955년))] || '''10,252표 (42.21%)''' || '''당선 (1위)''' || '''초선''' || || 1960 ||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주시) || '''7,905표 (28.79%)''' || '''당선 (1위)''' || '''재선''' || || 1963 ||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1지역구) || [include(틀:보수당)] || 15,681표 (22.57%) || 낙선 (2위) || ||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제주시-북제주군) || [include(틀:민주당(1967년))] || 8,546표 (11.23%) || 낙선 (3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제주도)] [include(틀:제5대 국회의원/제주도)]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사회과학 교수]][[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제5대 민의원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0년) 국회의원]][[분류:제주시 출신 인물]][[분류:제주 고씨]][[분류:1915년 출생]][[분류:1989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성균관대학교 재직]][[분류:국민대학교 재직]][[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