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군산시의 로)] ||<-4> {{{#FFF {{{+2 '''고군산로'''}}}[br]古群山路 | Gogunsan-ro}}} || || {{{#!html
기 점}}} ||<-2> [[12번 국도|{{{#!html
12번
국도
}}}]] || [[김제시|{{{#!html김제}}}]] {{{#!html방면}}} →[br][[새만금로]] || ||<-4> '''{{{#fff 노선 번호}}}''' || ||<-4> '''[[12번 국도]]''' || ||<-4> '''{{{#fff 기점}}}''' || ||<-4>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신시1사거리 || ||<-4> '''{{{#fff 종점}}}''' || ||<-4>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장자교차로 || ||<-4> '''{{{#fff 연장}}}''' || ||<-4> 8.775km || ||<-4> '''{{{#fff 개통}}}''' || || 2016.07.05 ||<-4> 신시1사거리 - 무녀1교차로 || || 2017.12.28 ||<-4> 무녀1교차로 - 장자교차로 || ||<-4> '''{{{#fff 관리}}}''' || ||<-4> [[익산지방국토관리청|[[파일:익산지방국토관리청1.png|height=30]]]] || ||<-4> '''{{{#fff 왕복 차로 수}}}''' || || 2차로 ||<-4> 전 구간 || ||<-4> '''{{{#fff 주요 경유지}}}''' || ||<-4> [[신시도]] ↔ [[무녀도(군산)|무녀도]] ↔ [[선유도(군산)|선유도]] ↔ [[장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의 신시1사거리에서 시작하여 군산시 옥도면의 장자교차로까지 이어지는 총 8.775km, 2차로의 [[도로]]. [[새만금 방조제]] 위의 도로인 [[새만금로]]에서 시작하여 신시도, 선유도, 무녀도 등 [[고군산군도]]의 주요 도서를 잇는 도로이다. 고군산군도와 방조제를 연결하는 주요 교량 6개로 이루어져 있어 [[연륙교]] 역할을 수행한다. 도로 이름은 고군산군도에서 따왔다. 참고로 군도의 이름에 [[古|옛 고]]가 들어가는 이유는 원래 섬 중 하나인 선유도의 원래 이름이 군산도였기 때문으로, 조선 시대에 여기 설치되어 있었던 군산진이 현재의 군산으로 이전하며 거기가 군산으로 불리게 되자 옛 군산이라는 뜻으로 고군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 상세 == [[고군산군도]]의 큰 섬인 신시도, 무녀도, 선유도, 장자도를 지난다. 전 구간이 [[12번 국도]]로 지정되어 있다. 12번 국도의 공식적인 시점은 고군산로의 종점인 장자도보다 더 서쪽에 있는 관리도라는 섬이지만, 관리도-장자도 간 교량은 건설되지 않아 고군산로 상의 장자교차로가 실질적인 시점이다. 본래는 [[4번 국도]]의 시작도 이 도로였지만, 2021년 6월 22일 고시로 4번 국도는 이 도로 대신 새만금 남북도로를 경유하게 경로가 바뀌면서 12번 국도의 단독 구간이 되었다. === 주요 구간 === ||<-3> '''도로 기점''' ||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77)]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2)]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2)]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77)] || || [[군산시|군산]][br]← || '''[[새만금로]]'''[br](신시1사거리) || [[부안군|부안]][br]→ || || 신시도항[br]← || (신시도항삼거리) |||| ||<-3> '''신시해안교''' || || 간이해수욕장[br]← || (신시2사거리) || → || || 신시도마을[br]← || '''신시도길'''[br](신시3삼거리) |||| || 신시도마을[br]← || '''신시도1길'''[br](신시초교삼거리) |||| ||<-3> '''신시교[br][[고군산대교]][br]무녀교''' || |||| '''무녀도동길'''[br](무녀1교차로) || 무녀2리[br]→ || || 무녀1리[br]← || '''무녀도4길'''[br](무녀2교차로) || → || || 무녀1리[br]← || '''무녀도길'''[br](무녀3교차로) |||| ||<-3> '''선유교''' || |||| '''선유남길'''[br](선유1교차로) || 선유1리[br]→ || || 선유도해수욕장[br]← || (선유2교차로) || --접속도로 없음[br]→-- || ||<-3> '''선유터널 (선유봉)[br]장자교''' || || 장자도리[br]← || '''장자도1길'''[br](장자교차로) |||| ||<-3> '''도로 종점[* [[12번 국도]]의 시점인 관리도까지 연륙교 건설 예정]''' || ||<-3>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2)] || ||<-3>|| === [[대중교통]] === ==== [[시내버스]] ==== 비응항에서 신시도를 거쳐 장자도까지 들어가는 [[군산 버스 99]]가 운행한다. 고군산군도 내에 주차 시설이 생각보다 많지 않아 주말에 시내버스의 이용객이 많다. === 기타 === 이 도로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5&aid=0000036668|직도 사격장]]의 허가에 대한 정부의 보상 차원으로 지어진 도로이다. 2000년대 이전부터 고군산군도 끝자락의 직도라는 작은 섬을 미군, 공군 등이 군산시의 허가를 받지 않은 채로 사격장으로 이용했는데, [[2000년]] 2월에 불발탄이 터져 어민 1명이 사망한 사고 이후로 이에 대한 논란이 터져나왔다. 결국 [[2006년]] [[군산시]]는 몇 가지 보상을 받고 직도 사격장에 대한 정식 허가를 내 주었는데, 보상 중 하나로 이 도로의 건설이 있었던 것이다. 이후 2006년 12월 [[68번 지방도]]의 시점을 [[서천군]] 장항읍에서 관리도로 연장하면서[* 이후 2008년 옥도 ~ 장항 구간은 [[4번 국도]]에 편입되었다.] 본격적으로 국비 투입이 시작되었고, [[2007년]] 계획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 바로 착공에 들어갔다. [[2013년]] 완공이 목표였지만 [[2015년]]으로 밀리던 중, 3공구(무녀도 - 장자도)를 맡은 [[벽산건설]]이 파산하고, 1공구(신시도)에서 발파 작업에 대한 민원이 나와 공사가 중지되는 등 [[http://www.s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78066|여러 악재]] 끝에 결국 [[고군산대교]]가 포함된 1, 2공구(신시도 - 무녀도)만 우선 개통하였다. 하지만 개통 전부터 차량 통행을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차량 통행을 반대하는 측의 의견은 과연 밀려드는 관광객 수요를 1차로 정도의 섬 내부의 좁은 도로가 감당할 수 있겠냐는 것. 따라서 [[강주아오 대교]]처럼 셔틀버스만 운행하는 형태, 일일 제한을 두는 형태 등이 제안되었다.[[http://www.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2318|#]] 결국 일일 통행하는 차량의 대수에 제한을 두어 한계가 넘어가면 도로 입구에서 차단하는 식으로 운영한다고 한다. 또한 비응항에서부터 2층버스를 운행하여 관광객의 분산을 노렸다. 하지만 1,2공구 부분 개통 이후 우려되었던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도로가 무녀도에서 끊겨 있어 선유도, 장자도 등 다른 섬으로 이동하는 차량들 때문에 엄청난 교통난이 벌어져버린 것이다. 이러자 섬 주민을 제외한 차량들의 무녀도 진입을 막아 무녀1교차로에서 회차하여 다시 나가게 했는데, 이러자 도로 중간에 차를 주차해 놓고 관광하려는 사람들로 인해 버스 정류장, 교차로 등에서 엄청난 주차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결국 이는 3공구가 개통하며 무녀도에 주차장, 오토캠핑장이 조성되어 어느 정도는 해결되었다. 또한 연결되는 섬 내부 도로를 2차로로 확장하는 공사가 [[2019년]] 현재 진행 중이다.[[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413033|#]] [[파일:고군산대교.jpg]] 특수교가 많다. 비대칭 [[현수교]]인 [[고군산대교]]부터, [[아치교]]인 선유교, [[사장교]]인 장자교까지. 특히 고군산대교[* 가칭 단등교]는 국내 최초의 1주탑 비대칭 현수교로 건설 당시부터 높은 관심을 받았다. 신시초교삼거리는 1,2공구 개통 시 함께 개통하지 못했는데, 토지 보상 쪽에서 문제가 있는 것 같았다. 현재는 정상 개통했다. [[분류:군산시의 도로]][[분류:12번 국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