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1977)[br]''K&J'' || ||<-2> [[파일: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포스터.jpg|width=100%]] || || '''감독''' ||석래명 || || '''원작''' ||[[김성환(만화가)|김성환]] || || '''각본''' ||윤삼육 || || '''제작''' ||강대진 || || '''촬영''' ||정일성 || || '''편집''' ||김진태 || || '''음악''' ||김기웅 || || '''출연''' ||[[이승현(1961)|이승현]], [[김정훈(1961)|김정훈]], [[전운]], [[강남길]], 조영숙 || || '''제작사''' ||삼영필림 || || '''개봉일''' ||1977년 5월 14일 || || '''관람인원''' ||42,779명 || || '''개봉관''' ||[[중앙극장]] || || '''관람등급''' ||중학생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바우 영감]]으로 유명한 시사만화가 [[김성환(만화가)|김성환]]이 학생잡지 '학원'에 연재했던 만화 '꺼꾸리군 장다리군'을 원작으로 제작된 하이틴 코미디 영화다. [[고교얄개]]로 큰 성공을 거둔 석래명 감독이 연출을 맡았고, 고교얄개의 주연 [[이승현(1961)|이승현]]과 [[김정훈(1961)|김정훈]] 콤비가 출연했으나 당시 남학생들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강주희는 나오지 않고 대신 조영숙이 출연했다. 조영숙은 이 영화 이후 3편 정도를 더 찍고 은퇴했다. 고바우 영감 캐릭터가 등장한다. [[전운]]이 연기한 생활지도 주임 고바우 선생 역이다. 이 작품은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에 선정되었는데 "청소년 시기의 문제점보다 고교 시절의 낭만과 유머, 우정을 다뤘다"고 평가를 받았다. == 줄거리 == 꺼꾸리 군([[김정훈(1961)|김정훈]] 扮)과 장다리 군([[이승현(1961)|이승현]] 扮)은 이름난 장난꾼들로 엄격하기로 악명 높은 고바우 선생([[전운]] 扮)이 생활지도 주임선생이 되면서 몇 차례 혼이 나자 작전을 바꾸어 방과 후 어려운 문제를 갖고 선생님 댁으로 가서 질문을 하는데, 여고생 경옥이(조영숙 扮)가 고바우 선생님의 딸임을 알자 그들은 매일같이 찾아가서 점수를 따려고 노력한다. 고바우 선생이 엄하면서도 학생들을 도와주는 교육자라는 사실을 알고 감동한 두 사람은 선생님을 도우려고 하지만 선생님은 과로로 쓰러지고 만다. 제자들의 기원 속에 선생님이 퇴원하시는 날 둘은 벅찬 감격 속에 내일의 성장을 기약한다. == 기타 == [[파일: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 비디오 표지.jpg]] 1988년 비젼비디오프로덕션에서 [[VHS]]로 출시했다. 비디오 제목은 '고교 꺼꾸리 장다리군'으로 원제목에서 '군'이 하나 빠졌고, 비디오 표지에 출연하지도 않은 [[손창호]] 사진과 다른 영화 컷들이 들어있다. [[분류:한국 영화]][[분류:1977년 영화]][[분류:만화 원작 영화]][[분류:죽기 전에 꼭 봐야 할 한국영화 1001]][[분류:12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