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고광하.webp|width=100%]]}}} || || '''이름''' ||<(> 고광하(高光夏) || ||<|2> '''출생''' ||<(> [[1942년]] [[12월 6일]] || ||[[전라남도]] [[곡성군]] || || '''사망''' ||<(> [[2023년]] [[3월 29일]] (향년 81세) || || '''학력''' ||<(> [[광주제일고등학교]] {{{-2 (졸업)}}}[br] [[서울대학교]] {{{-2 (법학 / [[학사]])}}}[br][[워싱턴 대학교 법과대학원]] {{{-2 (법학 / [[석사]])}}}[br][[워싱턴 대학교 법과대학원]] {{{-2 (법학 / [[박사]])}}} || || '''경력''' ||<(> 광주지검 검사[br]서울지검 여주지청 검사[br]대전지검 공주지청[br]전주지검 검사[br]글로벌 로펌 베이커앤맥킨지(Baker & McKenzie) 파트너 변호사[br]서울중앙로타리클럽 회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검사(법조인)|검사]], 전 육군 법무관, 변호사 . == 생애 == 전남 곡성 출신으로 광주제일고와 서울대 법대(17회)를 졸업했다. 1962년 제15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최연소 만19세)하고 1963년에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을 수료, 1964년에 육군 법무관 임관, 1968년 광주지검 검사, 서울 지검, 대전 지검 공주지청, 전주지검 및 일본 동경지검 (교환 검사) 등 다양한 곳에서 검사로 근무했다. 검사를 은퇴한 뒤 1974년 변호사로 개업 후 1975년 미국 U.W. (University of Washington) 워싱턴 대학교 법과 대학원에서 법학석사 (LLD) 1978년 동 대학원에서 법학박사 (PHD in Law) 학위를 받고 1979년 미국 시카고 Kent 법과대학에서 JD (Juris Doctor)를 취득했다. 같은 해 미국 일리노이주 변호사 (Illinois Bar Association) 시험을 합격후 글로벌 로펌인 베이커앤맥킨지(Baker & McKenzie)에서 파트너 변호사로 활동했다. 1981년에 한국으로 귀국하여 이태희 (고등고시 14회, 한진 창업주 조중훈 회장의 맏사위)변호사와 현 법무법인 광장의 전신인 한미합동법률사무소(Lee & Ko)를 설립했다. 1981년~1986년 2차 사법시험 출제위원을 역임하고 이후 1987년에는 해외종합법률사무소를 개설하고 2000년대까지도 변호사로서 활동했다. 2003~2004년 서울 중앙로타리클럽 회장을 역임 했다. 광주일고, 서울법대 동기 지인(법조인): 이용훈 제14대 대법원장, 안동수 제50대 법무부장관, 신건 (전주고) 제33대 법무부차관 제25대 국가정보원장, 박영식 전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장, 김찬진 법무법인 바른 설립자(1998년) 제15대 국회의원, 임채정 (고려대 법대) 제14,15,16,17대 국회의원 제17대 국회의장, 신기하 (전남대 법대) 제12,13,14(민주당 원내총무),15대(새정치국민회의 원내총무) 국회의원, 김응렬 제47대 광주지방변호사회장, 저서: 기술도입계약 이론과 실무 (1985년, 출판사: 박영사, 대한상사 중재원), 한국으로의 기술도입에 관한 법과 정책 (1986년, 출판사: 박영사). == 사망 == [[2023년]] [[3월 29일]] 사망하였다. [[분류:1942년 출생]][[분류:2023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법조인]][[분류:곡성군 출신 인물]][[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워싱턴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