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북제 황제)]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F0D1 0%, #AAF0D1 20%, #AAF0D1 80%, #AAF0D1)" '''{{{#black 북제 추존 존령}}}[br]{{{#black {{{+1 司空府君 | 사공부군}}}}}}'''}}} || || '''[[묘호|{{{#black 묘호}}}]]''' ||<(> 없음 || || '''[[시호|{{{#black 시호}}}]]''' ||<(> 사공부군(司空府君) || || '''[[성씨|{{{#black 성}}}]]''' ||<(> 고(高) || || '''[[휘|{{{#black 휘}}}]]''' ||<(> 경(慶) || || '''[[자(이름)|{{{#black 자}}}]]''' ||<(>불명 || || '''{{{#black 부친}}}''' ||<(> [[고은(서진)|고은]](高隱) || || '''{{{#black 생몰}}}''' ||<(> ?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호십육국시대]] [[후연]]의 [[사공]]으로 성무제 [[모용수]]를 보좌했다. 본관은 발해(勃海)였고, 고은(高隱)의 아들이었으며 [[고태]]의 아버지이자, [[북제]]를 건국한 [[고양(북제)|문선제]] 고양의 6대조였다. == 생애 == 전해지는 발해 고씨의 기록 중에서, 가장 먼저 관료직을 역임한 사람으로 확인된다. 모용수 시기 태자첨사겸사공(太子詹事兼司空)으로 임명되었고, 고경의 출세를 통해 그의 아들인 고태와 고도(高韜)의 관료 진출의 기반이 되었다. 550년, 6대손 고양이 북제를 건국하자 고경은 황조사공공(皇祖司空公)으로 추존되어 [[칠묘]]에 위패가 안치되었다. 559년, 문선제 고양이 붕어하고, [[고은(북제)|폐제]] 고은이 즉위하자 사공부군의 묘역은 제거되었다. 이듬해 [[효소제]] 고연이 즉위하자 사공부군의 묘역이 복구되었으며 565년 [[무성제]] 고담이 붕어하자 사공부군의 묘역은 제거되었다. [[분류:동진 및 오호십육국시대/인물]]